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포항분지 시추코어의 공극구조 분석
An Analysis of Pore Network of Drilling Core from Pohang Basin for Geological Storage of CO2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6 no.3, 2016년, pp.181 - 191  

박지환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박형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시 암석 내부의 공극구조는 지층 내 이산화탄소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분지 영일만 지역에서 채취한 시추코어를 대상으로 X선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3차원 영상을 취득하고, 그 내부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가지 목표지층인 심도 740 m, 780 m, 810 m 부근에서 채취한 사암 시료(T1, T2, T3)의 공극률은 각각 25.22%, 23.97%, 6.28%로 분석되었다. 등가직경, 공극 부피, 공극 표면적, 국부두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T1, T2 시료가 T3 시료에 비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산화탄소 주입 조건 결정, 지층 내 이산화탄소 유동 해석 등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ological storage of $CO_2$, the behavior of $CO_2$ is influenced by pore network of rock. In this study, the drilling cores from Pohang Basin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acquired by X-ray micro computed tomography. The porosities of sandst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6 mm)에 대해 등가직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시료에 대해 0 ~50 ㎛, 50 ~ 100 ㎛, 100 ~ 150 ㎛, 150 ~ 200 ㎛, 200 ~250 ㎛, 250 ~ 300 ㎛, 300 ~ 350 ㎛, 350 ~ 400 ㎛, 400 ~ 450 ㎛, 450 ~ 500 ㎛, 500 ~ 550 ㎛, 550 ~600 ㎛, 600 ㎛이상의 13개의 범위로 등가직경의 분포를 나타내고 이를 분석하였고, 이를 가시화한 영상은 Fig. 4와 같다. T1, T2, T3 시료에서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한 공극의 개수는 각각 24,818개, 47,859개, 44,830개였으며, 그 분포는 Fig.
  • X선 단층촬영 영상의 처리과정을 간단히 표현하면 Table 2와 같다. 각각의 시료에 대해 측면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모든 방향에 대한 수천 장의 영상을 취득하였다. 그 후 대상 시료를 상하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단면 영상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재형성(reconstruction) 과정이라 한다.
  • 각각의 시료에서 관심영역으로 설정한 800 × 800 ×1000 픽셀 (5.97 mm × 5.79 mm × 7.46 mm)에 대해 등가직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 국내 포항분지 영일만 지역에서 최초로 시도하는 Pilot 규모의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시추코어 공극구조 연구는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선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해당 지역에서 취득한 시추코어의 영상을 고해상도로 취득하고, 공극률, 공극 크기 분포, 국부두께 등의 항목에 대해 내부 공극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또한 시추코어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목표 지층마다 각각 한 개씩의 시료만을 이용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그로 인해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값이 전체 지층을 대표한다고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국부두께를 통해 암석 내 공극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시료에 대해 국부 두께를 가시화하였고, 그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이 세 가지 지층에서 회수된 암석 코어를 직경 15.1 mm의 원통형 시료로 가공하였다. X선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암석의 영상을 취득할 때 암석시료의 크기가 클수록 공간해상도는 나빠지게 되므로 작은 시료를 이용해 영상을 취득하였다.
  • 따라서 암석과 공극의 경계가 모호하게 되는 smoothing 현상이 발생한다(Lee and Keehm, 2009). 이를 제거하기 위해 Sharpening 필터를 이용해 각각의 픽셀에서 접하는 주변 26개 픽셀의 평균값을 제거하여 암석과 공극의 경계를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한다(Fig. 3(b)).

