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패션 사진에 나타난 유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y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3, 2016년, pp.261 - 271  

김종선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전재훈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하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element playfulness in fashion photographs related to openness and multiple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art. A total of 105 fashion photographs from US and UK Vogue magazine editorials and advertisements for the last five years were se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유희는 예술을 창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우리 삶에서 분리될 수 없는 요소로 재미와 즐거움을 유희의 본질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어린아이의 유희와 같이 목적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진지함과 거리가 먼 활동이며, 유머나 웃음, 희극 등의 특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유희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이미지 중심의 미디어 문화 속에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패션 사진을 통해 현대 예술에서의 개방성 및 다중적 의미와 관련된 유희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패션 사진은 현실의 사실적 재현을 뛰어넘어 다양한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는 매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 특히 광고주들이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작가들 중에서 자신들의 광고와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사진작가를 찾아가 광고를 의뢰하기도 하며 상품 카탈로그 작업도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처럼 표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애드버타이징 패션 사진과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패션 사진에 표현된 유희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서 에디토리얼 패션사진과 애드버타이징 패션 사진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1차, 2차 분석을 통해 선정된 총 105장의 사진들은 각각 애드버타이징 패션 사진 71장,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34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예술적인 과정으로 이해되는 유희의 다양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사진 매체가 가지는 시각적 표현 형식의 특수성을 반영한 현대 패션 사진에 나타난 유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패션 사진에 등장하는 의복만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이 아닌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모델, 구도, 앵글, 오브제, 편집기술 등 시각적 표현 요소 각각과 그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콘셉트 등에 종합적으로 나타난 유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예술적인 과정으로 이해되는 유희의 다양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사진 매체가 가지는 시각적 표현 형식의 특수성을 반영한 현대 패션 사진에 나타난 유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패션 사진에 등장하는 의복만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이 아닌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모델, 구도, 앵글, 오브제, 편집기술 등 시각적 표현 요소 각각과 그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콘셉트 등에 종합적으로 나타난 유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패션 사진에 도입하기 적합한 유희적 표현 방법의 기준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시각적 이미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역할 중 유희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패션 사진에 나타난 유희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패션 사진의 구성요소와 시각적 표현 요소를 구분하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진의 맥락적 요소로서 주제와 콘셉트를, 시각적 표현 요소로서 구도와 앵글, 모델의 포즈, 시선처리, 오브제, 편집기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패션 사진에 등장하는 의복만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이 아닌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시각적 표현 요소 각각과 그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콘셉트 등에 종합적으로 나타난 유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사진을 통해 현대 예술에서의 개방성 및 다중적 의미와 관련된 유희성을 파악하는 것이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것은 ‘예술의 종말’과 같은 맥락에서 이 세계를 더 이상 놀라움과 혁신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미 펼쳐진 가능성들이 단지 유희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희적 조작을 통해 새로움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오늘날 유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며 특히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시대적 정서를 담아내는 패션 사진은 유희성을 분석하기에 적절한 매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문화 속에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패션 사진을 통해 현대 예술에서의 개방성 및 다중적 의미와 관련된 유희성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가 정의한 유희란 무엇인가? 한편 프랑스 인류학자인 레비스트로스(Caude Levi-Strauss)는 유희란 문화적 절차로서 어떠한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미 존재하는 것을 조작하는 패러다임이라고 하였다(Kong, 2007). 이것은 ‘예술의 종말’과 같은 맥락에서 이 세계를 더 이상 놀라움과 혁신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미 펼쳐진 가능성들이 단지 유희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션 사진은 어떤 매체라 할 수 있는가? 최근에는 패션 사진가들이 화랑 전시를 통해 그들의 작업을 미술 오브제로 제시하는 것이 통상적인 일이 되었고 예술과 패션 사진의 구분이 희미해지면서 과거의 패션 사진 대가들은 이미 예술가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Kang, 2007). 이제 패션 사진은 패션상품을 제시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차원을 넘어 사진작가들의 창조적 예술성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시대적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고도의 예술성을 지닌 표현매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dvertising for Bloomingdale's. (2013, September). VOGUE USA, p. 418. 

