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왕겨섬유를 포함한 펄프몰드 제조 및 특성 평가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Pulp Mold with Rice Husk Fiber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8 no.3, 2016년, pp.66 - 72  

김형민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소재공학과) ,  성용주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소재공학과) ,  박영석 ((주) 대원GSI) ,  신재철 ((주) 대원GSI)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bility of rice husk fiber as a raw material for eco-friendly pulp mold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higher demand of environmental friendly packaging material resulted in the more interest for the natural fiber based pulp mold. The rice husk which is an abundant agricultural bypro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저급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왕겨를 새로운 포장 소재 원료로 포장 완충재인 펄프몰드의 원료로 적용하여 그 활용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특히, 실제 펄프몰드 제조 시 왕겨섬유의 적용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친환경적 포장소재인 펄프몰드 제조를 위한 기반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왕겨를 알칼리 증해 공정을 통해 섬유화하여 대표적 완충포장재인 펄프몰드의 친환경 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왕겨섬유 적용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왕겨섬유 적용에 따른 펄프몰드 제조 특성변화 및 물성 변화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저급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왕겨를 새로운 포장 소재 원료로 포장 완충재인 펄프몰드의 원료로 적용하여 그 활용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특히, 실제 펄프몰드 제조 시 왕겨섬유의 적용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친환경적 포장소재인 펄프몰드 제조를 위한 기반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왕겨의 성분은 어떠한가? 지역이나 생장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왕겨는 무기물 성분을 10~20%가량 함유하며 이러한 무기물 중 95%이상이 실리카 성분이고 그 외 유기물인 리그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8) 왕겨의 높은 무기물 함량은 왕겨를 소재로서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무기물을 제거하고 제조되는 왕겨 섬유는 형태적으로 목재섬유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새로운 친환경적 펄프자원으로의 활용이 가능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의 단점은 무엇인가? 상품의 보관과 유통에서 상품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 다양하게 적용되는 완충 포장재로는 대표적으로 화석원료 기반의 포장소재인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anded styrofoam) 을 들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의 경우 완충성능이 뛰어나며 단열특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유통 후 회수가 되지 못하고 폐기가 될 경우 생분해가 거의 되지 않아 자연환경 속에 쌓이게 되어 점차 심각한 환경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1) 이러한 난분해성 합성 수지 기반 소재의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의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된 포장재의 연차별 줄이기 기준의 이행여부 확인 및 줄이기 방법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 고시 제 2015-129호, 2015.
바이오매스 자원으로서 왕겨는 어떤 강점을 가지는가? 친환경적 소재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화석원료의 대체를 위한 소재의 개발 등에 대한 요구의 지속적 증가로 다양한 환경 친화적 재료의 활용 기술개발 및 고부가가치화와 관련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농임산 부산물들은 대표적인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 이중 특히 왕겨는 발생규모와 공급안정성, 경제석 측면에서 주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왕겨는 무게비로 벼의 약 20%를 차지하며8) 국내 2014년 기준 벼 생산량은 424만 톤 (통계청, 2014)으로 왕겨는 약 80만 톤 이상이 중앙미곡처리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9) 이러한 왕겨를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개발및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G. J., Kim, C. H., Lee, Y. M., Song, D. B., Shin, T. G., Kim, J. O., and Park, C. Y., Utilization of wastepaper fibers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shock-absorb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 TAPPI 38(2): 52-60(2006). 

  2. Johar, N., Ahmad, I., and Dufresne, A., Extractio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fibres and nanocrystals from rice husk,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37: 93-99 (2012). 

  3. Park, I. S., Kim, J. N., Kim, D. Y., and Lee, Y. S., Effects of mixing ratio of ONP and OCC on physical properties of pulp molds for cushion packag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 TAPPI 40(1): 47-54(2008). 

  4. Sung, Y. J., Ryu, J. Y., Kim, H. J., Kim, T. K., and Song, B. K., Improvement of drainage at wet pulp mold process, Journal of Korea TAPPI 36(3): 52-59(2004). 

  5. Kim, H. J., Seo, J. H., and Ryu, J. Y.,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additives for the improvement of dewatering ability to pulp mold, Applied Chemistry 8(1): 279-282 (2004). 

  6. Sung, Y. J., Ryu, J. Y., Kim, H. J., Kim, T. K., and Song, B. K., Optimization of wet pulp mold process and reduction of drying energy, Journal of Korea TAPPI 36(3): 83-90(2004). 

  7. Kang, J. H., and Lim, H. A., Development of higher functional coating agents for pulp mold (I) - Investigation of functions synthetic and natural coating agents, Journal of Korea TAPPI 34(4): 37-43(2002). 

  8. Park, S. J., Kim, M. H., and Shin, H. M.,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rice husk and rice husk ash in Korea, J. of Biosystems Eng. 30(4): 235-241(2005). 

  9. Sung, Y. J., Shin, S. J., and Oh M-T., Chemical composition of rice hul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rice hull fibers, Journal of Korea TAPPI 41(3): 22-28(2009). 

  10. Joo, I. D., Lee, H. S., and Lee, B. H., Synthesis of sphene - pink pigment by rice husk ash,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7(3): 237-243(2010). 

  11. Lee, J. Y., Kim, Y. H., Kim, C. H., Sung, Y. J., Wi, S. W., Park, J. H., and Kim, E. H., Development of new organic filler made from rice husk by paperboard mill trials, Journal of Korea TAPPI 47(4): 96-101(2015). 

  12. Kim, Y. J., Kang, Y. K., Ryou, Y. S., Kang, G. C., and Paek, Y.,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rice husks in batch operation, J. of Biosystems Eng. 33(4): 248-252(2008). 

  13. Lee, H. H., and Han, K. -S., Study on the optimum pre-treatment condition for anufacture of rice hull board, Mokchae Konghak 28(3): 9-13(2000). 

  14. Lee, B. H., Kim, H. -S., Choi, S. -W., and Kim, H. -J., Improvement of interfacial adhesion for surface treated rice husk flour-filled polypropylene bio-composites, Mokchae Konghak 34(3): 38-45(2006). 

  15. Oh, M. T., and Sung, Y. J., Study of rice husk pulping for utilization of rice husk fiber, Journal of Korea TAPPI 44(3): 63-69(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