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iferous fallen leaf is one of the major forestry residues. Since the coniferous fallen leaf would not be easily decayed, the large amount of the coniferous fallen leaves in forestry could be the source of forest fire. The applicability of the fallen leaves to the pulp mold were evaluat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성 펄프몰드의 제조를 위하여 펄프몰드 제조시 침엽수 잎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의 생잎과 낙엽을 각각 분쇄 및 40~60 mesh로 분급한 시료를 기존의 펄프몰드 제조용 원료인 미표백 펄프와 혼합하여 펄프몰드를 제조하고 그 물성 변화를 비교평가하였다.
  • 특히, 침엽수 낙엽과 생잎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형태적, 화학적 특성을 자세히 알아보았으며 표면 관능기분석, 성분분석을 통해 수종별 생잎과 낙엽의 화학적 특성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또한 펄프몰드 제조 시 수종별생잎과 낙엽을 적용하여 펄프몰드의 품질변화와 기능성발현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침엽수 낙엽의 소재화 가능성을 모색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에서 발생되는 임지부산물 중침엽수 낙엽의 고도활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침엽수 잎의 수종별 생잎과 낙엽의 특성을 비교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포장소재인 펄프몰드의 기능성 부여를 위한 소재로서 적용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소나무와 잣나무 수종 별 생잎과 낙엽의 형태적 특성 비교결과, 침엽수 낙엽의 경우 생잎에 비해 건조 등이 진행되면서 전체적으로 수축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건조 및 부식 등이 이루어진 낙엽의 경우분쇄가 생잎에 비해 쉽게 일어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침엽 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로부터 유래되는 침엽수 낙엽을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특성분석 등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기능성 펄프몰드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써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여보았다. 특히, 침엽수 낙엽과 생잎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형태적, 화학적 특성을 자세히 알아보았으며 표면 관능기분석, 성분분석을 통해 수종별 생잎과 낙엽의 화학적 특성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잎이 떨어져 분해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산림에서 발생되는 낙엽들은 수종의 종류, 생육 환경 등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낙엽의 분해과정 및 분해특성 또한 다르다3). 생잎이 낙화한 후 낙엽 초기 상태에서 일차적으로 수용성 물질 소실 및 중량감소, 영양염류의 용탈이 이루어지며, 그 후 분해에 따른 낙엽의 질소함량 증가, 분해 후기에서는 난분해성 물질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낙엽의 리그닌, 질소, 인의 함량에 따라 낙엽의 분해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특히 초기 리그닌/질소의 비가 낙엽 분해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 잎 투입량과 펄프몰드 강도의 반비례 경향이 낙엽에 비해 생잎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이라 판단하였는가?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침엽수 잎의 투입량에 비례해서 펄프몰드의 강도는 낮아지는 것을 볼 수있고, 이러한 현상은 생잎의 투입시 낙엽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잎의 경우 다양한 정유성분이26,27) 낙엽에 비하여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펄프몰드 제조시 목재섬유와의 수소결합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판단되었다. 소나무 잎의 적용시 잣나무 잎의 경우보다 강도적 특성의 저하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페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국내산림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임지부산물 중 하나인 침엽수 잎의 경우 다양한 정유성분(α-pinene, β-pinene, camphene, bomeol, phellandrene)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류(quercetin, kaempferol) 및 기타항균 성분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성 유기화합물류가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물질들의 효능의 발굴 및 적용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특히, 침엽수 잎에서 추출되는 대표적인 정유성분인 테르펜(terpenes)의 경우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추출 성분중 폴리페놀의 경우 항산화제 효능을 가지고 있어 혈중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에센셜 오일, 향초, 벽지, 건강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Zhoh, C.K., Kim, K. R. and Kim, J.C., The effect of antibacteria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needle leaf tre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4):269-273 (2007). 

  2. Ham, K.J., Park, K.Y., Kim, M.S., Song, J-M., Lee, S.S. and Ok, Y.S., Research of monoterpenes content in the atmosphere of forest, Korea J. Soil Sci. Fert. 44(6):1226-1231 (2011). 

  3. Moretto, A.S., R.A. Distel and N.G. Didone, Decomposition and nutrient dynamic of leaf litter and roots from palatable and unpalatable grasses in a semi-arid grassland. App. Soil Eco. 18(1): 31-37(2001). 

  4. Laskowski, R., M. Niklinska and M. Maryanski, The dynamics of chemical elements in forest litter. Eco. 76(5): 1,393-1,406(1995). 

  5. Bockheim, J.G., E.A. Jepsen and D.M. Heisey, Nutrient dynamics of decomposing leaf litter of four tree species on soil in northern wisconsin. Can. J. For. Res. 21: 803-812(1991). 

