$\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9 no.2, 2016년, pp.153 - 176  

최상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  하정미 (광릉중학교) ,  김동중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멘토링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이 어떻게 학생의 수업 참여와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료 멘토링 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업과정 중에서 대표적인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자료 수집 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참여전략과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1학기말 수학 성취도와 2학기말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료 멘토링에서의 편안한 분위기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에서의 다양한 수업 참여전략과 멘토링의 효과성에 따른 교사의 적절한 발문은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수업 참여를 촉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적 개념 형성과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과 교사의 역할과 기여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을 동시에 고려하는 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by analyzing how a teacher's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questioning strategies affect class participation and problem solving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As for the purpose, after recording 7th grader's class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는 교사라면 먼저 학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특히, 교사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학습 참여적 동기를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기 유발에 효과적인 교수법 중에 하나는 동료 멘토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수학 수업의 효과성은 어떻게 하면 극대화되는가? 수학 수업의 효과성은 수업의 과정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방향을 수정함으로써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 주체는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교사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교수법을 개발할 수 있는 수업 전문성은 중요하다(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김남희, 2002; 손승남, 2005; 유한구, 2001; 이금선, 강옥기, 2008).
동료 멘토링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동기 유발에 효과적인 교수법 중에 하나는 동료 멘토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동료 멘토링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보다 학생과 학생의 수평적인 관계에서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안한 사회적 규범 형성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학생 친화적 설명이 가능하여 학습 동기 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김은주, 도승이, 2009; 김종렬, 2014; 김종렬, 이은주, 2012; 박소영, 2004; 백정은, 권혁진, 2007; 조현철,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수학교육, 51(2), 173-189. 

  2. 김남희 (2002).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례방법. 학교수학, 4(4), 617-631. 

  3. 김명자, 안성신 (2008). 가정과 수업에서의 동료멘토링 활용 효과. 생활과학연구지, 24, 79-98. 

  4. 김은주, 김민규, 임은비 (2012). 유능성과 관계성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 연구, 50(1), 193-225. 

  5. 김은주, 도승이 (2009).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 욕구와 내재동기 및 수업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3(1), 181-196. 

  6. 김종두 (2000). 교육과 의사소통. 서울: 양서원. 

  7. 김종렬 (2014).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8. 김종렬, 이은주 (2012). 초, 중학교급별 교실목표구조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6(3), 817-835. 

  9. 박소영 (2004). 학생의 자발적 참여 제고를 위한 학생변인과 교사변인. 교육행정학연구, 22(2), 91-108. 

  10. 백정은, 권혁진 (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487-504. 

  11.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12. 안미경 (2009). 동료멘토링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의 일차함수 학습에 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3. 유한구 (2001).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69-84. 

  14. 윤보경, 김수연 (2011).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8(1), 65-84. 

  15. 이금선, 강옥기 (2008).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학교수학, 10(2), 199-222. 

  16. 이제행 (2010). 동료멘토링의 홀리스틱 교육적 활용과 전략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14(3), 1-20. 

  17. 정현식 (2005). 동료 멘토링 기법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학습 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 

  18.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19. 차민정, 김창민, 권혜정, 조형대, 이주영, 정수정, 박은아, 문유, 왕몽, 서종원, 지종민, 장문, 박미선, 이예다나, 김규동, 이림, 박하식, 유세종, 김정주, 박인우 (2010). 학습자의 수업참여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2(1), 195-219. 

  20. 차지혜, 최상호, 김동중 (2015). 또래교수법이 수학 문제해결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8(2), 203-221. 

  21. 하정숙, 박종호 (2010).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1(2), 93-109. 

  22. 한정민, 박만구 (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23. 현종익, 이학춘 (2002).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동남기획. 

  24. Ames, C., & Archer, J. (1987). Mothers' beliefs about the role of ability and effort in school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4), 409-414. 

  25.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60-267. 

  26.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s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27. Boaler, J., & Brodie, K. (2004). The importance, nature and impact of teacher questions. Proceedings of the 26th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pp. 774-783). Toronto, Canada. 

  28. Fredricks, J. A., Blumenfeld, P. C., & Paris, A. H.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1), 59-109. 

  29. Jang, H., Reeve, J., & Deci, E. (2010). Engaging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it is not autonomy support or structure but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3), 588-600. 

  30. Lobato, J., Rhodehamel, B., & Hohensee, C. (2012). "Noticing" as an alternative transfer of learning proces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 433-482. 

  31. Marks, H. M. (2000).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1), 153-184. 

  32. NCTM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Reston, VA: NCTM. 

  33. Schwartz, C. (2015). Developing the practice of teacher questioning through a K-2 elementary mathematics field experience. Investig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7(3), 30-50. 

  3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5. Weaver, R. R., & Qi, J. (2005). Classroom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6(5), 570-6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