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봉제기술자의 직무 환경 만족도와 교육 실태 파악을 위한 현장 조사
On-Site Survey of Satisfaction with Job Environments and Training Situation of the Korean Sewing Technician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3, 2016년, pp.351 - 362  

최선윤 (서울디자인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mestic sewing industry is showing signs of a redevelopment and the demands of the sewing technician are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opinions of sewing technicians about job environments and training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sewing manpower. As a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봉제기술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근무 조건과 환경, 그에 대한 만족도, 교육 기간 및 경로, 봉제업에 대한 문제점 및 미래 전망에 관한 의견을 다각도로 조사하여 대한민국 현재 봉제산업 현장 인력들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봉제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현재 국내 봉제산업의 큰 개혁과 변화의 흐름을 따라 봉제 인력의 양성과 원활한 수급이 시급한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봉제기술자의 근무 조건과 환경, 그에 대한 만족도, 봉제기술이 숙련되기까지의 교육 상황, 봉제업에 대한 문제점 및 미래 전망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여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된 봉제에서 제품불량률의 주요 원인은? 생산시스템은 Straight와 Synchronized line system, Pair system이 있었고, 생산설비의 자동화율이 낮았다. 제품불량률은 원단불량이 가장 많았고 작업자의 의식 부족이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21세기 봉제업계의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어 봉제산업을 사양산업으로 보는 일반적인 견해와 다르게 나타났다.
Industrial Districts의 특징은? 해외의 사례로 이탈리아는 자국의 봉제기반을 유지하고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을 억제하기 위해 2006년 정부의 방침으로 나폴리에 패션 유통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숙련된 생산 네트워크를 통합하였고 ‘Designed by Italy’의 이미지를 꾸준히 홍보하고 있다(Kim, 2007). 의류산업기반 특수지구인 ‘Industrial Districts’에서는 생산과정의 질적 우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원단, 부자재, 생산기계 등에 대한 개발이 함께 진행되어 제품의 질적 향상이 계속되도록 노력하고 있다(Owen & Jones, 2003)(as cited in Koo, 2008).
구직의 원활성을 질문한 결과, 과반수 이상의 봉제기술자가 직장을 구하기가 쉽다고 하였는데 그 원인은? 그리고 구직의 원활성을 질문한 결과, 과반수 이상의 봉제기술자가 직장을 구하기가 쉽다(53)고 응답하였다(Table 7). 이는 현재 봉제산업의 인력 부족 문제에 대비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봉제기술자가 직장을 구하는 경로는 지인(69)을 통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외 구인구직 정보지(28), 협회나 조합(2), 정부 기관의 구인구직 알선 서비스(2)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S. Y. (2012).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s of training human resources for Korean sewing industry.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9, 46-55. 

  2. Choi, S. Y. (2016). A survey of the opinions of managers in the sewing compan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ewing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policy on suppor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2), 150-165. doi:http://dx.doi.org/10.7741/rjcc.2016.24.2.150 

  3. Kim, H. E., & Kim, S. B. (1998).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of women's wear in Taegu through the sewing technician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 102-111. 

  4. Kim, K. M. (2005). 봉제산업 재도약 우리 손으로 [Take off of the sewing industry by our hands].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9(1), 87-89. 

  5. Kim, S. Y. (2007, September 28). Italy and France focus on training of designers, the US focus on integrating textiles with IT technology [伊.佛 디자이너 육성 치중, 美는 섬유에 IT기술 접목]. Seoul Economy. Retrieved March 28, 2016, from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0709/e2007092817333270070.htm 

  6. Koo, M. J. (2008). A recent tendency of overseas clothing production.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5, 16-21. 

  7. Lee, B. W. (2003). The actual state and development policy of sewing industry in Korea.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5(4), 313-317. 

  8. Lee, Y. D. (2012). A study for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f Seoul Changsin-dong garment industri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Moon, Y. O. (2002). The study on examination of sewing companies in Yeon Byeo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10. Owen, N., & Jones, A. C. (2003). A comparative study of the British and Itali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London College of Fashion, DTI Economics Paper, 2, 1-67. 

  11. Park, H. S. (2008).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apparel and sewing industry.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5, 2-9. 

  12. Suh, C. (2008). Current status of global expansion of Korean sewing industry.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5, 10-15. 

  13. 'The category of manufacture of wearing apparel, clothing accessories and fur articles'. (20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Retrieved February 20, 2016, from http://kosis.kr 

  14. Uh, M. K. (1996).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the apparel and needlework businesses in Korea - Focused on their production system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