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사 발원지에서 선포토미터를 활용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산출과 미세먼지속 황사구분
Aerosol Optical Properties Retrieval and Separation of Asian Dust using AERONET Sun/Sky Radiometer Measurement at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3, 2016년, pp.245 - 251  

신동호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질통합예보센터) ,  노영민 (광주과학기술원 국제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사의 주요 발원지인 중국 북부 둔황지역에 선포토미터를 설치하여 440, 675, 870 그리고 1020 nm 채널에서 황사의 파장별 입자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이와 함께 발원한 황사가 장거리 수송과정에 위치한 제주 고산과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선포토미터를 함께 분석하였다. 황사 발원지에서 1020 nm 파장에서 입자편광소멸도가 0.3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초미세먼지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입자편광소멸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선포토미터의 입자편광소멸도 산출을 통해 에어로졸에서 황사의 구성 비율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at 440, 675, 870, and 1020 nm retrieved from measurements with an AERONET sun/sky radiometer at the source region of Asian dust, Dunhuang. The linea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s are retrieved at the two receptor sites (Gosan and Osaka). The high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관측활동이 어려운 황사 발원지인 중국 둔황(Dunhuang)지역에 설치한 선포토미터 자료 분석을 통해 황사성분의 입자편광소멸도를 분석하고, 황사의 장거리 이동경로에 위치한 제주고산과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선포토미터로부터 산출한 광학적 분석결과를 비교연구 하였다. 이를 통해 선포토미터로 산출한 입자편광소멸 자료를 통해 대기 중 황사를 구분과 혼합특성 구분하는 자료로 활용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2016)은 선포토미터로 입자편광소멸도를 산출하는 방법과 라이다로 입자편광소멸도를 산출한 결과 비교를 통해 선포토미터 입자편광소멸도의 유용성 확인하고 자세한 산출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선 선포토미터 입자편광소멸도 분석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 2012)이 개발되었지만, 이를 통한 대기 중 황사 구분연구에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관측활동이 어려운 황사 발원지인 중국 둔황(Dunhuang)지역에 설치한 선포토미터 자료 분석을 통해 황사성분의 입자편광소멸도를 분석하고, 황사의 장거리 이동경로에 위치한 제주고산과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선포토미터로부터 산출한 광학적 분석결과를 비교연구 하였다. 이를 통해 선포토미터로 산출한 입자편광소멸 자료를 통해 대기 중 황사를 구분과 혼합특성 구분하는 자료로 활용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란? 황사는 대표적 자연발생 대기 오염원으로 타클라마칸, 고비사막, 황토고원 등 건조한 불모지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대기 중으로 부유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발원한 황사는 편서풍과 기압배치에 따른 이동형태에 따라 중국본토 뿐만이 아닌 한반도, 일본 등 주변국에 영향을 주고, 태평양을 횡단하여 북미대륙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Husar et al.
입자크기 관련하여 황사의 관측이 어려운 이유는? 하지만 이는 지상에서 관측한 농도에 국한되기 때문에 상층으로 통과하는 경우 정확한 황사 판별이 어렵다. 또한, 황사는 직경이 2.5 μm ~ 10 μm 사이에 조대입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장거리 이동하는 과정과 관측지 주변 환경에 따라 직경 2.5 μm 이하의 초미세먼지(미세입자군: Fine mode Particles)가 혼합되어 관측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황사 관측에 더욱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황사를 판정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이에 국내에서는 PM10이 300 μg/m3 이상 시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황사 발원지 발생확인을 병행하여 황사를 판정하고, 300 μg/m3 미만일 경우 하늘상태와 시정 등을 고려한 목측과 이동경로 확인, 황사발원지 발생확인등을 거쳐 황사를 판정한다(KMA, 2007). 하지만 이는 지상에서 관측한 농도에 국한되기 때문에 상층으로 통과하는 경우 정확한 황사 판별이 어렵다. 또한, 황사는 직경이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O., A. Sinyuk, T. Lapyonok, B.N. Holben, M. Mishchenko, P. Yang, T.F. Eck, H. Volten, O. Munoz, B. Veihelmann, W.J. van der Zande, J.F. Leon, M. Sorokin, and I. Slutsker, 2006. Application of spheroid models to account for aerosol particle nonsphericity in remote sensing of desert dus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D11208. 

  2. Husar, R.B., D.M. Tratt, B.A. Schichtel, S.R. Falke, F. Li, D. Jaffe, S. Gasso, T. Gill, N.S. Laulainen, F. Lu, M.C. Reheis, Y. Chun, D. Westphal, B.N. Holben, C. Gueymard, I. McKendry, N. Kuring, G.C. Feldman, C. McClain, R.J. Frouin, J. Merrill, D. Dubois, F. Vignola, T. Murayama, S. Nickovic, W.E. Wilson, K. Sassen, N. Sugimoto, and W.C. Malm, 2010. Asian dust events of April 1998,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6(D16): 18317-18330. 

  3. Jaffe, D., J. Snow, O. Cooper, 2003. The 2001 Asian dust events: Transport and impact on surface aerosol concentrations in the US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84(46): 501-507. 

  4. Kim, K.C., S.C. Choi and Y.M. Noh, 2016.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 97-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07. KMA strengthen a Asian dust special report and decision standard - apply a new standard from February 10, 2007 (in Korean). 

  6. Lee, K.H., D. Muller, Y.M. Noh, S.K. Shin, and D.H. Shin, 2010. Depolarization Ratio Retrievals Using AERONET Sun Photometer Data,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14(3): 178-184. 

  7. Muller, D., K.H. Lee, J. Gasteiger, M. Tesche, B. Weinzierl, K. Kandler, T. Muller, C. Toledano, S. Otto, D. Althausen, and A. Ansmann, 2012. Comparison of optical an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pure Saharan mineral dust observed with AERONET Sun photometer, Raman lidar, and in situ instruments during SAMUM 2006,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7: D07211. 

  8. Noh, Y.M., D. Muller, H. Lee, K.H. Lee, K. Kim, S. Shin, and Y.J. Kim, 2012. Estimation of radiative forcing by the dust and non-dust content in mixed east Asian pollution plumes on the basis of depolarization ratios measured with lidar, Atmospheric Environment, 61: 221-231. 

  9. Russell, P.B., R.W. Bergstrom, Y. Shinozuka, A.D. Clarke, P.F. DeCarlo, J.L. Jimenez, J.M. Livingston, J. Redemann, O. Dubovik and A. Strawa, 2010. Absorption Angstrom Exponent in AERONET and related data as an indicator of aerosol composi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3): 1155-1169. 

  10. Shin, S.K., Y.S. Park, B.C. Choi, K.H. Lee, D.S. Shin, Y.J. Kim, and Y.M. Noh, 2014. Retrieval of the vari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plume according to their vertical distribution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 597-6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Yu, L., G. Wang, R. Zhang, L. Zhang, Y. Song, B. Wu, X. Li, K. An, and J. Chu, 2013. Characteriza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in an Urban Environment in Beijing,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3(2): 574-5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