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예산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budget and Library Usag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2, 2016년, pp.193 - 212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용과 도서관예산 사이에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정예산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도서관예산은 도서관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 31개관을 대상으로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확보된 2013년 통계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는 도서관예산을 설명하는 '총비용지수(TFI: Total Funding Indicator) = $\sqrt{인건비{\times}자료구입비}$'와 도서관이용을 나타내는 'LU(Library Usage) = (연간 방문자수) + (연간 대출자료수) /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통해 산출된 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서관총비용지수(TFI)와 도서관이용(LU) 사이에는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의 예산이 증가할수록 도서관이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록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의 제한성 및 한정성으로 인해 정책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상의 확대 및 분석기간의 다년화를 통한 타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necessity of secure budget in public libraries with regard to promoting library usage. It is namely to attempt to find out if there really is a connection between library funding and library usage. For this purpose, the relevant data of all the 31 public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언급된 연구들이 대부분 특정지역이나 특정대상 혹은 집단에 국한하여 공공도서관의 이용요인을 밝히고자 한 반면, 최근에 진행된 권나현, 송경진(2014)은 전국의 시민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이용요인 및 이용정도를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한 측면에 한정하여 파악하지 않고, 개인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하는 개별도서관의 서비스 자원투입 및 산출 그리고 지역사회의 도서관에 대한 투자 특성 등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도서관의 이용정도와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증진을 위한 다양한 요인분석보다는 단순하게 사서들이 주장하는 도서관 예산의 증가는 도서관이용을 도모한다는 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변수설정을 위한 개념정리를 하였다.
  • 대부분의 연구들은 도서관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찾아내어 의사결정권자들이 도서관 이용증진을 위한 개선방향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예산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서관의 예산과 도서관이용과의 관계에 집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도서관이용과 예산 사이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광역시 31개 공공도서관의 2013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국가도서관통계로부터 추출하였다. 도서관 예산과 도서관이용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데이터의 사용가능성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비교 가능하다고 요구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 도서관이용과 예산과의 분석에 확보될 수 있는 도서관이용 관련 모든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예산관련 변수를 총비용지수(TFI)로 변환했듯이 도서관 이용관련 요소를 하나의 변수로 변환하기 위해 본 연구는 노르웨이 오플란(Oppland)주의 공공도서관 분석에 적용했던 도서관이용 개념을 차용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노르웨이 오플란(Oppland)주의 공공도서관 분석에 적용되었던 도서관이용 개념은 노르웨이 연구기관인 ‘Telemark Research Institute’1)가 정의한 개념으로, 이 기관은 도서관 이용(Library Usage)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 도서관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은 도서관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예산의 증액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지만, 그 의견이 항상 설득력을 갖는 게 아니라, 오히려 이는 도서관 현장 관계자들의 상투적인 푸념처럼 치부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예산이 도서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자 수행되었다.
  • 그러나 단순하게 도서관이용과 자원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는 Stabell(2015)의 연구 외에는 드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르웨이 오플란(Oppland)주의 26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던 Stabell의 연구처럼 부산지역 3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과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 조사를 통해 성인 개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도서관 이용에 관한 내용을 확보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된 내용을 토대로 개별 이용자가 이용하는 도서관 서비스 자원의 투입 및 산출, 거주하고 있는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크기, 투자 수준 등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2013년 국가도서관 통계를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방문은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독서량이 많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새로 건립된 공공도서관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예산이 도서관이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는 도서관 이용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연구들 혹은 도서관이용을 경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 몇몇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위 연구들이 특정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 혹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 투입자원들의 특성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이희수와 김기영(2014)은 특정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지역별 특성과 연관 지어 그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인천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 이용형태, 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지역사회 평가, 서비스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항목들이 지역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노르웨이의 상황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여 Stabell의 연구가설을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 적용하여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 둘의 영향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2014년 국가도서관통계에 따르면 부산광역시에는 공사립을 불문하고 31개의 공공도서관이 있다.

가설 설정

  • 연구결과에 의하면 도서관의 위치에 따라 혹은 깨끗하고 쾌적한 시설이 또는 혁신적인 서비스의 도입이 또는 친절한 사서가 이용자들을 도서관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요인이라고 한다. 틀린 설명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모든 다양한 요인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관심을 갖는 것은 도서관 경제, 즉 도서관에 투입되는 예산은 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미친다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이 우리에게 주는 이점은? 많은 사람들은 도서관에 가거나 혹은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자주 혹은 가끔 필요한 일들을 한다. 도서관에 가서 책과 DVD를 빌리거나 또는 도서관에서 주관하는 교육·문화·교양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기도 한다.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찾기도 하고, 한가롭게 친구를 만나기도 하고, 때론 돈들이지 않고 하고 싶었던 취미생활 또는 구직활동을 한다. 이외에도 조용히 공부를 할 수도 있고, 전자책을 다운받아 읽을 수 있는 곳이 도서관이다. 이처럼 도서관은 우리 일상에서 그리고 삶의 전반에서 기꺼이 우리를 지원한다.
2013년 공공도서관의 수는? 지난 5-6년 동안 우리나라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문화·교육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도서관 건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2008년 644관에 머물던 공공도서관의 수가 2013년 865관으로 34%의 성장을 기록했다. 공공도서관의 외적성장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또는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사회조사’에 의하면 한국인 100명 가운데 44명은 지난 1년 동안 단 한권의 책도 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도서관의 증가에 비해 2015년 한국인의 독서량은? 그 결과 2008년 644관에 머물던 공공도서관의 수가 2013년 865관으로 34%의 성장을 기록했다. 공공도서관의 외적성장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또는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사회조사’에 의하면 한국인 100명 가운데 44명은 지난 1년 동안 단 한권의 책도 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권나현, 송경진. 2014. 한국성인의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개인, 도서관의 특성 및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4): 291-312. Kwon, Nahyun and Kyeong-Jin Song. 2014. "A National Study Explaining the Pubic Library Use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ocal Library Inputs, and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291-312. 

  2. 박옥화. 2007. 공공도서관 고령이용자에 대한 연구: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75-396. Park, Ok-Wha. 2007.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375-396. 

  3. 이희수, 김기영. 2014.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주민의 도서관 요구에 관한 연구: 3개의 지역유형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1): 207-230. Lee, HeuiSoo and Giyeong Kim.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 

  4. 최희곤. 2009.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6(4): 129-145. Choi, Hee-kon. 2009.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129-145. 

  5. Loyland, Knut and Vidar Ringstad. 2008. "Determinants of Borrowing Demand from Norwegian Local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8): 1295-1303. 

  6. Loyland, Knut and Vidar Ringstad. 2011. "Borrowing demand at local public libraries in Swede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3(4): 284-292. 

  7. Ringstad, Vidar and Knut Loyland. 2006. "The Demand for books estimated by means of consumer survey data."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0(2): 141-155. 

  8. Stabell, Oisten. 2015. "Library usage and resources" Scandinavian Library Quarterly, 48(1-2). . 

  9. Vakkari, P., S. Aabo, R. Audunson, F. Huysmans, and M. Oomes.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Finland, Norway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 927-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