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of Korean Hangul reading and its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27 no.2, 2016년, pp.325 - 353  

최영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태훈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isual span refers to the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without moving one's eyes. The size of the visual span is affected by sensory factors such as perimetric complexity, crowding, and mislocation of letters. Korean Hangul utilizes rather unique alphabetic-syllabary wr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VCC조건에서 고정점 재인율이 전반적으로 매우 떨어져 네 조건의 비교를 위한 참가자 수는 적었으나, 이 조건을 제외하면 나머지 세 조건에서 분석 조건을 충족하는 참가자 수가 20명이었기에 세 조건 간의 비교를 재검증해보고자 추가로 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 선행 연구에서 비교한 글자 유형은 두 개에 국한되어 있어, 실제 한글 표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글자 유형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독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자음 단독 제시 조건부터, CV, CVC, CVCC의 유형에 이르기까지 한글 자모결합에 따른 4개의 글자 유형을 조건별로 제시하여 이에 따른 시각 폭의 크기와 글자 재인 정확률의 비교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결과에서 CVC글자들의 정보처리량이 CV글자들보다 많았던 것을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재검증하였다.
  • 이는 주변 시야를 이용하여야 할 위치에 제시된 글자들을 중심 시야를 이용하여 인식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각 폭의 개념을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해 이러한 엄격한 사후 검토 과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선행연구의 경우에도 비록 상세히 보고된 논문이 없어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웠지만, 이러한 문제가 충분한 사전 훈련 과정에서 눈 움직임을 통제하는데 숙달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극복되도록 하였을 가능성이나 숙련된 실험자의 눈 움직임 모니터링을 통해서 통제되었을 수도 있다.
  • 따라서 한글 읽기에서는 영어와 달리 개별 자소보다는 다양한 글자 유형 중에서 특정 유형(들)이 읽기 유창성이나 읽기 이해와 같은 읽기 능력과 연결된 주요 단위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글자 유형과 개별 자소 중에서 한글 읽기의 능력과 상관을 보이고,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데 기여하는 시각 폭 측정의 기본 단위 형태가 무엇일지도 탐색해 보았다.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할 수 있는 시각 폭 측정의 단위를 확인하는 것은 향후 한글 읽기에서 읽기 능력에 필요한 시각 폭 측정 시 어떠한 유형의 글자를 사용하여야 할지를 제시해 줄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쓰면서(Cho & McBride-Chang, 2005; Taylor & Taylor, 1995), 단어 재인 시 음절 단위의 표상이 중요한(Lee et al., 2015) 한글의 읽기 과정에서 자모구성에 따른 글자 유형의 복잡성이 읽기 초기 단계의 글자 처리 정보량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대학생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 추가적으로, 글자 유형들 중에서 한글 읽기 능력의 개인차와 상관을 보이는 유형은 어떤 것인지도 검토하였다. 영어의 경우, 알파벳의 처리가 기준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하여 시각 폭의 크기가 클수록 읽기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et al.
  • 시각 폭 크기와 글자 재인율의 개인차를 측정하는 것의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이러한 개인차가 읽기 능력과의 개인차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최영은, 유성재, 2015; Kwon, Legge, & Dubbels, 2007).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글자 유형 중에서 어떤 유형이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도 있었다. Kwon 등(2007)은 영어 알파벳의 글자 처리량의 개인차가 읽기 유창성을 예측함을 보고하였고, 이러한 양상이 읽기 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아동기부터 이어진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글의 표기법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의 표기 체계와 다른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한글의 표기법은 알파벳을 나열하는 영어와 같은 언어의 표기법이나 뜻을 기준으로 획을 결합시키는 중국어(Wang, Koda, & Perfetti, 2003, 단,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Pin yin은 영어와 같이 소리를 대표하는 음소들의 나열을 사용함), 그리고 개별 글자가 음절을 표시하는 일본어(예: 히라가나의 ‘が’는 자음/ㄱ/과 모음/ㅏ/가 결합, 내포되어 분리되지 않는 표기임)와 같은 언어들의 표기 체계와도 다르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다양한 형태의 음절로 결합하여 표기하는 알파벳 음절 방식(alphabetic syllabary라고 함, Cho & McBride-Chang, 2005; Taylor & Taylor, 1995)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시각 폭의 정의는 무엇인가? Legge와 동료들은 이와 같이 한 번에 처리되는 글자 정보량을 시각 폭(visual span)이라고 개념화하고, 이를 눈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정확하게 재인할 수 있는 글자의 범위라고 정의하였다(Legge, Ahn, Klitz, & Luebker, 1997; Legge, Cheung, Yu, Chung, Lee, & Owens, 2007; Legge, Mansfield, & Chung, 2001). 이러한 개념의 시각 폭은 이들이 개발한 세 글자 쌍 패러다임(trigram paradigm)을 통해 측정된다(Legge, Ahn, Klitz, & Luebker, 1997; Legge, Mansfield, & Chung, 2001).
시각 폭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동일 (2008).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BASA): 읽기검사. 서울: 학지사심리검사 연구소. 

  2. 김민식, 정찬섭 (1989). 한글의 자모구성 형태에 따른 자모 및 글자 인식. 인지과학, 1(1), 27-75. 

  3. 김애화, 김의정, 성소연 (2013). 초등학교 1, 3, 5 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 연구: 상위 읽기이해 처리 특성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6(3), 21-42. 

  4. 박진원, 신명선 (2012). 속화성인과 일반성인의 읽기 난이도에 따른 읽기 유창성과 읽기 오류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3(1), 145-164. 

