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8세 아동의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thographic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on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in Children Aged 5-8 Yea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535 - 546  

나예주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하지완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세에서 8세의 아동 각 15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철자지식(자모지식, 소리-글자 대응지식, 철자표상), 음운인식(단어인식, 음절인식, 음소인식), 시각적 단어 해독(자소-음소 일치 단어 읽기, 불일치 단어 읽기), 시각적 단어 부호화(자소-음소 일치 단어 받아쓰기, 불일치 단어 받아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철자지식, 음운인식, 시각적 단어 해독, 시각적 단어 부호화의 모든 과제에서 연령 집단 간 수행력 차이가 유의하였고, 각 과제 수행력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중 불일치 단어 철자표상, 음절인식, 음소인식이 본 연구 대상자들을 연령에 따라 보다 민감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음운인식보다는 자모지식과 철자표상과 같은 철자지식 능력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기 전후 철자에 보다 익숙해지면 음운인식보다 철자지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among orthograph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abilities. Children aged 5 to 8 years took letter knowledge test,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test,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re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운인식과 철자지식의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두 능력 간 관계 및 시각적 단어의 해독과 부호화에 두 능력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합적으로 살펴본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연령에 따른 철자지식과 음운인식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것이 시각적 단어의 해독과 부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음운변동규칙이 적용된 단어는 자소와 음소 간 대응이 일치 하지 않기 때문에, 음운변동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단어보다 읽기와 쓰기 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운변동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자소-음소 일치 단어와 음운변동규칙이 적용된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로 나누어, 각 단어에 대한 해독과 부호화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철자지식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을 알아본 후, 철자지식과 음운인식 능력이 시각적 단어의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시각적 단어 해독을 위해서는 자소-음소 일치 단어와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 읽기 과제를 사용하였고, 시각적 단어 부호화를 위해서는 자소-음소 일치 단어와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 받아쓰기(spelling dictation) 과제를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연령(5∼8세)에 따라 철자지식, 음운인식,시각적 단어 해독, 시각적 단어 부호화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철자지식, 음운인식, 시각적 단어 해독, 시각적 단어 부호화 능력 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철자지식과 음운인식 중 시각적 단어 해독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무엇인가? 넷째, 철자지식과 음운인식 중 시각적 단어 부호화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따한가?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세에서 8세의 아동 각 15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철자지식(자모지식, 소리-글자 대응지식, 철자표상), 음운인식(단어인식, 음절인식, 음소인식), 시각적 단어 해독(자소-음소 일치 단어 읽기, 불일치 단어 읽기), 시각적 단어 부호화(자소-음소 일치 단어 받아쓰기, 불일치 단어 받아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철자지식, 음운인식, 시각적 단어 해독, 시각적 단어 부호화의 모든 과제에서 연령 집단 간 수행력 차이가 유의하였고, 각 과제 수행력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중 불일치 단어 철자표상, 음절인식, 음소인식이 본 연구 대상자들을 연령에 따라 보다 민감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음운인식보다는 자모지식과 철자표상과 같은 철자지식 능력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기 전후 철자에 보다 익숙해지면 음운인식보다 철자지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어의 경우 구어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한국어의 경우 구어는 음운구조에 근거하는 반면 문어는 형태구조에 근거하는 특징을 가진다. 형태구조와 음운구조와 일치하지 않으면 구어 시 음운변동규칙이 적용된다.
단어 해독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단어 해독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성별,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지능, 음운인식, 철자지식 등이 자주 언급되는데[3], 이 중 초기 읽기 발달에는 음운인식과 철자지식이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4]. 음운인식이란(phonological awareness) 언어의 말소리 구조에 대한 의식적 민감도(Wikipedia, 2011)로, 말소리의 음운 구조에 대해 아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W. Catts and A. G. Kamhi.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New York: Allyn & Bacon, 2005. 

  2. H. H. Han. "The effects of game centered language program on the word recognition capability for students with mentally retard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8. 

  3. S. W. Ahn.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nd age."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 8, No. 1, pp. 1-23, 2011. 

  4. S. W. Ahn and M. J. Heo. "A Study of knowledge of letter names and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for Korean kindergarten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Vol. 13, No. 2, pp. 267-287, 2011. 

  5. S. I. Hong.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childre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1. 

  6. T. P. Hogan, H. W. Catts and T. D. Littl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 36, No. 4, pp. 285-293, 2005. 

  7. E. W. Ball and B. A. Blachman. "Phoneme segmentation training: Effect on reading readiness." Annals of Dyslexia, Vol. 38, pp. 208-225, 1988. 

  8. J. L. Eldredge and J. E. Baired. "Phonemic awareness training works better than whole language instruction for teaching first graders how to write."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Vol. 35, No. 3, pp. 193-208, 1996. 

  9. J. L. Anthony and D. J. Francis.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s, Vol. 14, No. 5, pp. 255-259, 2005. 

  10. A. Castles, K. Wilson and M. Coltheart. "Early orthographic influences on phonemic awareness tasks: Evidence from preschool training stud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 108, pp. 203-210, 2011. 

  11. W. R. Lee. "The effects on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ch, and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rough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Vol. 12, pp. 61-80, 2003. 

  12. C. K. Lee. "Error analysis of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3, pp. 381-387, 2013. 

  13. Y. T. Kim, G. H. Hong, K. H. Kim, H. S. Jang and J. Y. Le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4. Y. T. Kim and M. J. Shin.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U-TAP)." Seoul: Hakjisa, 2004. 

  15. Kim, M. J. (1995). The effects of reading training by phonics methods on reading ability of reading disability children."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6. H. S. Maeng. "The effects of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4. 

  17. H. J. Park. "The effect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18. B. H. Oh.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parallel with phonics instruction on word reading and spelling of poor reader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6. 

  19. Y. K. Kim and D. I. Seok. "Consideration of an essential property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Vol. 15, pp. 17-43, 2006. 

  20.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of the vocabulary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9. 

  21. H. J. Kim and J. R. Cho. "Cognitive development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and reading of Hangul in pre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4, No. 2, pp. 15-28, 2001. 

  22. H. S. Je. (2014). "Effect of emergent literacy skills on monosyllable reading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4. 

  23. E. Y. Choi and J. H. Lee. "Analysis based on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writing by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4, pp. 261-284, 2010. 

  24. F. R. Manis, L. M. Doi and B. Bhadha. "Naming speed,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thographic knowledge in second grader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 33, No. 4, pp. 324-433, 2000. 

  25. H. R. Park.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related skills in poor comprehenders, poor readers and normal readers in Hangu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3, pp. 295-30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