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랑 보두앵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ight presented in the Works of Laurant Beaudouin 원문보기

KIEAE journal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16 no.3, 2016년, pp.63 - 70  

김창성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yupSung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Laurant Beaudouin who is one of Neo Corbusian architects. They were in succession to Le Corbusier's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and developed his concept of modern architecture with their own creative architecture, an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르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이론을 계승 발전시킴으로서 현대 건축의 독자적 흐름을 형성한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로랑 보두앵의 건축 철학과 디자인 원리를 파악하고, 빛에 의한 공간 디자인 원리를 분석함으로서, 그의 독창적 표현 방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로운 평면이란 무엇인가? 보두앵 건축의 특징 중 하나는 기둥의 독립성을 강조한 ‘자유 로운 평면’ 구성을 바탕으로 한다. ‘자유로운 평면’5)이란 평면과 평면 사이의 보이드 공간과 이를 이어 주는 램프, 계단 및 여러 오브제적인 요소를 통해 평면을 구성하여 시각적, 심리적으로 폐쇄되거나 구속되지 않는 개방되고 율동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Fig.
로랑 보두앵은 자신의 건축물에 어떤 특징을 부여했는가? 르 코르뷔제의 근대건축 이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 건축의 독자적 흐름을 형성한 ‘네오 코르뷔지안’1)건축가 중 한명인 로랑 보두앵은(Laurent Beaudouin) “사회가 인공화 되어 갈수록 건축과 자연의 관계 회복이 절실히 필요하며, 건축은 자연의 일부이며 건축을 자연에 반환하여야 한다.”라고 생각하면서 자신의 건축물에 자연의 요소를 투영시키고, 대지와 주변 도시가 갖고 있는 전통을 건축에 접목시켜 과거와 현재가 조화된 현대성의 표현을 추구하였다.
보두앵은 색채의 사용에 따라 물성을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따라서 보두앵은 건축의 형태, 표피, 물성, 색채는 빛의 본성과 물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고 보았으며, 색채의 사용에 적극적이었다.15) 따라서, 보두앵은 빛을 끌어들이는 부분에는 노란색을 채색하고, 그 주변의 벽을 밤색과 같은 어두운 색으로 채색하여 빛의 효과를 더욱 강조 하였고, 특정한 공간에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필요성이 있는 곳에는 빨강, 파랑, 노랑의 삼원색을 사용하여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집중성을 높이고, 오브제적인 요소에 색채를 사용함으로서 공간 내에서 시선을 유도하고 강조하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창성,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의 역할, KIEAE Journal, 2015. 06 // (Kim, Chang Su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Light in the Works of Neo-Corbusian Architects, KIEAE Journal, 2015. 06) 

  2. 김미희, 김창성, 로랑 보드앵의 건축과 빛, 생태환경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4. 11 // (Kim, Mi Hee, Kim, Chang Sung, The Light Appeared in the Works of Laurent Beaudouin, Proceedings of KIEAE, 2014. 11) 

  3. 김태우, 김형우, Henri E. Ciriani 건축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2003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3. 10 // (Kim, Tae Woo, Kim, Hyung Woo, A Study on Experssive Characteristics of Henri E. Ciriani' Architecture, 2003 AIK Proceedings, 2003. 10) 

  4. 김연준, 천창 유형 및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7.12 // (Kim, Yon Jun, A Comparative Study 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ky Light, Journal of AIK, 2007. 12) 

  5. 김연준, 자유로운 평면 유형 및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2011. 11 // (Kim, Yon Jun, A Comparative Study 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Plan Libre, Journal of AIK, 2012. 11) 

  6. 김연준, 브리즈 솔레이 유형 및 진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6.12 // (A Study on Typology and Evolution of Brise Soleil, ournal of AIK, 2006. 12) 

  7. 김경재, 윤도근, 건축구성요소와 빛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 02 // (Kim, Kyung Jae,, Yoon, Do Keun, A Study on the Correlativity between Architecture Components and Light, Journal of AIK, 1998. 02) 

  8. 김경재, 근대건축 이후 건축적 빛의 의미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0. 12 // (Kim, Kyung Jae, A Study on the Variation in Meaning of Architectural Light since Modern Architecture, Journal of KIID, 2000, 12) 

  9. 로랑 보두앵 지음, 문희, 이관석 옮김, 느림의 건축을 위하여, 문운당, 2010. 01 // (Layrant Beaudouin, Pour une architecture lente, Mun Woon Dang, 2010. 01) 

  10. 박용서, 대전 이응노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모더니티와 이응노의 예술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8. 09 // (Park, Yong Seo,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odernity and Ungno Lee's Art Founded at the Ungno Lee Museum in Dae-Jeon, Journal of AIK. 2008. 09) 

  11. 백승만, 로랑 보두엥 & 엠마뉴엘 보두엥, 공간, 1997. 02 // (Baek, Seung Mann, Laurant Beaudouin & Emmanuelle Beaudouin, Space, 1997. 02) 

  12. 양효단,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빛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스티븐 홀과 리차드 마이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 2012. 08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case of Richard Meier and Steven Holl, Konkook Univ. Master Thesis, 2012. 06) 

  13. 윤희진, 이성호, 르 코르뷔지에와 데스틸 이후 프랑스 건축에서의 다색채 적용에 관한 연구, 프랑스 문화 연구, 2011. 05 // (르 코루 2006.12 // (Yun Hee Jin? Lee Sung Ho, L'Etude sur la polychromie architecturale en France depuis Le Corbusier et De Stijl, A Study on Typology and Evolution of Brise Soleil, Franch Culture Research, 2011. 05) 

  14. 조주현, 신범식, 르 꼬르뷔제 건축에 나타나는 흐름의 공간으로서의 필로티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2. 12 // (Cho Joo Hyun, Shin Buhm Shik, A Study on the Pilotis as a Space of Flow in Le Corbusier's Works, Journal of KIID, 2012. 12) 

  15. 황철호, 로랑 보두앵의 디테일 & 디자인, 건축세계, 2001. 01 // (Hwang, Chul Ho, Detail & Design of Laurent Beaudin, Archiworld, 2001. 01) 

  16. Context 3 편집부, E. & L. Beaudouin,, Context 3, 1998. 02 // (Context 3, E. & L. Beaudouin,, Context 3, 1998. 02 ) 

  17. 건축세계 편집부, PA Architect. Emmanuelle & Laurent Beaudouin of Pro Architects Issue 48, 건축세계, 2009.01 // (Archiworld, PA Architect. Emmanuelle & Laurent Beaudouin of Pro Architects Issue 48, Archiworld,, 2009. 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