대상 데이터

  • X선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암석의 영상을 취득할 때 암석시료의 크기가 클수록 공간해상도는 나빠지게 되므로 작은 시료를 이용해 영상을 취득하였다. 740 m 부근의 시료는 T1, 780 m 부근의 시료는 T2, 810 m 부근의 시료는 T3로 명명 하였으며, 시료의 상세는 Table 1과 같다. T1 시료는 직경 15.
  • 27 ㎛의 두께를 가졌다. T3 시료는 총 341,988개 지점에서 측정되었고 국부두께는 3.73 ~ 74.91 ㎛의 분포를 가졌고, 평균 8.64 ㎛의 두께를 가졌다. 공극의 두께를 가시화한 영상은 Fig.
  • 1 mm의 원통형 시료로 가공하였다. X선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암석의 영상을 취득할 때 암석시료의 크기가 클수록 공간해상도는 나빠지게 되므로 작은 시료를 이용해 영상을 취득하였다. 740 m 부근의 시료는 T1, 780 m 부근의 시료는 T2, 810 m 부근의 시료는 T3로 명명 하였으며, 시료의 상세는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이용된 SkyScan 1173 high-energy micro-CT 모델의 X선 광원은 130 kV의 전압과 60 µA의 전류를 가지고 있고, 평면 감지기는 2240 × 2240 개의 픽셀을 가지고 있고, 하나의 픽셀 크기는 50 µm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단면마다 800 × 800 픽셀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였고, 1,000장의 이미지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경 15.1 mm를 가지는 세 개의 사암 시료에 대해 X선 단층촬영 영상을 취득하였고, 취득 조건도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공간해상도는 7.
  • 연구 지역인 포항분지 영일만 지역은 36°03’S, 129°27‘E 에 위치하고 있다(Fi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X선 단층촬영이란 무엇인가? X선 단층촬영이란 대상 시료에 대해 수천 장의 X선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이용해 3차원 밀도 정보를 얻는 기법이다. 비파괴기법이기 때문에 시료를 파괴하지 않고 시료 내부의 정보를 고해상도로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X선 단층촬영의 장점은 무엇인가? X선 단층촬영이란 대상 시료에 대해 수천 장의 X선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이용해 3차원 밀도 정보를 얻는 기법이다. 비파괴기법이기 때문에 시료를 파괴하지 않고 시료 내부의 정보를 고해상도로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X선 단층촬영 기기는 Fig.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산화탄소는 주요한 온실가스 중 하나로, 화석연료의 연소, 삼림벌채, 생물의 호흡, 화산 등으로 인해 발생된다. 2016년 3월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는 4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emu, B.L., Aker, E., Soldal, M., Johnsen, O. and Aagaard, P., 2011, Influence of $CO_2$ on rock physics properties in typical reservoir rock: A $CO_2$ flooding experiment of brine saturated sandstone in a CT-scanner, Energy Procedia. 4, 4379-4386. 

  2. Andrew, M., Bijeljic, B. and Blunt, M.J., 2013, Pore-scale imaging of geological carbon dioxide storage under in situ conditions, 40, Geophys. Res. Lett. 3915-3918. 

  3. Bennion, D.B. and Bachu, S., 2006, The impact of interfacial tension and pore size distribution/capillary pressure character on $CO_2$ relative permeability at reservoir conditions in $CO_2$ -brine systems, SPE/DOE Symposium on Improved Oil Recovery, Tulsa, Oklahoma. 

  4. Bera, B., Mitra, S.K. and Vick, D., 2011, Understanding the micro structure of Berea Sandstone by the simultaneous use of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and 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BSEM), Micron. 42.5, 412-418. 

  5. Chadwick, R.A., Zweigel, P., Gregersen, U., Kirby, G.A., Holloway, S. and Johannessen, P.N., 2004, Geological reservoir characterization of a $CO_2$ storage site: The Utsira Sand, Sleipner, northern North Sea, Energy. 29, 1371-1381. 

  6. Chae, K.S., Lee, S.P., Yoon, S.W. and Matsuoka, T., 2010, Trends of underground $CO_2$ storage technology for the large scale reduction of GHG, Tunnel & Underground Space, 20.5, 309-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B.Y., Park, Y.C., Shinn, Y.J., Kim, K.Y., Chae, G.T. and Kim, J.C., 2015, Preliminary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 in a small-scale $CO_2$ injection pilot site: 1. Prediction of $CO_2$ plume migration, J. Geol. Soc. Korea. 51.5, 487-4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Davis, T.L., Terrell, M.J., Benson, R.D. and Kendall, R.R., 2002, Seismic monitoring of the $CO_2$ flood at Weyburn Field, Saskatchewan, Canada, 64th EAGE Conference & Exhibition, Florence. 

