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4, 2016년, pp.279 - 284
최관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이호범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나사라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유병규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손순룡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Single-shot echo planar imaging(SS-EPI) is well established as high sensitivity for ischemic stroke. However, it is prone to susceptibility artifact in brain stem that diminish the image quality. single-shot turbo spin echo(SS-TSE) is a new DWI technique that can reduce susceptibility artifact. Thu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뇌졸중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 [1] 허혈성 뇌졸중 중 11%는 뇌줄기(brain stem)에서 발생하는데,[2] 뇌줄기는 신경다발의 통로 및 생명유지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졸중이 발생할 경우 편측 마비 (hemiparesis), 반신 감각소실(hemisensory loss), 언어장애(dysphasia), 현기증(vertigo), 복시(diplopia) 등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 4] | |
뇌줄기의 역할은? |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80%-85%)과 출혈성 뇌졸중(15%-20%)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허혈성 뇌졸중이 출혈성 뇌졸중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다.[1] 허혈성 뇌졸중 중 11%는 뇌줄기(brain stem)에서 발생하는데,[2] 뇌줄기는 신경다발의 통로 및 생명유지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졸중이 발생할 경우 편측 마비 (hemiparesis), 반신 감각소실(hemisensory loss), 언어장애(dysphasia), 현기증(vertigo), 복시(diplopia) 등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으로 초기 뇌졸중을 발견할 수 없는 이유는? | 그러나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 maging, 이하 MRI)으로는 초기 뇌졸중을 발견할 수 없다. 왜냐하면 비가역적으로 손상된 뇌는 최소 72시간이 지나야만 MRI 영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과거에는 뇌졸중 증상이 나타나면 전산화단층촬영 검사를 시행하였다. |
D. Epstein, A. Mason, A. Manca, "The hospital costs of care for stroke in nine European countries", Health Economics, Vol. 17, No. 1, pp. 21-31, 2008.
Bogousslavsky, M. G. Van, F. Regli, "The Lausanne Stroke Registry: analysis of 1,000 consecutive patients with first stroke", Stroke, Vol. 19, No. 9, pp. 1083-1092, 1988.
K. M. Burger, S. Tuhrim, T. P. Naidich, "Brainstem vascular stroke anatomy", Neuroimagin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15, No. 2, pp. 297-324, 2005.
J. F. Burke, K. A. Kerber, T.J. Iwashyna, L. B. Morgenstem, "Wide variation and rising utilization of strok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nals of Neurology, Vol. 71, No. 2, pp. 179-185, 2012.
C. Z. Simonsen, M. H. Madsen, M. L. Schmitz, I. K. Mikkelsen, M. Fisher, G. Andersen, "Sensitivity of diffusion- and perfusion-weighted imaging for diagnosing acute ischemic stroke is 97.5%", Stroke, Vol. 45, No. 1, pp. 98-101, 2015.
Y. L. Thian, W. Xie, D. A. Porter, A. B. Weileng, "Readout-segmented echo-planar imaging for diffusion-weighted imaging in the pelvis at 3T-A feasibility study", Academic Radiology, Vol. 21, No. 4, pp. 531-537, 2014.
S. J. Holdsworth, M. U. Antonucci, J. B. Andre, J. Rosenberg, M. Aksoy, M. Straka, N. J. Fischbein, R. Bammer, S. Skare, "Diffusion-weighted imaging with dual-echo echo-planar imaging for better sensitivity to acute stroke",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Vol. 35, No. 7, pp. 1293-1302, 2014.
K. W. Yeom, S. J. Holdsworth, A. T. Van, R. M. Lober, R. Bammer, "Comparison of readout-segmented echo-planar imaging (EPI) and single-shot EPI in clinical application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of the pediatric brain",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Vol. 200, No. 5, pp. 437-443, 2013.
R. Bammer, "Basic principles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45, No. 3, pp. 169-184, 2003.
K. P. Pruessmann, M. Weiger, M. B. Scheidegger, P. Boesiger, "SENSE: sensitivity encoding for fast MRI",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42, No. 5, pp. 952-962, 1999.
K. O. Lovblad, P. M. Jakob, Q. Chen, A. E. Baird, G. Schlaug, S. Warach, R. R. Edelman, "Turbo spin-echo diffusion-weighted MR of ischemic stroke",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Vol. 19, No. 2, pp. 201-208, 1998.
J. P. Vercruysse, B. Pilet, J. Michiels, R. Vertriest, M. Pouillon, T. Somers, E. Offeciers, "Single-shot, turbo spin-echo, diffusion-weighted imaging versus spin-echo-planar, diffusion-weighted imaging in the detection of acquired middle ear cholesteatoma",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Vol. 27, No. 7, pp. 1480-1482, 2006.
J. S. Zhang, Y. Huan, "Multishot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features in acute trauma of spinal cord",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24, No. 3, pp. 685-692, 2014.
T. Ishihara, K. Hirata, J. Kubo, K. Yamazaki, T. Sato, "Clinical application of multi-shot diffusion EPI inneurological disease", Rinsho Shinkeiqaku, Vol. 38, No. 5, pp. 453-456, 1998.
F. Hennel, "Image-based reduction of artifacts in multishot echo-planar imaging",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Vol. 134, No. 2, pp. 206-213, 1998.
M. H. Buonocore, L. Gao, "Ghost artifact reduction for echo planar imaging using image phase correction",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38, No. 1, pp. 89-100, 1997.
J. Pouwels, F. Rodjan, A. C. Moll, S. M. Imhof, D. L. Knol, E. Sanchez, J. A. Castelijns, "Single-shot turbo spin-echo diffusion-weighted imaging for retinoblastoma: initial experience",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Vol. 33, No. 1, pp. 110-118,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