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난과 식물 석곡의 복원
Restoration of endangered orchid species, Dendrobium moniliforme (L.) Sw. (Orchidaceae)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2, 2016년, pp.256 - 266  

김영기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강경원 (바보난농원) ,  김기중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멸종위기 난과 식물인 석곡 13,000 촉을 증식하여 2013년 6월에 완도군 보길도 일대의 자연 서식지에 복원하였다. 연구팀은 복원 후 2년간 생장과정을 모니터링 하였다. 모본의 확보, 교배, 종자형성, 파종, 계대배양, 순화배양 등의 과정을 거쳐 복원할 13,000 촉을 육성하였다. 복원 전에 5개 엽록체 마커와 핵 ITS 지역을 이용하여 복원할 개체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검증한 결과 국내의 자연집단 사이에서 관찰되는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이 입증되었다. 현지복원은 연구팀과 지역주민들과의 공조체계를 구축하여 협동으로 수행하였다. 복원 이후 1년, 2년의 시점에 생존율, 영양번식률, 생장률 등을 조사하여 자료화 하였다. 복원 후 훼손은 없었으며, 97%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복원 후 영양번식이 활발하여, 복원 시점보다 촉수가 227%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복원당시에 비하여 개체의 평균 길이는 짧아졌다. 완전한 양지나 음지에 비해서 반음지 지역에서 석곡 개체들은 가장 잘 번식하고 생장하였다. 또한 부착한 기주 식물에 따라서 영양번식률 및 생장률에 차이를 보였다. 그늘쪽 바위틈과 참가시나무의 수피에 부착한 개체들이 가장 활발하게 증식하였고, 동백나무 수피에 부착하는 개체들이 세 번째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일부 복원 개체들은 야생에서 꽃을 피우고, 수분되어 종자가 결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복원한 개체의 촉수가 크게 증가하여 성공적인 복원으로 평가된다. 인위적인 훼손방지를 위하여 국립공원 및 지역주민들과 공조체제를 구축하였고, CCTV를 설치하여 감시활동을 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13,000 individuals of Dendrobium moniliforme (L.) Sw. artificially propagated in laboratories and greenhouses were restored in their natural habitat of Bogildo Island, Wandogun,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June of 2013. The growing conditions of the individuals were monitored for t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본수집에서 종자형성, 플라스크에서 3단계의 기내배양, 온실에서의 순화배양, 배양된 개채들의 유전적 다양성 검증, 복원지의 선정, 야생으로의 복원, 복원 이후 2년 간의 성장률, 번식률, 개화 및 결실의 과정을 추적하여 자료화 하였다. 단계마다 수반되는 관리기관의 허가,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복원 및 모니터링과정을 하나의 논문으로 보고한다. 이 논문은 앞으로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종의 복원에 대한 기획 및 실행과정에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5A, C). 또한 줄기에 빛이 많이 투시되는 세연정의 소나무(P. densiflora)에 복원한 개체들에서도 비교적 잘 증식하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기주식물에 관계없이 석곡의 반음지습성에 비슷한 환경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2010) 은 상대습도와 같은 미소기후, 기주식물의 질감, 다른 착생 종의 유무 그리고 유묘의 크기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 석곡 개체들의 높은 생존율과 왕성한 영양번식률이 특징이다. 이는 본래 서식지로 알려진 전라남도 도서지역인 보길도를 복원지역으로 선정한 것, 충분한 시간을 들여 생육한 석곡 개체를 복원 에 이용한 것, 복원 시기가 5월의 건기가 끝나고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수행되어 겨울이 오기 전에 충분한 활착기간이 제공된 점, 복원지의 습도가 비교적 높은 점,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보존활동 등이 높은 생존율과 번식률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 moniliforme)의 모본은 석곡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기 전인 2008년 7월 전라남도 진도에서 채집된 것이다. 한 농부가 전라남도 진도 관매도에서 자연 채취하여 매매하려고 한 2개의 개체를 지역 환경단체 회원들이 회수하여 연구진에게 연구 목적으로 기증하였다. 이 개체는 DNA 검증을 통하여 우리나라 개체임을 확인하였다(Kim et al.

가설 설정

  • Average length of propagules depending on the restored sites. C. The numbers of propagules depending on the host tree species. D.
  • The numbers of propagules depending on the host tree species. D. Average length of propagules depending on the host tree species. (Open Area 1: Seyeonjeong, Open Area 2: Bogil-reservoir, Shade Area 1: forest road near Bogil-reservoir, Shade Area 2: evergreen forest near Bogil-reservoir).
  • Flowering individual on Camellia japonica. H. Fruit formation on C. japonica at two years after restoration. I−J.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기준 Red List에 등재된 종의 수는? 지구상의 약 30만 종의 식물 종 중 많은 종들이 인간 활동의 확대로 인한 서식지의 분절화 및 파괴, 외래종 도입에 따른 경쟁, 그리고 남획 등으로 인하여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은 1966년부터 절멸 가능성이 있는 야생생물의 적색목록(Red List)을 만들어 공표하고 있으며, 2015년의 통계에 의하면 20,755종의 식물이 적색목록에 등재되었다(IUCN, 2015). 우리나라에서도 1991년에 제정한 자연환경보전법에 처음 관련 내용을 포함하였고, 이후 2004년에 제정한 야생동식물보호법 및 2014년 개정된 생물다양성이용 및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을 관리하고 있다.
난초과 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한 이유는? 난초과(Orchidaceae)는 식물계의 종 수가 많은 과 중 하나로, 약 19,500−25,000종이 세계적으로 분포한다(Dressler, 1993). 난과 식물들은 꽃의 아름다움과 그 향으로 인해 남획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그 결과 많은 종들이 멸종위기에 처했다. 따라서 무분별한 남획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과 식물의 모든 종들은 국제적으로 상업적 거래가 금지되어있다(CITES, 2013).
국내에서 법적 보호종으로 지정한 난초과 식물은 몇 종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가 법적 보호종으로 지정한 식물 종은 1급 9종과 2급 68종으로 총 77종이다. 그 중에서 난초과 식물은 1급 6종, 2급 13종으로 총 19종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2). 이는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의 24%를 차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garwal, S. and L. W. Zettler. 2010. Reintroduction of an endangered terrestrial orchid, Dactylorhiza hatagirea (D. Don) Soo, assisted by symbiotic seed germination: First report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Nature and Science. 8: 139-145. 

