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Artemisia sacrorum group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2, 2016년, pp.175 - 186  

박명순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남보미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은 분류학적 위치 및 학명에 대하여 많은 이견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인 털산쑥, 흰산쑥의 외부형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정확한 학명을 부여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원기재와 기준표본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털산쑥(A. freyniana f. discolor)과 흰산쑥(A. freyniana f. vestita)은 잎에서 털의 분포 양상,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및 화분의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유무 등의 특징에 의해 A. sacrorum var. sacrorum와 A. sacrorum var. incana으로 각각 이명 처리하였으며, A. gmelinii의 학명으로 잘못 사용되어온 더위지기(A. iwayomogi)의 학명은 A. sacrorum그룹과의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신조합명인 A. sacrorum var. iwayomogi (Kitam.) M. S. Park & G. Y. Chung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이들의 기재,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xonomic status and scientific names of Artemisia gmelinii and its allied taxa have long been debated. To provide correct names and taxonomic status, A. gmelinii and its allied taxa were reviewed in this study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fter a comparison of original descriptions and ty...

주제어

참고문헌 (29)

  1. Besser, W. S. 1834. De Seriphidis seu de sectione IIIa Artemisiarum L. Bulletin de la Societe Impe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7: 1-46. 

  2. Boyko, E. V. 1990. Artemisia gmelinii (Asteraceae) Pp.110-115. 

  3. Bremer, K. and C. J. Humphries. 1993. Generic Monograph of the Asteraceae-Anthemideae. Bulletin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Botany series 23: 71-177. 

  4. Gmelin, I. G. 1749. Flora Sibirica. Vol. 2. Petropoli. 

  5. Heywood, V. H. and C. J. Humphries. 1977. Anthemideae-Systematic review. In Heywood, V. H., C. J. Humphries and B. L. Turner. (eds.), The Biology and Chemistry of the Compositae. Academic Press, London. Pp. 851-898. 

  6. Kaul, M. K. and S. K. Bakshi. 1984. Studies on the genus Artemsia L. in north-west Himalay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Kashmir. Folia Geobotanica & Phytotaxonomica 19: 299-316. 

  7. Kitagawa, M. 1936. Artemisia freyniana f. discolor (Kom.) Kitag., A. freyniana f. vestita (Kom.) Kitag., Journal of Japanese Botany 41: 367. 

  8. Kitagawa, M. 1979.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Strauss & Cramer, Co. Hirschberg. 

  9. Kitamura, S. 1937. Expositiones Plantarum Novarum Orientali-Asiaticarum 3.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7: 63-71. 

  10. Komarov, V. L. 1907. Flora Manshuriae. St. Petersburg. Vol. 3. Acta Horti Petrop. 

  11. Ledebour, C. F. 1833. Flora Altaica, vol. IV. G. Reimer, Berlin. 

  12. Ledebour, C. F. 1834. Icones plantarum novarum vel imperfecte cognitarum Floram rossicam, imprimis Altaicam. illustrantes. Rigae. 

  13.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4. Ling, Y. R. 1988. The Chinese Artemisia Linn.-The Classification,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Artemisia Linn. in China. Bulletin of Botanical Research 8(4): 1-61. 

  15. Ling, Y. R. 1991. The old world Seriphidium (Compostae). Bulletin of Botanical Laboratory of North-Eastern Forestry Institute 11: 1-40. 

  16. Ling, Y. R. 1992. The old world Artemisia (Compositae). Bulletin of Botanical Laboratory of North-Eastern Forestry Institute 12: 1-108. 

  17. Ling, Y. R. 1995a. The new world Artemisia L. In Advances in Compositae Systematics. Hind, D. J. N., C. Jeffrey and G. V. Pope (eds.), Kew, Royal Botanic Garden. Pp. 255-281. 

  18. Ling, Y. R. 1995b. The new world Seriphidium (Besser) Fourr. L. In Advances in Compositae Systematics. Hind, D. J. N, C. Jeffrey and G. V. Pope (eds.), Kew, Royal Botanic Garden. Pp. 283-291. 

  19. Mabberley, D. J. 1990. The Plant Book.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 Maximowicz, C. J. 1872. Diagnoses breves plantarum novarum Japoniae et Mandshuriae. Bulletin de l'Academie Imperiale des Sciences de Saint-Petersbourg 17: 427-440. 

  21. McArthur, E. D. 1979. Sagebrush systematics and evolution. In sagebrush Ecosystem Symposium. Anonymous (ed.), Logan, Utah State University. 

  22.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2: 27-33. 

  23. Nakai, T. 1912.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Botanical Magazine (Tokyo) 26: 98-105. 

  24. Pampanini, R. 1927. Materiali per lo studio delle Artemisie asiatiche. Giornale botanico italiano 34: 632-708. 

  25. Park, M. S., J. Jang and G. Y. Chung. 2009. A taxonomic study of Korean Artemisia L. using somatic chromosome number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247-253. (in Korean). 

  26. Park, M. S. and G. Y. Chung. 2012.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L. (Aster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24-39. (in Korean). 

  27. Poljakov, P. P. 1961. Genus Artemisia L. In Flora SSSR. (Izv. Akad. Naul SSSR, ser. Biol.) Shishkin, B. K. and E. G. Bobrov (eds.), Moskva, Leningrad. 25: 425-631. 

  28. Stechmann, J. P. 1775. Dissertatio inauguralis botanico medica de Artemisiis. Goettingae. 

  29. Volkova, S. A. and E. V. Boyko. 1985. Chromosome numbers in some species of the family Asteraceae from the southernpart of the Soviet Far East. Botanichnyi Zhurnal 70: 1000-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