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LIWC를 이용한 비압박 상황의 거짓 태도 탐지
Detecting a deceptive attitude in non-pressure situations using K-LIWC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27 no.2, 2016년, pp.247 - 273  

김영일 (아주대학교 라이프미디어 협동과정 IT 심리학과) ,  김영준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거짓말 연구들은 대면 상황에서 말이나 진술서 등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이 불안할 수 있는 상황에서 주로 행해졌다. 본 연구는 거짓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우려가 없거나 밝혀지더라도 그로 인한 손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비압박 상황에서 자기 태도에 반하는 거짓글을 쓸 경우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을 K-LIWC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거짓말 연구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두 번의 글쓰기 과제에서 태도를 기만하는 거짓 글은 진실한 글에 비해 1인칭 단어의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복잡성을 나타내는 변인들은 첫 번째 글쓰기 과제에서는 더 낮게, 두 번째 글쓰기 과제에서 더 높게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거짓말에는 부적 정서 단어들이 많이 사용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비압박 상황에서는 긍정 정서의 단어들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황적 요인의 차이로 심리적 상태가 달라지면 사용하는 언어 또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about lying were mainly executed in pressure situations, such as interviews or crime statements, which made people stressed. This study analyzed deceptive and non-deceptive writings in non-pressure situation through K-LIWC program, in which lies are rarely disclosed and hardly dama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말의 진실 여부에 더하여 그 말을 한 의도를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DePaulo(2004)는 일상생활에서 완벽한 진실을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이유는 ‘너 오늘 뭐했니?’라는 단순한 질문에 대해 대답은 오늘 했던 행동에 대한 묘사 수준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형태로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일상생활의 모든 자기표현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편집될 수밖에 없다(Goffman, 1959).
조은경(2002)에 따른 거짓말에 대한 정의는? 그렇기 때문에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말의 진실 여부에 더하여 그 말을 한 의도를 살펴보아야 한다. 조은경(2002)은 거짓말을 ‘화자가 고의적으로 타인을 속이는 행위’와 ‘상대방이 사실을 알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을 숨기는 행위’라고 정의하면서 핵심 요소는 ‘사실을 감추려는 동기’ 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기만 동기는 중대한 거짓말과 일상의 가벼운 거짓말을 가르는 기준이 된다.
기만 동기는 무엇의 기준이 되는가? 조은경(2002)은 거짓말을 ‘화자가 고의적으로 타인을 속이는 행위’와 ‘상대방이 사실을 알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을 숨기는 행위’라고 정의하면서 핵심 요소는 ‘사실을 감추려는 동기’ 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기만 동기는 중대한 거짓말과 일상의 가벼운 거짓말을 가르는 기준이 된다. DePaulo, Ansfield, Kirkendol과 Boden(2004)은 이들은 거짓말의 동기를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동기와 심리적인 동기로 구분하였고 일상적인 거짓말은 심리적인 동기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동기는 중대한 거짓말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시업, 전우병, 김경하, 김미영, 전충현 (2005). 용의자의 거짓말 탐지를 위한 비언어적 단서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51-162. 

  2. 김시업, 전우병, 전충현 (2006). 군 수사현장에서 용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2), 101-114. 

  3. 김영윤 (2009). P300-기반 거짓말 탐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11-129. 

  4. 김영준, 김영일, 김경일 (2013). 인터넷 악성 댓글과 일반 댓글의 언어적, 심리적 특성 비교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191-3201. 

  5. 노진아, 현명호 (2008). 경험연구: 거짓말의 음성 및 발화행동 특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119-137. 

  6. 문옥영, 김시업, 전우병, 김범준 (2011). 한국어 진술서에서 책임회피 시 나타나는 거짓의 언어.심리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91-111. 

  7. 박종민, 이창환 (2011).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KLIWC)을 이용한 남북한 방송극의 언어문화 구조 차이 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3), 5-30. 

  8. 서종한, 김경일 (2009). 성폭력 가해자의 글에 나타난 언어.심리적 특성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2), 717-730. 

  9. 오유리, 도현심, 최미경 (2008). 연령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거짓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191-201. 

  10. 유연재 (2016). 한국어 언어분석 프로그램(KLIWC)을 이용한온라인 기만 사용후기 연구. 소비자학연구, 27(1), 69-92. 

  11. 이창환, 심정미, 윤애선 (2005). 언어적 특성을 이용한 '심리학적 한국어 글분석 프로그램(KLIWC)' 개발 과정에 대한 고찰. 인지과학, 16(2), 93-121. 

  12. 임은숙 (2001). 사회심리학적으로 살펴본 '거짓말' '거짓 증언'의 문제. 가톨릭신학과사상(38), 71-85. 

  13. 조은경 (2002). 거짓말의 특징과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33-65. 

  14. 하병학 (2008). 거짓말의 수사학. 수사학, 9, 65-89. 