  2. Bottin, L., S. L. Cadre, A. Quilichini, P. Bardin, J. Moret and N. Machon. 2007. Re-establishment trials in endangered plants:A review and the example of Arenaria grandiflora, a species on the brink of extinction in the Parisian region (France). Ecoscience 14: 410-419. 

  3. 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6: 12794-12797. 

  4. Dixon, K. and R. D. Phillips. 2007. The orchid conservation challenge. Lankesteriana 7: 11-12. 

  5. Dressler, R. L. 1993.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Orchid Familiy. Dioscorides Press, Portland. 

  6. IUCN. 2015.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5-4. Available from http://www.iucnredlist.org 

  7. Kim, Y. K., K. W. Kang and K. J. Kim. 2015. Gene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Japanese and Chinese-Taiwanese Dendrobium moniliforme (L.) Sw.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5: 145-157. (in Korean) 

  8. Kim, Y. S., Y. M. Lee, S. H. Chun, J. I. Jeon and S. H. Kim. 1995. Necessity of recovery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 Bulleti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rboretum 15: 43-66. (in Korean) 

  9.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0. Krupnick, G. A., M. K. McCormick, T. Mirenda and D. F. Whigham. 2013. The status and future of orchid conservation in North Americ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99: 180-198. 

  11. Lee, J. S. and B. H. Choi. 2006. Distributions and red dat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6: 335-360. (in Korean) 

  12. Lee, N. S., W. B. Lee, B. H. Choi and K. H. Tae. Orchidaceae Jus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 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39. 

  13. Martin, K. P. 2003. Clonal propagation, encapsulation and reintroduction of Ipsea malabarica (Reichb. F.) J. D. Hook., an endangered orchid. In vitro Cellular & Developmental Biology-Plant 39: 322-326. 

  14. Massey, E. E. and L. W. Zettler. 2007. An expanded role for in vitro symbiotic seed germination as a conservation tool: Two case studies in north america (Platanthera leucophaea and Epidendrum nocturnum). Lankesteriana 7: 303-308.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Law enforcement regulations about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rticle 2 related), Sejong. Pp. 8-10. (in Korean) 

  16. Parthibhan, S., T. S. Kumar and M. V. Rao. 2015. Phenology and reintroduction strategies for Dendrobium aqueum Lindley-An endemic, near threatened orchid. Journal for Nature Conservation 24: 68-71. 

  17. Rasmussen, H. N. 1995. Terrestrial Orchids: from seed to mycotrophic pl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 Seeni, S. and P. G. Latha. 2000. In vitro multiplication and ecorehabilitation of the endangered Blue Vanda.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61: 1-8. 

  19. Shin, H. C., Y. S. Lim, J. O. Hyun and K. W. Kang. 2009. Case study of endangered species: Neofinetia. In Conservation Biology of Korea: Status and Challenges. Shin, H. C. (ed.), World Science, Seoul. Pp. 81-104. (in Korean) 

  20. Smith, R. H., J. A. Smith and S. Liebler. 2007. Production of Cypripedium montanum seedlings for commercial value and reintroduction into restoration projects: Phase II. Lankesteriana 7: 376. 

  21. Smith, Z. F., E. A. James and C. B. McLean. 2007. Experimental reintroduction of the threatened terrestrial orchid Diuris fragrantissima. Lankesteriana 7: 377-380. 

  22. Stewart, S. L. 2008. Orchid reint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a mini-review. North American Native Orchid Journal 14: 54-59. 

  23. Swarts, N. D and K. W. Dixon. 2009. Terrestrial orchid conservation in the age of extinction. Annals of Botany 104: 543-556. 

  24. Swarts, N. D., A. L. Batty, S. Hopper and K. W. Dixon. 2007. Does integrated conservation of terrestrial orchids work?. Lankesteriana 7: 219-222. 

  25. Tamura, K., G. Stecher, D. Peterson, A. Filipski and S. Kumar.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0: 2725-2729. 

  26. White, T. J., T. Bruns, S. Lee and J. W.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A.,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Pp. 315-322. 

  27. Wright, M., R. Cross, K. Dixon, T. Huynh, A. Lawrie, L. Nesbitt, A. Pritchard, N. Swarts and R. Thomson. 2009. Propagation and reintroduction of Caladenia. Australian Journal of Botany 57: 373-387. 

  28. Wu, K., S. Zeng, D. Lin, J. A. T. da Silva, Z. Bu, J. Zhang and J. Duan. 2014. In vitro propagation and reintroduction of the endangered Renanthera imschootiana Rolfe. Plos One 9: e110033. 

  29. Yam, T. W., J. Chua, F. Tay and P. Ang. 2010. Conservation of the native orchids through seedling culture and reintroduction - a Singapore experience. The Botanical Review 76: 263-274. 

  30. Zettler, L. W., S. B. Poulter and K. I. McDonald. 2007. Conservation-driven propagation of an epiphytic orchid (Epidendrum nocturnum) with a mycorrhizal fungus. HortScience 42: 135-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