  5. 이광오 (1995). 자모 대체 수행에 나타난 글자의 내부구조와 음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7(1), 57-69. 

  6. 이병택, 김경중, 조명한 (1996). 읽기폭에 따르는 언어처리의 개인차: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8(1), 59-85. 

  7. 이병택, 이경민, 김정오, 홍재성 (2002). 억제와 재인 읽기 폭 검사. 인지과학, 13(4), 91-98. 

  8. 최영은, 유성재 (2015). 한글 읽기에서 시각 폭 크기와 읽기 능력 발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275-293. 

  9. Brabham, E., Boyd, P., & Edgington, W. D. (2000). Sorting it out: Elementary students' responses to fact and fiction in informational storybooks as read-alouds for science and social studies.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39(4), 265-289. 

  10. Cho, J., & McBride-Chang, C. (2005). Correlates of Korean Hangul acquisition among Korean kindergartners and second graders.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9(1), 3-16. 

  11. Choi, Jeong, & Kim (2016). Effect of stroke frequency on the visual span for Korean Hangul characters. Poster presented at Asia Join Symposium on Reading and Spelling, February, 2016, Seoul, Korea. 

  12. Daneman, M. (1991). Working memory as a predictor of verbal fluency.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20(6), 445-464. 

  13. Daneman, M., & Carpenter, P. A. (1980).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9(4), 450-466. 

  14. Daneman, M., & Merikle, P. M. (1996). Working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 meta-analysi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3(4), 422-433. 

  15. Dehaene, S. (2009). Reading in the Brain: The New Science of How We Read. New York: Penguin. 

  16. Frankish, C. & Turner, E. (2007). SIHGT and SUNOD: The role of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the perception of transposed letter anagram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6(2), 189-211. 

  17. He, Y., Legge, G. E., & Yu, D. (2013). Sensory and cognitive influences on the training-related improvement of reading speed in peripheral vision. Journal of Vision, 13(7), 1-14. 

  18. Kim, Y. (2007). Phonological awareness and literacy skills in Korean: An examination of the unique role of body-coda units. Applied Psycholinguistics, 28(1), 69-94. 

  19. Kwon, M., Legge, G. E., & Dubbels, B. R. (2007).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visual span for reading. Vision Research, 47(22), 2889-2900. 

  20. Lee, C. H., Kwon, Y., Kim, K., & Rastle, K. (2015). Syllable Transposition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Journal of Psycholinguistics Research, 44(3), 309-315. 

  21. Lee, C. H. & Taft, M. (2009). Are onsets and codas important in processing letter position? A comparison of TL effects in English and Korea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60(4), 530-542. 

  22. Lee, C. H. & Taft, M. (2011). Subsyllabic structure reflected in letter confusability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8(1), 129-134. 

  23. Lee, H. W., Kwon, M., Legge, G. E., & Gefroh, J. J. (2010). Training improves reading speed in peripheral vision: Is it due to attention?. Journal of Vision, 10(6), 18. 

  24. Lee, Y., & Goldrick, M. (2008). The emergence of sub-syllabic representation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9(2), 155-168. 

  25. Legge, G. E., Ahn, S. J., Klitz, T. S., & Luebker, A. (1997). Psychophysics of reading-XVI. The visual span in normal and low vision. Vision Research, 37(14), 1999-2010. 

  26. Legge, G. E., Cheung, S. H., Yu, D., Chung, S. T., Lee, H. W., & Owens, D. P. (2007). The case for the visual span as a sensory bottleneck in reading. Journal of Vision, 7(2), 9. 

  27. Legge, G. E., Mansfield, J. S., & Chung, S. T. (2001). Psychophysics of reading: XX. Linking letter recognition to reading speed in central and peripheral vision. Vision Research, 41(6), 725-743. 

  28. McConkie, G. W., & Rayner, K., (1975). The span of the effective stimulus during fixations in read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17(6), 578-586. 

  29. Perea, M. & Lupker, S. J. (2004). Can CANISO activate CASINO? Transposed-letter similarity effect with non-adjacent letter position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1(2), 231-246. 

  30. Pollatsek, A., Bolozky, S., Well, A. D., & Rayner, K. (1981). Asymmetries in the perceptual span for Israeli readers. Brain & Language, 14(1), 174-180. 

  31.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4(3), 372-422. 

  32. Rayner, K.. (2009). Eye movements and attention in reading, scene perception, and visual search.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2(8), 1457-1506. 

  33. Rayner, K., & Bertera, J. H. (1979). Reading without a fovea. Science, 206(4417), 468-469. 

  34. Rayner, K., Slattery, T. J., & Belanger, N. N. (2010). Eye movements, the perceptual span, and reading speed.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7(6), 834-839. 

  35. Stalh, S. (1983). Differential word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Reading Behavior, 9(4), 33-50. 

  36. Taft, M., Zhu, X., & Peng, D. (1999). Positional specificity of radicals in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0(4), 498-519. 

  37. Taylor, I., & Taylor, M. (1995). Writing and literacy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Amsterdam: Benjamins. 

  38. Wang, H., He, X., & Legge, G. E. (2014). Effect of pattern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for Chinese and alphabet characters. Journal of Vision, 14(8):6, 1-17. 

  39. Wang, M., Koda, K., & Perfetti, C. A. (2003). Alphabetic and nonalphabetic L1 effects in English word identification: A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English L2 learners. Cognition, 87(2), 129-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