  9. Delerue, J.F., E. Perrier, Z.Y. Yu and B. Velde, 1999, New algorithms in 3D image analysi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measurement of a spatialized pore size distribution in soils, Phys. Chem. Earth (A), 24(7), 639-644. 

  10. Gunde, A.C., Bera, B. and Mitra, S.K., 2010, Investigation of water and $CO_2$ (carbon dioxide) flooding using micro-CT (micro-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Berea sandstone core using finite element simulations, Energy, 35,12, 5209-5216. 

  11. Ivanova, A., 2013, Geological structure and time-lapse studies of $CO_2$ injection at the Ketzin Pilot Site, Germany. Acta Universitatis Upsaliensis. Digital Comprehensive Summaries of Uppsala Dissertations from the Facul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026. 96p. Uppsala. 

  12. Jo, Y., Chang, C., Shinn, Y.J., Song, I. and Kwon, Y.K., 2015, Geomechanical risk assessment on shear activation of faults in the $CO_2$ storage test site, offshore Pohang, South Korea, AGU Fall Meeting 2015, San Francisco. 

  13. Kim, H.M., Park, E.S., Synn, J.H. and Park, Y.C., 2008, Greenhouse gas ( $CO_2$ ) geological sequestration and geomechanical technology component, Tunnel & Underground Space, 18.3, 175-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K.Y. and Kim, K., 2014, Evaluation of Pore Size Distribution of Berea Sandstone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3, 353-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M and Keehm, Y., 2009, Smoothing effect in X-ray microtomogram and its influence on the physical property estimation of rocks,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12, 4, 347-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etz, B., Davidson, O., De Coninck, H., Loos, M. and Meyer, L., 2005,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1p. 

  17. NASA, 2016.05.15., http://climate.nasa.gov/vital-signs/carbondioxide/. 

  18. Oh, J.H., Kim, K.Y., Kim, T. and Kim, J.C., 2010, A review of laboratory experiments for $CO_2$ Geological Storage, Econ. Environ. Geol. 43.3, 291-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J., Lee, M. and Wang, S., 2013, Study on the geochemical weathering process of sandstones and mudstones in Pohang Basin at $CO_2$ storage condition, Econ. Environ. Geol. 46.3, 221-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J.Y., Kim, J.M. and Yoon, S.H., 2015, Threedimensional geologic modeling of the Pohang Basin in Korea for geologic storage of carbon dioxide, J. Geol. Soc. Korea. 51.3, 289-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errin, J.C. and Benson, S.,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core scale heterogeneities on $CO_2$ distribution in reservoir rocks, Transp. Porous Med. 82, 93-109. 

  22. Shi, J.Q., Xue, Z. and Durucan, S., 2011, Supercritical $CO_2$ core flooding and imbibition in Berea sandstone-CT imaging and numerical simulation, Energy Procedia. 4, 5001-5008. 

  23. Song, C.W., Son, M., Sohn, Y.K., Han, R., Shinn, Y.J. and Kim, J.C., 2015, A study on potential geologic facility site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 Geol. Soc. Korea. 51.5, 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99, Geology of Korea, Sigma Press, Seoul, 802p (in Korean). 

  25. Uemura, S., Kataoka, R., Fukabori, D., Tsushima, S. and Hira, S., 2011, Experiment on liquid and supercritical $CO_2$ distribution using micro-focus X-ray CT for estimation of geological storage, Energy Procedia. 4, 5102-5107. 

  26.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J. Geol. Soc. Korea. 11, 187-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n, S., 1992, Geology of the Tertiaty Yangnam and Pohang Basins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Bull. Mizunami Fossil Mus. 19, 1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Zhou, N., Matsumoto, T., Hosokawa, T. and Suekane, T., 2010, Pore-scale visualization of gas trapping in porous media by X-ray CT scanning, Flow Meas. Instrum. 21.3, 262-2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