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0 업종 165 개소의 폐수배출사업장을 대상으로 방류수 중 중금속, 휘발성유기화합물, CN, phenol 등 특정수질유해물질 24 종 대하여 배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중 Cu는 0.008~35.420 mg/L 농도 범위를 보였으며 검출율 46.8 % (165개 중 79 개)로 전 업종에서 검출되었다. 그 외 Cd, As, Hg, Pb, Cr+6의 검출율은 0.6~1.8 %로 낮았다. CN은 1 개, phenol은 5 개 사업장에서 검출되었다. VOCs는 12 종이 검출되었고 chloroform 80.6 % (0.42~81.60 µg/L), benzene 16.4 % (1.49~3.31 µg/L), trichloroethylene 11.5 % (1.78~6.02 /L), 1,1-dichloroethylene 10.3 % (1.23~5.89 µg/L), dichloromethane 8.5 % (0.28~968.86 µg/L) 등의 순으로 검출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VOCs는 미량 검출되었으나 dichloromethane는 금속제조, 식료품제조, 세차시설 3 개 업종에서 수질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Chloroform은 모든 업종에서 검출되었으며, 세탁시설 및 수도사업에서 평균 농도가 각각 24.88 µg/L, 53.41 µg/L로 높게 나왔다. 산업 폐수중의 난분해성인 특정수질유해물질 처리를 위해 물리·화학적인 처리방법인 활성탄 흡착, 펜턴산화, 오존처리, 광촉매UV radiation 등 공법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65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in 10 business types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24 specific hazardous substances that included heavy metals, VOCs, CN, and phenol in the Gwangju city. Cu in the range from from 0.008 to 35.420 mg/L was detected in all business types and the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의 폐수배출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대상으로 업종별로 중금속 및 VOCs등의 24 종 특정수질유해물질의 농도와 검출빈도에 대한 배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배출 사업장에 대한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의 폐수배출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대상으로 업종별로 중금속 및 VOCs등의 24 종 특정수질유해물질의 농도와 검출빈도에 대한 배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배출 사업장에 대한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I.-J. Lee, C.-G. Lee, S.-N. Heo and J.-G. Lee, Anal. Sci. Technol., 23(5), 477-484 (2010). 

  2. S.-N. Heo, I.-J. Lee, C.-G. Lee, Y.-K. Lim and J.-G. Lee, J. Korean Soc. Environ. Anal., 13(3), 131-142 (2010). 

  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tudy on extended authorization of specific toxic subst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effluent standard', 2007.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investigation of hazardous substance and the suggestion of management plan for the extension of the human's health protecting items', 2008. 

  5. I.-J. Lee, C.-G. Lee, S.-N. Heo, J.-G. Lee, H.-R. Kim, D.-S. Yang, J.-H. Kim and Y.-H. Lee, J. Korean Soc. Environ. Anal., 14(3), 128-136 (2011). 

  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discharge of hazardous water pollutants in industrial wastewater', 2012. 

  7. H.-K. Bea, J. Korean Soc. Environ. Eng., 34(4), 254-259 (2012). 

  8. I.-J. Lee, T.-H. Lim, S.-N. Heo, J.-G. Lee, Y.-H. Lee, H.-Y. Lee and S.-U. Cheon, J. Korean Soc. Environ. Anal., 15(3), 197-202 (2012). 

  9. B. Z. Wua, T. Z. Fenga, U. Sreea, K. H. Chiuc and J. G. Loab, Anal. Chim. Acta, 576(1), 100-111 (2006). 

  10. S. Suthipong and S. Siranee, J. Environ. Manag., 90(11), 3283-3289 (2009). 

  11. A. S. Kevin, A. E. Pual and O. R. Michael, Sci. Total Environ., 360(1-3), 180-195 (2006). 

  12. A. D. Nikolaou, S. K. Golfinopoulos, M. N. Kostopoulou, G. A. Kolokythas and T. D. Lekkas, Water Res., 36(11), 2883-2890 (2002). 

  13. K.-B. Yoo and B.-S. Lim, J. Korean Soc. Environ. Eng., 25(3), 340-345 (2003). 

  14. M.-J. Kim, T.-H. Kim, K.-H. Na, H.-I. Song, C.-G. Lim, K.-H. Lee and K.-S. Shim, Gyeonggi-do Research Inst. Health and Environ., 25, 77-87 (2012). 

  15. Ministry of environment, 'The discharge and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2015. 

  1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standard method of water pollutants', 2015. 

  17. M.-M. Jung, S.-H. Yun, H.-J. Eom, S.-K. Kang, D.-J. Kim, C.-O. Jang and E.-H. Cho, KSME, 7(1), 33-43 (2005). 

  18. M. A. Barakat, Arab. J. Chem., 4(4), 361-377 (2011). 

  19. Y.-C. Kim, J. Korean Soc. Water Environ., 23(4), 440-447 (2007).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authorization of existing specific hazardous substances(10 species) and feasibility of the effluent standard', 2010. 

  21. H.-J. Seo, J.-M. Kim, K.-W. Min, Y.-J. Kang, K.-J. Paik, J.-T. Park and S.-J. Kim, Anal. Sci. Technol., 22(3), 272-276 (2009). 

  22. Y.-J. Kim, J.-W. Choi, K.-S. Hyun and S.-J. Lee, KSWST J. Wat. Treat., 14(1), 35-42 (2006). 

  23. M.-K. Kim, J.-H. Ahn and D.-S. Kong, J. Korean Soc. Environ. Eng., 30(1), 3-8 (2008). 

  24.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Toxicological Profile for Benzene', Public Health Service,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tlanta, GA, 2007. 

  25. J. P. Rioux and R. A. Myers, J. Emerg. Med., 6(3), 227-238 (1988). 

  26.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Toxicological Profile for 1,1-dichloroethylene', Public Health Service,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tlanta, GA, 2015. 

  27. S.-H. Han, J.-S. Lee, I.-G. Kim, C.-W. Hwang, W.-S. Kim, E.-A. Kim, S.-M. Kim and W.-K. Nam, Gyeonggi-do Res. Inst. Health and Environ., 20, 135-144 (2007). 

  28. S.-H. Nam and U.-G. Lee, Kor. J. Environ. Health Soc., 18(2), 82-91 (1992). 

  29. G.-H. Kwon, J. Kor. Soc. Environ. Admin., 11(4), 305-311 (2005). 

  30.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extended authorization of specific toxic subst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effluent standard', 2015. 

  31.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Treatability manual', 1981b. 

  3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Study on Occurrence and Control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Drinking Water(II)', 2011. 

  33. K.-C. Lee, B.-C. Gegal, I.-H. Choi and W.-T. Lee, J. Korean Soc. Environ. Eng., 37(5), 269-276 (2015). 

  34. H.-I. Kim, J.-H. Moon and J.-W. Chung, J. Korean Soc. Environ. Eng., 36(5), 311-316 (2014). 

  35. J.-B. Jung, S.-H. Lee and Z.-U. Bae, J. Korean Chem. Stoc., 50(6), 454-463 (2006) 

  36. J.-W. Kang, K.-H. Lee and S.-J. Jun, J. Korean Soc. Environ. Eng., 19(2), 165-175 (1997). 

  37. K.-S. Lee, J. Korean Soc. Environ. Eng., 18(3), 277-286 (1996). 

  38. J.-B. Seo and C.-M. Hwang, J. Korean Soc. Environ. Eng., 35(7), 479-48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