  2. Advertising for CH. (2011, January). VOGUE USA, p. 107. 

  3. Advertising for DOLCE & GABBANA. (2014, August). VOGUE UK, p. 86. 

  4. Advertising for Fame Lady Gaga. (2013, April). VOGUE UK, p. 122. 

  5. Advertising for FRENCHCONNECTION. (2013, October). VOGUE UK, p. 278. 

  6. Advertising for jcrew. (2010, December). VOGUE USA, p. 76. 

  7. Advertising for kate spade. (2014, December). VOGUE USA, p. 73. 

  8. Advertising for KENZO. (2013, September). VOGUE USA, p. 287. 

  9. Advertising for KENZO. (2014, September). VOGUE UK, p. 89. 

  10. Advertising for LOUIS VUITTON. (2013, May). VOGUE USA, p. 230. 

  11. Advertising for Marc Jacobs. (2010, April). VOGUE USA, p. 21. 

  12. Advertising for Stella McCartney. (2013, May). VOGUE UK, p. 98. 

  13. Advertising for TARGET. (2010, April). VOGUE USA, p. 32. 

  14. Advertising for Vertu. (2013, December). VOGUE UK, p. 121. 

  15. Already Way Ahead by Steven Klein. (2010, April). VOGUE USA, p. 235. 

  16. An, G. J. (2012).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black humor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7. Cho, H. J., & Kim, U. Y. (2005). A study on difference of humor preferences and us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31, 355-378. 

  18. Dancing days by Annie Leibovitz. (2014, December). VOGUE USA, p. 277. 

  19. Final Gestures by Annie Leibovitz. (2010, July). VOGUE USA, p. 144. 

  20. Friedrich, S. (2012). Briefe uber die asthetosche erziehung des menschen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 H. Ahn, Trans.). Seoul: Human 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23) 

  21. Honey-Do by Tim Walker. (2013, May). VOGUE USA, p. 587. 

  22. Jang, J. I. (2008). Playful express in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6), 1142-1155. 

  23. Jang, J. I. (2013). Visual humor expressed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4. Johan, H. (2010).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s in culture (J. I. Lee, Trans.). Seoul: Yeonamseoga. (Original work published 1938) 

  25. Jung, S. I. (2006). Framing photographs. Seoul: Hanbit. 

  26. Kang, T. H. (2007, July). I'll be your mirror - Art & fashion photography. Art Forum, pp. 160-167. 

  27. Karate Kid by Mario Testino. (2013, May). VOGUE USA, p. 515. 

  28. Kim, H. J. (2006). A study on the playing characteristics found on the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9. Kim, Y. P. (2011). How to read photography: The world of photography. Seoul: Noonbit. 

  30. Kong, B. H. (2007). Problems and methods of aesthetics play. In the editorial committee for the Korean companion to aesthetics (Eds.), Play. (pp. 469-485).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1. Lee, C. Y., & Ha, J. S. (2014). Madness images shown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in Vogue Italia since 2000.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3), 450-467. doi:10.7741/rjcc.2014.22.3.450 

  32. Lee, Y. H. (2013). The women's bodies in fashion photography -On theory of feminism and gaz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3. Mary Walis and her light line by Linsey adelman studio. (2014, December). VOGUE USA, p. 166. 

  34. Passion play by Steven Klein. (2013, July). VOGUE USA, p. 139. 

  35. Power Trip by Annie Leibovitz. (2013, February). VOGUE USA, p. 214. 

  36. The Futures So Bright by Theo Wenne. (2014, May). VOGUE UK, p. 287. 

  37. Seo, Y. S. (2004). A study on visual expression effect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Design Forum, 9, 253-265. 

  38. Susan, S. (2011). Photography & text. In Kim W. R. (Eds.), Photography within the humanities (pp. 173-185). Seoul: Noonbit. (Original work published 1975). 

  39. Whole In One by Rachel Perry Welty. (2011, December). VOGUE USA, p. 303. 

  40. Yu, Y. B. (2002). Research about photographic expression in magazine advertisement -Concentrate upon fashion magazi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