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신진패션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연구 - 영국 런던시의 지원 사업을 기초로 -
An Investigation into the Nurturing Strategy of Korean Young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Expansion - Based on London's Young Designers' Support Programs -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3, 2016년, pp.272 - 281  

김혜은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year 2000 on, Seoul has aimed to be a fashion city, and thus has been supporting young designers through Seoul Fashion Creative Studio, Generation Next, Le Dome, Concept Korea, etc. London is famous for nurturing young designers through the joint help of government, schools and industr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국패션협회와 단체들은 여러 디자이너에게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패션계 진출·성장을 돕고, 런던패션위크를 신진 진출의 장이라는 명성을 얻게 하였다(“About the BFC”,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더 적합한 런던의 지원정책을 롤 모델로 벤치마킹해 서울시의 지원정책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하겠다.
  • 이를 위해서는 신진에 대한 명확한 정의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신진 지원정책의 발전 방안 제시 및 실행 전략 제안을 목표로 하고 런던 시의 성공적인 지원 사업을 분석하여 신진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방향성을 설정해, 서울시의 지원 방향을 제시하면 신진 지원정책 수립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단계별, 지속적, 실질적 지원과 지원 홍보, 정부 산업체간 공조 지원, 중복지원 제한조례를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신진디자이너의 성공적 지원으로 세계시장에 안착한 런던시 지원 사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실행 전략을 기획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런던시의 신진디자이너 육성 사례의 정책 및 구조진단을 통해 서울시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신진 지원정책의 발전 방안 제시 및 실행 전략 제안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런던시의 성공적인 지원 사업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신진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의 비전과 지원정책을 수립하도록 한다. 연구범위는 서울시에 사업장을 둔 브랜드 설립 이전 단계인 학생, 졸업생, 창업 준비자를 제외한 서울연구원에서 구분한 진입과 도약 준비 단계인 브랜드를 설립한지 만 5년 이내의 안정, 정착 단계에 접어들기 전 신진디자이너로 한정한다(Seoul Institute, 2014).
  • 기관 의존도를 줄이고 기업의 참여를 늘려 자금의 안정성을 더해 장기적인 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철저히 지원자 선별을 하여 필요한 곳에 중복의 가능성을 줄이면서 신진디자이너를 양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문가 조직에 의해 단계적, 지속적, 실질적 지원을 확대하고,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직화하며, 홍보도 강화할 수 있다.
  • 런던시는 정부, 산업체, 교육계가 함께 신진 지원 사업에 성공한 도시로 런던패션위크를 신인의 등용문으로 세계적인 디자이너를 키워나가는 성공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어, 영국의 신진 지원정책은 성공 사례로 다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Jung, 2009; Oh & Nah, 2015; Sim, 2014).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런던시의 신진디자이너 육성 사례의 정책 및 구조진단을 통해 서울시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신진 지원정책의 발전 방안 제시 및 실행 전략 제안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런던시의 성공적인 지원 사업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신진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의 비전과 지원정책을 수립하도록 한다.
  • 현금 지원이 아닌 실질 지원이기 때문에, 패션기업센터에서 현금 금액의 가치를 덧붙였다. 지원 조건과 혜택을 상세히 기술해 놓아 지원자뿐 아니라 비슷한 단계에 있는 디자이너들도 어떤 항목에 집중해 준비하고 지원해야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정부 지원 부처의 다양성이다. 현재 신진패션디자이너 지원 사업은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진행되고 있다.
  • 넷째, 지원의 세분화이다. 패션 항목별 세분화된 지원을 해준다.
  • 둘째, 지원의 실질성이다. 서울시는 2009년부터는 지원에 있어서 지원금을 주는 대신에 창작스튜디오, 쇼룸 임대비용, 멘토링 서비스, 법률 상담, 해외 바이어 연결 등 실질적인 세부 지원을 신진디자이너들에게 해주고, 패션창작스튜디오, 르돔을 통해 판매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셋째, 각각의 항목별 맞춤화된 지원이 미비하다. 서울시 지원정책의 강점인 지역 특화 지원 사업을 강화해 브랜드의 시장 적응력을 높이도록 한다.
  • 셋째, 지원의 실질성이다. 상당수 지원형식이 현금 지원보다 실질 지원 형식을 취한다.
  • 셋째, 지원의 정부 중심성이다. 즉, 정부 지원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 런던시 신진디자이너 지원정책 사례를 통해 살펴본 런던의 신진 지원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의 단계성이다. 지원디자이너는 학교 졸업 후 세계적 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프로그램, 패션기업센터의 성장 단계별 프로그램 등 금액적 지원뿐 아니라 정보와 맞춤 자문 지원을 체계적으로 받게 된다.
  • 신진 지원 프로그램과 정부의 해외 시장 지원 사업을 통해 본 서울시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해외 진출 지원정책의 강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의 지역 특화성이다. 예를 들면 가장 큰 마켓으로 성장한 중국 패션시장 진출을 위한 지역 특화사업이 진행되며, 중국 내 상설 비지니스 센터의 운영을 통한 바이어 연결과 마케팅 지원을 통해 특화 지역에서 생기는 어려움을 해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산업이란? 패션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디자인 기획과정을 통해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의사 결정과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높은 산업이다. 서울시도 패션 도시를 목표로 2000년부터 패션산업 지원을 확대해 서울 패션위크, 해외 패션 전시회, 서울 패션 창작 스튜디오, 패션 비지니스 센터 운영, 동대문 패션 상권 활성화 지원 사업과 같은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서울시의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할 때 고려해야하는 한국 패션산업의 상황은 어떠한가? 반면 프랑스의 신진디자이너 지원정책의 특성은 ‘선택과 집중’으로 소수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단계별 지원’, ‘꾸준한 지원’ 정책이다(Jung, 2009). 한국의 경우 유통 구조상 편집샵과 같은 자금에 구애를 덜 받는 판매처의 발달이 2000년 이후로 뒤늦게 성장해, 신인들이 자생, 성장할 수 있는 장의 형성과 역사가 약하다(Kim, 2015). 따라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스타 양성보다 신진들이 생존, 성장해 갈 수 있는 토대 마련이 급선무이다. 영국패션협회와 단체들은 여러 디자이너에게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패션계 진출·성장을 돕고, 런던패션위크를 신진 진출의 장이라는 명성을 얻게 하였다(“About the BFC”,2015).
서울시는 패션산업 지원을 위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는가? 패션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디자인 기획과정을 통해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의사 결정과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높은 산업이다. 서울시도 패션 도시를 목표로 2000년부터 패션산업 지원을 확대해 서울 패션위크, 해외 패션 전시회, 서울 패션 창작 스튜디오, 패션 비지니스 센터 운영, 동대문 패션 상권 활성화 지원 사업과 같은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bout the BFC'. (2015). British Fashion Council. Retrieved January 11, 2016, from http://www.britishfashioncouncil.co.uk/About/About-the-BFC 