  6. Swift, M.J., O.W. Heal and J.M. Anderson, Decomposition in terrestrial ecosystems. Studies in Ecology Vol 5. Univ of California Press, Berkley and Los Angeles(1979). 

  7. Gartner, T.B. and Cardon, Z.G., Site of leaf origin affects how mixed litter decompose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8:2307-2317(2006). 

  8. Salamanca, E.F., Kaneko, N. and Katagiri, S., Effects of leaf littermixtures on the decomposition of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using field and laboratory microcosm methods. Ecological Engineering10:53-73(1998). 

  9. Mun, H. T. and Joo, H. T., Litter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Korean J. Ecol. 17(3) : 345-353(1994). 

  10. Park, H. J., Kim, E. S., Kin, J. H. and Kim, D. H., A Com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fallen leaves using radiation heat flux,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21(3) : 41-46(2007). 

  11. Choi, H. Y., Kim, J. H. and Pak, D. W., Comparison of pretreatment of fallen leaves for application evaluation by bio-ethanol raw material,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3(3) 

  12. Lee, I. K., Lim, J. H., Kim, C. S. and Kim, Y. K., Nutrient dynamics in decomposing leaf litter and litter production at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mt. gyebangsan, J. Ecol. Field Biol. 29(6) : 585-591(2006). 

  13. Won, H. Y., Oh, K. H., Pyo, J. H. and Mun, H. T.,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ysinaefolia, Kor. J. Env. Eco. 26(1) : 74-81(2012). 

  14. Oh, K. H. and Song, H. S., Sensory evaluation of seasoned soy sauce with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and pear extracts, Korean J. Food & Ntur. 26(2) : 323-328(2013). 

  15. Lin, J., Jach, M. E. and Ceulemans, R., Stomatal density and needle anatomy of scots pine(Pinus sylvestris) are affected by elevated $CO_2$ , New phytologist 15:665-674(2001). 

  16. ULO NIINEMETS, ALJONA LUKJANOVA, MATTHEW H. TURNBULL and ASHLEY D. SPARROW, Plasticity in mesophyll volume fraction modulates light-acclimation in needle photosynthesis in two pines, tree physiology 27 : 1137-1151(2007). 

  17. Keng, H, and Elbert L. Little Jr., Needle characteristics of hybrid pines, Silvae Genet 10(5) : 131-146(1961). 

  18. Chen, B., Zhou, D. and Zhu, L., Transitional adsorption and partition of nonpolar and polar aromatic contaminants by biochars of pine needles with different pyrolytic temperatures, Environ. Sci. Technol., 42:5137-5143(2008). 

  19. Abral, H., Kadriadi, D., Rodianus, A., Mastariyanto, P., Ilhamdi, Arief, S., Sapuan, S. M. and Ishak, M. R., Mechanical properties of water hyacinth fibers - polyester composites before and after immersion in water, Materials and Design 58:125-129 (2014). 

  20. Fiol, N., Escudero, C. and Villaescusa, I., Chromium sorption and cr(VI) reduction to cr(III) by grape stalks and yohimbe bark, Bioresource Technology 99:5030-5036 (2008). 

  21. Ghosh, M. K. and Ghosh, U. K. Utilization of pine needles as bed material in solid state fermentation for production of lactic acid by lactobacillus strains, Bioresources 6(2) : 1556-1575(2011). 

  22. Nam, K. Y. and Lee, J. S., Characteristics and dyeability of juniperus chinensis Extrac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5) : 989-1004(2012). 

  23. Woo, H. J. and Lee, J. S.,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pine needles extract (part I) -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s extract and dyeing Properties of cellulose fib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 218-229(2011). 

  24. Lim, S. F., Zheng, Y. M., Zou, S. W. and Chen, J. P., Characterization of copper adsorption onto an alginate encapsulated magnetic sorbent by a combined FT-IR, XPS and mathematical modeling study,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7):2551-2556 (2008). 

  25. Kwon, T. N., Kim, H. A., An, S. J., Lee, C. H. and Jeon, C., Characteristics for removal of as(V) using phosphorylated pine needles, J. of KORRA, 19(1) : 79-85(2011). 

  26. Yun, M. S., Cho, H. M., Yeon, B. R., Choi, J. S. and Kim, S. M.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Weed Truf. Sci. 2(1) : 30-37(2013). 

  27. Hwang, H. J., Yu, J. S., Lee, H. Y., Kwon, D. J., Han, W., Heo, S. I. and Kim, S. Y.,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Korean J. Plant Res. 27(1) : 001-010(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