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도포장용 투수블록의 재료특성 및 투수성능 평가
Evaluation of Field Permeability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lock for Roadway Pavement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2, 2016년, pp.110 - 116  

박대근 (서울특별시 품질시험소 도로포장연구센터) ,  정원경 ((주)한국건설품질시험연구원) ,  정두원 ((주)한국건설품질시험연구원) ,  백종은 (서울특별시 품질시험소 도로포장연구센터) ,  이진욱 (서울특별시 품질시험소 도로포장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건물과 인공 포장된 도로의 급격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심 집중강우에 따른 도로침수, 포장체 파손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심지 내 투수성 포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투수블록의 차도포장 적용 가능성 현장 평가를 하기 위하여 공용기간 동안 차도용 투수블록의 투수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줄눈재 및 받침안전층은 품질관리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휨강도는 1개소만이 5.29 MPa로 기준을 만족하였다. 실내투수지속성시험의 결과는 4개 제품중 1등급 1개, 2등급 1개, 3등급 2개로 평가되었으며 현장투수 및 현장 침투능은 각 제품의 9개월 간의 추적 조사 결과 1개 제품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0.1 mm/s 이상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expansion of buildings and paved roads increases the risk of flood disaster in an urban area. One of the solutions can be the use of permeable pavem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permeability of permeable blocks used for the roadway pavement. Joint fillers and mat sands of the investig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도 및 광장부 등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투수성 포장체 중 하나인 투수 블록의 사용성 확대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차도용 투수 블록을 서울시 품질시험소 내 주차장에 시험시공하여 장기간에 걸쳐 투수성능 및 포장상태 등에 대한 성능변화를 추적,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투수 블록의 차도 적용가능성을 투수성 유지 및 공용성 유지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심지 내 불투수성 포장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서울시에서는 홍수피해 저감 및 지하수위 함양을 위해 2011년과 2013년에 ‘투수 블록포장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기준’을 각각 제정 및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SMG 2013). 그러나 기존 도심지 내 불투수성 포장은 최근 집중호우와 강우일수 증가에 따라 우수가 포장면을 통해 배수구로 일시 유출되어 저지대의 홍수피해를 증가시키고, 빗물 고임 현상으로 인한 보행불편 민원이 증대되어 투수성 포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Kim 2001). 이러한 민원해소를 위해 서울시는 호우 시 도심지 도로의 노면수를 포장 하부로 침투시켜 홍수피해를 완화시키는 '투수 블록 포장'의 효과에 대한 성능검증 시험 및 조사를 4년간 실시했으며 다양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국내 처음으로 투수 블록 포장에 대한 설계·시공·유지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투수성능 지속성 검증 시험 장치를 개발하여 투수 포장재의 투수성능을 사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SMG 2013).
도로, 주차장, 공원, 광장 등에 투수성 포장을 확대 시행함에 따른 기대효과는? 특히, 2017년부터 서울도심지 내 8 m 이하 차도 역시 빗물유출저감시설 설치 의무화 대상으로 정하고 있어 폭 8 m 이하 차도에는 일반 아스팔트가 아닌 차도형 투수포장 (투수아스팔트, 투수콘크리트, 투수블록 등)을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즉, 투수성 포장을 도심지 도로, 주차장, 공원, 광장 등의 포장에 확대 시행하여 집중호우 시 첨두유량을 감소시키고 유출시간을 지체하는 등 도심지 홍수피해의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투수 블록포장 시공순서는? 현재 국내 투수 블록포장의 포장 단면설계에 있어 차도의 투수 블록포장 단면은 노상, 보조기층, 기층, 투수시트, 받침안정층 및 표층 (블록)으로 구성된다. 시공순서는 표층부를 평탄하게 만들기 위해 노상, 노반을 충분히 다져 시공한 후 토층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투수시트를 설치하고 투수가 잘되기 위한 입도가 고르고 점성이 작은 받침안정층 위에 투수블록을 설치 후 마지막으로 줄눈재를 시공한다. 투수성 보·차도블록 포장체의 각 층별 두께는 노상 투수계수와 교통량에 따라 변화되며 공통적으로 투수 블록포장은 노상토지지력비 (CBR)이 5%보다 큰 경우 적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STM International. 2009. Standard Test Method for Infiltration Rate of in Place Pervious Concrete.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USA. 

  2. Jeong, H.S. 2010.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Water Permeability Block and Performance Evaluation. M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Korean) 

  3. KATS. 2012. Testing Method for Bulk Density of Aggregates and Solid Content in Aggregate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Eumseong, Korea. (in Korean) 

  4. KATS. 2014a. Concrete Interlocking Block for Side Walk and Road.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Eumseong, Korea. (in Korean) 

  5. KATS. 2014b. Standard Test Method for Permeability of Porous Pavement.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Eumseong, Korea. (in Korean) 

  6. KATS. 2014c. Standard Test Method for Sieve Analysi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Eumseong, Korea. (in Korean) 

  7. Kim, B.H. 2001.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Effects of Runoff Reduction in the Permeable Pavement.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 Korea. (in Korean) 

  8. Lee, S.Y. 2011. Functional drainage evaluation of block paving through the usage of sludge and wheel tracking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3(3): 31-38. (in Korean) 

  9. Panda, B.C. and Ghosh, A.K. 2002.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block paving. I: sand in bed and joi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8(2): 123-129. 

  10. Park, Y.S. 2012. Performance Evaluation of Permeable Block Pavement Using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1. SMG. 2013. Standard f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Pavement Using Permeable Bloc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Korea.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