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초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Matter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477 - 487  

조건상 (대림대학교 스포츠지도과) ,  최영준 (부산외국어대학교 사회체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체육활동을 실시하는 4,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42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검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로분석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또래존재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또래존재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matter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The number of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9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in Gyeonggi-do.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여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은 관계가 있는가? 둘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또래존재감은 학교 생활적응과 관계가 있는가? 셋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관계가 있는가?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가?
  •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은 관계가 있는가? 둘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또래존재감은 학교 생활적응과 관계가 있는가? 셋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관계가 있는가?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존재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적인 경험이 아이들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이중, 부정적인 경험들은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으로 작용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에 많은 어려움의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초등학교 아동들로하여금 성인 못지않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하며[1], 이로 인해 학교생활에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기도 한다[2].
자아탄력성은 어떤 개념인가? 이처럼 좌절이나 실패의 상황을 유연하게 반응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회복속도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을 자아탄력성이라고 한다.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측면에 따른 성공적인 적응과 관련되어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는 개념으로[8], 대인관계성의 요구나, 사회적 지지와 같이 또래집단 적응의 폭을 넓히기 위한 인지 및 행동전략을 조절하기도 하지만[9,10,11], 자아존중감이나 자기 개념 등 자아의 동기 조절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이기도 하다[12,13].
학교생활의 부적응이 야기하는 것은 무엇인가? 학교생활의 부적응은 학습활동에 대한 흥미결여와 심하게는 학업 중단이라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이미 2013년 교육기본통계조사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나타난 학업중단 현황이 2010년 11,634명에서 2012년 19,163명으로 증가했다는 조사결과는 학교부적응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 Compas, B, R. Hinden, C, A. Gerhardt,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s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146, pp. 265-293, 1995. 

  2. Byeong Seok Min, "Relationship between the Taekwondo training and ego-resiliency,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9, No. 5, pp. 61-72, 2010. 

  3. Ministry of Education. "2013 Education Basic Surve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3. 

  4. Ministry of Education. "2013 Education Basic Survey".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5. 

  5. Min Jin Kim, "An Exploratory Study of Student's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First Grade."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Vol. 39, No. 1, pp. 181-210, 2008 

  6. Kyung Hoon Min, Jong Min Lee, "Influence of Sport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Emotion, Self-regulation and Adaption of School."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20, No. 4, pp. 147-159, 2015. 

  7. G. W. Ladd., B. J. Kochenderger, C. C. Coleman,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Vol. 67, No. 3, pp. 1103-1118, 1996 

  8.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9. A. S. Masten, K. M Best, N. Garmezy, "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2, No. 4, pp. 425-444, 1990. 

  10. J. H Block, A.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No. 2, pp. 349-361, 1996. 

  11.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No. 5, pp. 1067-1079. 1996 

  12. Seang Leol Yoo, Hyok Ju Eurm, Jung Gil Park, "A Case Study on Student-athlete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Theory of Self-resilience."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22. No, 4. pp. 169-182, 2011. 

  13. Keun Mo Lee, Nam Mi Lee, "The analyses on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y of middle-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ports-club."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8, No. 1, pp. 67-79, 2009. 

  14. Ok Seon Kim, Yoon Ju Oh, Myung Goo Choi, "Family strengths,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9, No. 3, pp. 761-777, 2005. 

  15. Jong Un Kim, In Yeong Jang,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early adolescents in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3, pp. 467-476, 2015. 

  16. Chun Ok Yu, Gab Joon Park, Seung Hwan Kim,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Life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22. No. 2, pp. 109-126, 2015. 

  17. Yoon Joo Le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parents conflict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5, No. 2, pp. 435-449, 2004. 

  18. Yon Sook Lee,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Activities Programs Participation for After School and Ego-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Vol. 19, No. 3, pp. 511-528, 2006. 

  19. Young Suk Lee, Kwang Hee Yang, Seung Jin Han, "The Effect of Leisure Sport Activity and The Type of School Depending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Resilience." 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21, No. 1, pp. 253-262, 2015. 

  20.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School violence against general measures." Joint Interagency, 2012. 

  21.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plan activ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3. 

  22. Elliott, G. C., Kao, S., & Grant, A. M.(2004). Mattering: Empirical validation of a social-psychological concept. Self and Identity, 3, 339-354. 

  23. J. E Myers, A. Bechtel, "Stress, wellness, and mattering among cadets at West Point: Factors affecting a fit and healthy force." Military Medicine, Vol. 169, pp. 475-482, 2004. 

  24. A. D. Rayle, "Mattering relationship."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84, No. 4, pp. 483-487, 2006. 

  25. A. Dixon Rayle, "Do school counselors matter? Mattering as a moderator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Vol. 9, pp. 206-215, 2006. 

  26. S. K. Dixon, S. E. Robinson Kurpius, "Depression and College Stress Among University Undergraduates: Do Mattering and Self-Esteem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 49, No. 5, pp. 412-424, 2008. 

  27. Kyung Mee Lee, Han Ik Jo, Gi Soo Jeo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Bullying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2, No. 11, pp. 461-486, 2015. 

  28. Sung Kyung Yoo, Se Hee Hong, Bo Yoon Choi.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ttach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Family Risks and Adap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8, No. 1, pp. 392-408, 2004. 

  29. Han Na Choi, Youn Sun Lim,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tering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3, pp. 1699-1715, 2013. 

  30. Sun Mo Moon, "Study on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 Teaching Search. Vol. 4, 19-28. 1977. 

  31. Sang Phil Lee,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school adjustment level analysis."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1990. 

  32. Byung Soo Min, "Influence school adjustment and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1991. 

  33. Jong Pil Wo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Woojongpil professor: AMOS 4.0-20.0." Seoul: Hannarae Academy, 2012. 

  34. C. Fornell,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1981. 

  35. Ok Ran Kim, Wan Il Kim,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lexity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mong Military Soldiers: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Perspective-Tak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7, No. 1, pp. 159-181, 2015. 

  36. S. K. Dixon, R. S. E. Kurpius, "Depression and college stress among university undergraduates: Do mattering and self-esteem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 49, No. 5, pp. 412-424, 2008. 

  37. J. Hendrick, "The whole child. Columbus." Ohio: Charles Merrill. 2000. 

  38. A Dixon Rayle, "Mattering to Others: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Relationship."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84, No. 4, pp. 483-487, 2006. 

  39. Soon-ok, Sung, Mi-dan Park, Young-hee, Kim,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Correlation between School Stress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Research, Vol. 20. No, 8. pp 49-70, 2013. 

  40. D. Cicchetti, S. L. Toth, "Developmental processes in maltreated children. In D. Hansen(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46. Child maltreatment (pp.85-160).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0. 

  41. S. Y. Park et al., "Parent-Child Relation 7th editon. Seoul: Gyomoon.", 2006. 

  42. Eun Suk Hong,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Vol. 41. No, 2. pp 45-67, 2006. 

  43. Hyeon Min Cho, Young Jun Choi,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Relationship, Socializ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4. No, 6. pp 833-843, 2015. 

  44. Sang Jun Han, Sang Heang Lee,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nvergence Leisure Sports Activities." Journal of Dis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515-523, 2015. 

  45. Ji won Lee, Kyung-hee Kang,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69-74, 2014. 

  46. Kyoung-A Chung, Ji-Hyun Cho,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43-15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