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솜다리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Leontopodium R. Br. ex Cassini (Aster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2, 2016년, pp.149 - 162  

이동혁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종수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병희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솜다리속 (Leontopodium R. Br. ex Cassini)은 5종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였다. 이들의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자 건조표본과 야외관찰등을 근거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식물체의 높이, 경생엽 기부의 형태, 화서의 위치 및 형태, 털의 형태, 개화기 잎의 유무, 총포편 털의 형태 등은 한국산 솜다리속 분류군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외부형태 형질을 바탕으로 왜솜다리 (L. japonicum) 및 근연분류군들 (L. coreanum, L. hallaisanense)의 분류학적 관계를 논의하였다. 또한 설악솜다리 (L. seorakensis)는 산솜다리 (L. leiolepis)의 형태적인 변이폭에 포함되므로,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솜다리속은 솜다리, 한라솜다리, 산솜다리, 들떡쑥(L. leontopodioides) 4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한국산 분류군의 검색표 및 각 종의 형질 기재와 도해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ve species of the genus Leontopodium are recognized in Korea, but their taxonomic positions have been controversial. To clarify the taxonomic entity of these Korean species, we examin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and field observations. Valuable distinguishing char...

주제어

참고문헌 (25)

  1. Beauverd, G. 1912. Contribution a l'etude des Composees. Suite VI. Nouneaux Leontopodium et Raoulia. Bulletin de la Societe botanique de Geneve 5: 12-55. (in French) 

  2. Bloch, C., W. B. Dickore, R. Samuel and T. F. Stuessy. 2010. Molecular phylogeny of the edelweiss (Leontopodium, Asteraceae:Gnaphalieae). Edinburgh Journal of Botany 67: 235-264. 

  3. Chen, Y. S., S. X. Zhu and R. A. Bayer. 2011. Gnaphalieae. In Flora of China Vol. 20-21 (Asteraceae). Wu, X.Y., P.H. Raven and D.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774-818. 

  4. Chung, T. H. 1956. Korean Flora. Sinjisa, Seoul. Pp. 712-713. (in Korean) 

  5. Grubov, V. I. 1990. Leontopodium R. Br. ex Cass. In Flora of the U.S.S.R. Vol. 25. Shishkin B.K. (ed.), Koeltz Scientific Books, Dehra Bun. Pp. 367-387. 

  6. Handel-Mazzetti, H. 1928. Systemarische monographie der gattung Leontopodium. Beihefte zum Botanischen Centralblatt 44: 1-178. (in German) 

  7. Im, R. J. 1999. Flora of Coreana 7.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250-253. (in Korean) 

  8. Jeon, M. G., K. J. Choi and J. Y. Kim. 2015. Discrimination of the genus Leontopodium species (Gentianales: Asteraceae) based on RAPD.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31: 68-71. 

  9. Kim, K. J. 2007. Leontopodium.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03-1005. 

  10. Korea Forest Service.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1. Koyama, H. 1995. Leontopodium. In Flora of Japan Vol. IIIb. Iwatsuki, K., T. Yamazaki,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Tokyo. Pp. 106-108. 

  12. Lee, C. and K. W. Park. 2008.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the Leontopodium coreanum Nakai (Asteraceae). P. 196 (Abstract in Botany 2008). 

  13. Lee, D. H., G. Y. Chung and B. H. Choi. 2010. Chromosome number of four Korean species of Leontopodium (Aster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53-156. (in Korean) 

  14. Lee, D. H., J. H. Lee and B. H. Choi. 201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0 microsatellite loci from Korean Leontopodium japonicum (Aster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8: e183-e184. 

  15. Lee, K. E., W. C. Lee and C. H. Lim. 1985. Studies on certain growing aspects of wild genus Leontopodium distribut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6: 59-65. (in Korean) 

  16.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727-728. (in Korean) 

  17.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69-1171. (in Korean) 

  18. Lim, Y. S., J. -O. Hyun, Y. -D. Kim and H. C. Shin. 2012. Leontopodium seorakensis, a new species of Asterac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157-160. 

  19. Ling, Y. 1965. Notulae de nonnulis generibus tribus Inulearum familiae Compositarum florae Sinicae. Acta Phytotaxonomica Sinica 10: 167-181. (in Chinese) 

  20. McNeill, J., F. R. Barrie, W. R. Buck, V. Demoulin, W. Greuter, D. L. Hawksworth, P. S. Herendeen, S. Knapp, K. Marhold, J. Prado, W. F. Prud'homme van Reine, G. F. Smith, J. H. Wiersema and N. J. Turland. 2012.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adopted by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Melbourne, Australia, 2011. Regnum Vegetabile Vol. 154. Koeltz Scientific Books, Knigstein. 

  21. Nakai, T. 1913. Flora of Quelpeart and Wangto Island.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Seoul. (in Japanese) 

  22. Nakai, T. 1917.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XIV. Botanical Magazine (Tokyo) 31: 97-11. 

  23. Nakai, T. 1920. Icones Plantarum Koisikavenses or Figures with Brief Descriptive Characters of New and Rare Plants, Selected from the University Herbarium 4: 72-76. (in Japanese) 

  24. Nie, Z. L., V. Funk, H. Sun, T, Deng, Y. Meng, J. Wen. 2013. Molecular phylogeny of Anaphalis (Asteraceae, Gnaphalieae) with biogeographic implications in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Plant Research 126: 17-32. 

  25. Palibin, J. 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1. Acta Horti Petropolitani 17: 1-5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