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략적 예산배분 및 실효성 강화를 위한 다부처R&D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lti-Agency R&D Program for Strategic Budget Allocation and Enhance Effectiv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9 - 19  

문관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사업조정본부 생명기초사업실) ,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사업조정본부 생명기초사업실)

초록

지속적인 R&D 예산 확대 및 수행기관 수 증가에 따른 부처간 산발적이고 경쟁적인 사업추진으로 인한 투자 비효율성을 해소하고자 다부처사업이 기획되어 추진 중이다. 그러나 다부처사업 내 실질적인 부처간 협력체계 미비로 인해 다부처R&D사업 추진의 실효성이 저하되고 있다는 지적이 빈번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다부처R&D사업의 추진체계 및 국내 다부처R&D사업의 추진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향후 다부처R&D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필요한 개선사항을 R&D사업의 전주기적 관점(기획, 예산배분 조정, 집행, 평가)에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다부처 R&D사업의 기획단계 이후에 개별부처로 나누어서 각각 집행 운영되고 있는 점, 예산요구 시 부처간 협력 조정 과정이 전무하다는 점, 다부처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평가체계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점이 주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동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 예산배분 및 실효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부터 다부처R&D사업의 전주기적 추진체계를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continuous expand in governmental R&D investments and growth number of research institutions, model of multi-agency program has been planned and pushed ahead to settle the inefficiency of investment by the scattered and competitive R&D Programs. However, it was often pointed out that new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해양 관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천리안위성 후속개발 사업으로 기상·해양·환경 상시관측이 가능한 정지 궤도위성 개발을 통해 기상예보 정확도 제고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계획 하에 본 사업이 추진되었다.
  • 본 사업은 글로벌 종자산업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종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개발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미래 유망산업으로서의 종자산업 육성이 절실하며, 전략적 개발이 필요한 종자를 설정하고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해수부,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산림청이 4,911억원 규모로 예산을 출연하고, GSP운영위원회, GSP운영지원센터, 사업단(장)의 추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인터뷰, 문헌연구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부처R&D사업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다부처R&D사업의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부처R&D사업 내에서 부처간 실질적인 협력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다부처 R&D사업 추진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부처R&D사업의 개선방안 및 향후 추진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검사항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등 해외 다부처R&D사업의 추진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과정과 현재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부처 R&D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다부처R&D 사업의 실증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R&D사업의 전주기적 관점(사업기획, 예산배분·집행, 운영, 평가)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특히, [Fig. 3]은 주요 개선방안을 도식화한 것으로 다부처 R&D 사업 전주기에 걸쳐 다부처 협업, 조정의 기능이 작동함으로써, 전략적 예산배분 및 실효성 강화에 필요한 추진체계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부처R&D사업 추진정책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한 논의 하에서 시작된 다부처R&D사업은 사업기획 이후 실질적인 사업수행 단계에서 부처간 협력 및 조정기능이 작동되고 있지 않아 다부처R&D사업 추진정책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다부처R&D사업이 부처 고유사업에 비해 투자우선순위가 높기 어려운 점들로 인해 예산확보도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R&D사업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정부R&D사업은 기업경쟁력 제고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부R&D 지원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과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2],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다부처R&D사업의 기획의도에 맞게 원활하게 사업이 추진되는 것이 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종자산업 육성 사업은 어떤 체계로 구성되어 있는가? 본 사업은 글로벌 종자산업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종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개발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미래 유망산업으로서의 종자산업 육성이 절실하며, 전략적 개발이 필요한 종자를 설정하고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해수부,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산림청이 4,911억원 규모로 예산을 출연하고, GSP운영위원회, GSP운영지원센터, 사업단(장)의 추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 내 GSP운영위원회와 GSP운영지원센터 간의 일부 기능의 중복이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한 기능의 배분이 요구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I. Choi, & J. E. Kim, "The Analysis of S&T Policy Changes and Investment Direction of National R&D",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2, pp.11-23, 2012. 

  2. S. U. Choi, et al., "The Effe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Program Participation Factor for SMEs R&D Performanc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2, No. 5, pp.171-180, 2014. 

  3. J. E. Seong, et al., "Designing a new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governance in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0. 

  4. S. D. Lee, "US analysis system planning and adjustment of the IT R&D Systems",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05. 

  5. H. D. Cho, et al., "The Analysis of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Korean Govement R&D Programs and Policy Recommend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03. 

  6. DOI : http://www.rcuk.ac.uk/ 

  7. DOI : http://www.rcuk.ac.uk/research/xrcprogrammes/ 

  8. S. N. Lee, et al., "The Analysis of Government R&D Budget and Investment Trends of major countries in 2012",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3. 

  9. DOI : https://www.rndcall.go.kr/development/development01.jsp 

  10. S. G. Hong, et al.,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e Government R&D Program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00. 

  11. T. Z. Ya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easures associated multi departmen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pp.225-239, 2004. 

  12. H. D. Cho, et al., "The Collaborativ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ulti-Ministerial R&D Programs and Policy Recommend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1. 

  13. S. G. Ahn, et al., "The department perform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systems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015. 

  14. DOI: https://www.nstc.go.kr/download.jsp?idx50&groupMEETING 

  1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Golden Seed Project specific project evaluation report",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5. 

  16.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T based Social-problem Solving Total Action Plan", 2013. 

  17. J. W. Kim, & K. S. Ha, "A Comparative Study on Government R&D Evaluation System in Selected Countri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4, pp.77-90, 2013. 

  18. S. K. Lee, et al., "A Study on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Trust",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9, No. 3, pp.145-163, 2011. 

  19. J. M. Lee, & W. S. Cheon, "Efficiency Analysis of Government Budget to HRD Program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Research Center Cas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4, pp.55-62, 2012. 

  20. H. S. Kim, & Y. B. Sh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action Model of Institutional Chang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Focused on R&D Funding System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9, pp.29-43, 2013. 

  21. M. S. Yim, "A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Service of MyMusicTaste : The Success Factors for Online Platform Service Innov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87-92, 2014. 

  22. E. Y. Park, & D. G. Kwag, "The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or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99-10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