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기술의 검증 및 인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nd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ies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2, 2016년, pp.92 - 99  

신현석 (부산대학교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박종빈 (부산대학교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  이재혁 (부산대학교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GI & LID) 기술에 대한 물순환 및 물환경 효율성 측정을 위한 실내 외 검증, 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술의 검증 및 인증을 위한 실외시험시설은 건축형, 도로형, 주차장형, 빗물정원형, 생태공원형 등 크게 5구역으로 나누어 기술종류에 따라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내실험으로는 수리/수문분야, 토질/지반분야, 환경분야 등 다양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험장비의 개발 및 구축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 & LID 검 인증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내 및 실외 시험시설의 개발은 GI & LID 기술의 적용을 위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관련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 of technologies of green infrastructure (GI) 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that gained interest recently. The outdoor testbed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building type, a road type, a parking lot type, a rain garden type and a b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제도는 성능평가 계획, 절차 확립 및 생산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통해 잠재적 수요자 (예: 지자체)에게 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제공, 개발기술의 성능검증을 통한 시장성, 신규시장 진입 용이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TAPE는 수질관리를 위한 강우처리기술에 규제력 있는 증명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제도는 관리기관은 Washington Department of Ecology이며, 워싱턴 주의 빗물관리시설에 대한 성능목표 및 설계기준을 설정하며, 빗물관리시설의 기준에 맞는 시공, 운영, 유지관리 제시하고 있다 (WQP 2011).
  • 본 시설에서는 기술에 대한 평가 뿐만 아니라 GI & LID 기술에서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인 식생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시험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기술의 검증·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화로 생기는 문제점은? OECD 국가의 도시화율을 살펴보면, 2012년 기준으로 국내의 도시화율은 87%로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 2012).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도심지 침수, 비점오염 증가, 열환경 왜곡 등 다양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기상청의 국내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 (KMA 2012) 에 의하면 21세기 후반기 (2017년 – 2100년)까지 연평균기온은 3.
2012년 기준 국내 도시화율은? 1970년대부터 급속한 도시의 발전은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와 맞물리면서 다양한 환경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OECD 국가의 도시화율을 살펴보면, 2012년 기준으로 국내의 도시화율은 87%로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 2012).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도심지 침수, 비점오염 증가, 열환경 왜곡 등 다양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저영향개발기법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은? 하지만, 저영향개발기법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기술의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 정보 부재, 국내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의 부재 등이 관련 산업 기술확산에 장애요인으로 되고 있으며, 이는 기술에 대한 검증 및 인증시스템부재로 인한 문제로 귀결됨에 따라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기술의 검증·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MOE. 2013. The Study on the Removal Technology and Maintenance of Nonpoint Pollutant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2. OECD. 2012. OECD Urban Policy Review, Korea 201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OI:10.1787/9789264174153-en. 

  3. KMA. 2012. Climate Change Report of Korean Peninsul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in Korean) 

  4. Park, D.G. 2014. Development of a Test Method to Evaluate the Permeability on Permeable Block Pavement.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Anseong, Korea. (in Korean) 

  5. TARP. 2003. The Technology Acceptance Reciprocity Partnership Protocol for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 Demonstrations. Technology Acceptance Reciprocity Partnership. California, Massachusetts, Mary land, New Jersey, Pennsylvania, and Virginia, USA 

  6. WQP. 2011. Technical Guidance Manual for Evaluating Emerging Stormwater Treatment Technologies: Technology Assessment Protocol-Ecology. Water Quality Program,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Ecology, Olympia, Washington,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