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야산은분취(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는 길고 좁은 잎, 작은 총포, 적은 총포편 열수에 의해 유사종인 은분취(S. gracilis Maxim.)로부터 구별되고 있다. 그러나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45개의 정성형질과 42개의 정량형질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정성형질은 물론 정량형질에 대한 다변량분석(PCA)에서도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를 구별할 수 없었다. 가야산은분취는 분류학적으로 독립된 종이 아니며 은분취의 이명으로 처리함이 타당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is characterized by its slender leaves, small involucre and small number of involucral bracts compared to Saussurea gracilis Maxim. But some taxonomists insist that it is hard distinguih S. pseudogracilis from S. pseudogracilis. We tried to discern taxonomic ident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가야산은 분취는 한반도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그 분류학적 실체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분류군을 규정하는 외부형태학적 특징을 포함한 측정 가능한 외부 형질에 대해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실체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야산은분취의 뜻은? Koidzumi가 채집한 표본을 정기준표본으로, 경상남도 가야산 해인사를 type locality로 설정했다. 종소명인에서 pseudo-gracilis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외형이 은분취와 닮아 있어서 국명인 가야산은분취는 가야산에 자라는 은분취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이다. Kitamura는 가야산은분취와 은분취의 다른 점으로 총포의 형태, 총포편의 열수, 잎 모양을 들고 있다.
은분취와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처리는 연구자에 따라 이견이 있는데, 그 예는 무엇인가? 두 분류군은 실질적으로 오랫동안 혼동되어 왔으며, 이들의 분류학적 처리에는 연구자에 따라 이견이 있다. Kitamura (1936), Park (1974), Lee (1980, 2003), Lee (1996)은 은분취와 가야산은 분취를 별도의 종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Chung (1956), Lipschitz (1979), Im (1999), Im (2007)은 단일종으로 인식하여 가야산은분취를 거론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가야산은 분취는 한반도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그 분류학적 실체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가야산은분취는 누가 명명했는가? 가야산은분취는 일본 쿄토대학의 Kitamura에 의해 명명되었다(Kitamura, 1936). Kitamura는 1935년 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ung, T. H. 1956. Korean Flora. Sinjisa. Seoul. Pp. 721-733. (in Korean) 

  2. Im, H. T. 2007. Saussurea.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982-989. (in Korean) 

  3. Im, R. J. 1999. Flora Coreana.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70-95. (in Korean) 

  4. Kitamura, S. 1936. Expositiones Plantarum Novarum Orientali-Asiaticarum 1. Acta Phytotax Geobot. Vol. V. 246-247. (in Japanese) 

  5.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770-777. (in Korean) 

  6.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279-294. (in Korean) 

  7.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79-1191. (in Korean) 

  8. Lipschitz, S. 1979. Genus Saussurea DC. (Asteraceae). Nauka, Leningrad, Pp. 180-207. (in Russian) 

  9. Oh, B. U., D. G. Jo, B. H. Choi, W. K. Paik and K. O. Yoo. 2010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8. Jeju-do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0. Oh, B. U., D. G. Jo, B. Y. Sun, B. H. Choi, J. H. Park, H. T. Im, C. S. Chang, W.K. Paik, G.Y. Chung, K.R. Park, J.H. Kim and C.G. Jang. 2004.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1. South-Coast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1. Oh, B. U., D. G. Jo, J. H. Park, H. T. Im, C. S. Chang, W. K. Paik, G. Y. Chung, J. H. Kim, C. Y. Yoon, Y. D. Kim, K. O. Yoo and C.G. Jang. 2005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2. South Province (Jeolla-do & Jirisa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2. Oh, B. U., D. G. Jo, K. S. Kim and C. C.G. Jang. 2005b. Endemic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3. Oh, B. U., D. G. Jo, S. C. Ko, B. H. Choi, H. T. Im, W. K. Paik, Y. M. Lee, G. Y. Chung, K. O. Yoo, C. G. Jang and S. H. Kang. 201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9. Western & southern coastal a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4. Oh, B. U., D. G. Jo, S. C. Ko, H.T. G.Y. Chung, C.G. Jang, and S. H. Kang. 2010b.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7. South Province (Gyeongsangnam-do) and Ulleung-do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5. Oh, B. U., D. G. Jo, S. C. Ko, H. T. Im, W. K. Paik, G. Y. Chung, C. Y. Yoon, K. O. Yoo, C. G. Jang and S. 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6. Central Province(Gangwon-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6. Oh, B. U., D. G. Jo, S. C. Ko, H. T. Im, W. K. Paik, J. H. Kim, C. Y. Yoon, Y. D. Kim, K. O. Yoo and C. G. Jang. 200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3. Central & South Province (Chungcheong-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7. Oh, B. U., K. S. Kim, S. C. Ko, B. H. Choi, H. T. Im, W. K. Paik, G. Y. Chung, C. Y. Yoon, C. G. Jang, S. H. Kang and C. 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5.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8. Oh, B. U., S. C. Ko, H. T. Im, W. K. Paik, G. Y. Chung, C. Y. Yoon, K. O. Yoo and C. G. Jang. 2007.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4. Central & South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9. Park, M. K. 1974.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eae). Jungumsa, Seoul. Pp. 512-51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