  2. Bradford, J. (2014). Fashion Journalism. London: Routledge. 

  3.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2015). State aid: The basics guide. Retrieved January 25, 2016, from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 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443686/BIS-15-417-state-aid-the-basics-guide.pdf 

  4. Jung, J. W. (2009). Research on the designer fashion industry policy: Focusing on new desig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5. Kim, H. E. (2015). An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oul Fashion Week with a focus on organisational issu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6), 895-906. doi:10.5805/SFTI.2015.17.6.895 

  6. Kim, Y. J., Yu, H. K., & Kim, H. S. (2010). A study on foreign entry in Korean textiles and fashion indus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9), 1546-1557. doi:10.5850/JKSCT.2010.34.9.1546 

  7. Kocca. (2015). 패션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A research on overseas expansion of fashion designer brands]. KOCCA. Retrieved March 16 2016, from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7/1826136.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904&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pageIndex2 

  8. Lee, Y. (2014, November 10). 중국 대륙 사로잡은 K-패션 [Kfashion attracts Chinese continent]. Yeongnam Ilbo. Retrieved December 12, 2016, from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41110.010290825540001 

  9. Oh, S. J., & Nah, K. (2015).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y for the startup of rising fashion designer: Focused on the fashion policy between UK and South Korea.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34, 63-73. 

  10. Samsung Design Net. (2016). 15/16 패션시장 분석 [15/16 Fashion market analysis]. Retrieved May 08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40195&glChkG&block0&page1&cnt9 

  11. Seoul Design Foundation. (2015). 2015년 패션 봉제 사업 종합계획 [A fashion sewing comprehensive plan in 2015]. Retrieved December 22, 2015, from http://opengov.seoul.go.kr/sanction/4120153?frompolicy 

  12. Seoul Institute. (2014). 서울시 패션정책 마스터 플랜 수립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into establishing master pla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al fashion policy]. Seoul: The Seoul Institute.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ashion Advisory Team. (2009). 2009 서울시 패션산업 발전 방안 [A fashion industry development scheme of Seoul metropolitan city 2009]. Seoul: Seoul Fashion Centre. 

  1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ultural Industry Department. (2013). 2013 글로벌 패션브랜드 육성 사업 [2013 Global fashion brand promoting business].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5. Sim, J. S. (2014, June 09, July, 14 & 21). 영국패션협회(BFC) 사업동향 1, 2, 3, 4 [British Fashion Council (BFC) business trends]. Fashionnet Korea. Retrieved January 12, 2016, from http://www.fashionnetkorea.com/market/market_gl_bizrep report_trend.asp 

  16. The Malcolm Newbery Consulting Company. (2003). A study of the UK designer fashion sector. London: The Malcolm Newbery Consulting Company. 

  17. 'Young Designers' Support Programs 1, 2'. (2015, September 21, 28). Fashionnet Korea. Retrieved January 13, 2016, from http://www.fashionnetkorea.com/market/market_do_bizreport.as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