  15. Adams, S. H. (1996). Statement analysis: What do suspects' words really reveal. FBI Law Enforcement Bulletin, 65(10), 12-20. 

  16. Adams, S. H. (2002). Communication under stress: indicators of veracity and deception in written narratives.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Virginia. 

  17. Barrett, L. F., Williams, N. L., & Fong, G. T. (2002). Defensive verbal behavior assess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6), 776-788. 

  18. Blandon-Gitlin, I., Pezdek, K., Lindsay, D. S., & Hagen, L. (2009).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of true and suggested accounts of event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3(7), 901-917. 

  19. DePaulo, B. M. (2004). The Many Faces of Lies. In A. G. Miller (Ed.), The Social Psychology of Good and Evil (pp. 303-326). New York: Guilford Press. 

  20. DePaulo, B. M., Ansfield, M. E., Kirkendol, S. E., & Boden, J. M. (2004). Serious Lies.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6(2-3), 147-167. 

  21. DePaulo, B. M., Lindsay, J. J., Malone, B. E., Muhlenbruck, L., Charlton, K., & Cooper, H. (2003). Cues to decep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9(1), 74-118. 

  22. Fazio, R. H., Chen, J. M., McDonel, E. C., & Sherman, S. J. (1982). Attitude accessibility,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and the strength of the object-evaluation associ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8(4), 339-357. 

  23. Friedman, H. S., & Tucker, J. S. (1990). Language and deception. In W. P. Robinson & H. Giles (Eds.), Handbook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pp. 257-270). Oxford, England: John Wiley & Sons. 

  24. Goffm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Garden City, N.Y.: Doubleday. 

  25. Hancock, J. T., Curry, L. E., Goorha, S., & Woodworth, M. (2007). On lying and being lied to: A linguistic analysis of decep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iscourse Processes, 45(1), 1-23. 

  26. Hayes, J. R., & Flower, L. S. (1980). Identifying the Organization of Writing Processes. In Gregg, L. & Steinberg, E. (Eds.),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pp. 3-3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Kang, S., & Chung, C. J. (2012). Patterns of Perceived Cues in Detecting Deception.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10(2), 49-64. 

  28. Knapp, M. L., Hart, R. P., & Dennis, H. S. (1974). An exploration of deception as a communication constru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1), 15-29. 

  29. Lee, C. H., Kim, K., Seo, Y. S., & Chung, C. K. (2007).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34(4), 405-413. 

  30. Linder, D. E., Cooper, J., & Jones, E. E. (1967). Decision freedom as a determinant of the role of incentive magnitude in attitude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245-254. 

  31. Masip, J., Bethencourt, M., Lucas, G., Segundo, M. S. S., & Herrero, C. (2012). Deception detection from written account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3(2), 103-111. 

  32. Matsumoto, D., & Hwang, H. C. (2014). Differences in Word Usage by Truth Tellers and Liars in Written Statements and an Investigative Interview After a Mock Crime.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fender Profiling, 12(2), 199-216. 

  33. Newman, M. L., Pennebaker, J. W., Berry, D. S., & Richards, J. M. (2003). Lying words: Predicting deception from linguistic styl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5), 665-675. 

  34. Pennebaker, J. W., & Francis, M. E. (1996). Cognitive, Emotional, and Language Processes in Disclosure. Cognition and Emotion, 10(6), 601-626. 

  35. Pennebaker, J. W., & King, L. A. (1999). Linguistic styles: language use as an individual differ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296. 

  36. Pennebaker, J. W., Francis, M. E., & Booth, R. J. (2001).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2001. Mahwa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1, 2001. 

  37. Rabon, D. (1994). Investigative discourse analysis. Durham, NC: Carolina Academic Press. 

  38. Ruby, C. L., & Brigham, J. C. (1997). The usefulness of the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technique in distinguishing between truthful and fabricated allegations: A Critical Review.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3(4), 705-737. 

  39. Rudacille, W. C. (1994). Identifying lies in disguise. Iowa: Kendall/Hunt. 

  40. Sapir, A. (1987). The LSI course on scientific content analysis (SCAN). Phoenix, AZ: Laboratory for Scientific Interrogation. 

  41. Schelleman-Offermans, K., & Merckelbach, H. (2010). Fantasy proneness as a confounder of verbal lie detection tools.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fender Profiling, 7(3), 247-260. 

  42. Vrij, A., Edward, K., Roberts, K. P., & Bull, R. (2000). Detecting deceit via analysis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24(4), 239-263. 

  43. Yoo, K. H., & Gretzel, U. (2009). Comparison of Deceptive and Truthful Travel Reviews. In W. Hopken, U. Gretzel, & R. Law (E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ourism 2009: Proc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2009 (pp. 37-47). Vienna: Springer Vienna. 

  44. Zhou, L., Burgoon, J. K., Twitchell, D. P., Qin, T., & Nunamaker Jr, J. F. (2004). A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methods for predicting decep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4), 13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