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rectangular FOV 적용에 따른 ADC 값의 변화
A Change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n Diffusion Weighted Imaging Applied with Rectangular FOV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7, 2016년, pp.545 - 550  

나사라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최관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구노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유병규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손순룡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RI를 이용한 기능검사 시 rectangular FOV를 적용하더라도 기능을 정량화한 대표 값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FOV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표적인 기능 검사로 뇌졸증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확산강조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주파수부호화 방향의 FOV 변화에 따른 ADC 값의 변화 여부를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주파수부호화 방향의 FOV가 변화함에 따라 ADC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후분석 결과도 유의수준 0.05에 대한 부집단이 모두 1개 밖에 존재하지 않아 FOV 변화에 따른 ADC 값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MRI를 이용한 기능 영상에서 rectangular FOV를 적용하더라도 기능을 정량화한 대표 값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FOV 불일치로 인해 수반되는 공간왜곡이나 mismatching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mapping between functional image and conventional image by using rectangular FOV technique. Diffusion weighted imaging which is widely used for stroke was acquired by reducing the FOV and compared each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ADC). As a result, th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기능 검사로 뇌졸증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DWI를 이용하여,[7] rectangular FOV를 적용하더라도 세포내 물분자의 확산 운동을 정량화 한[8] ADC(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값이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FOV의 불일치로 인한 공간왜곡이나 mismatch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ctangular 영상영역기법은 무엇인가? 이 중 rectangular 영상영역(field of view, FOV) 기법은 공간해상도와 신호대잡음비를 유지한 채 검사부위중 길이가 짧은 쪽의 위상부호화(phase encoding) 수를 줄여 검사시간을 짧게 하는 기법으로, 현재 대부분의 검사에서 이용되고 있다.[4] 특히 두경부 검사의 경우 머리의 좌우(right to left)가 앞뒤(anterior to posterior) 보다 짧기 때문에 좌우의 위상부호화 수를 줄인 rectan gular FOV 기법이 많이 사용된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 I) 검사는 인체 내 수소 정보를 영상화 하는 검사로 연부조직의 대조도가 매우 우수하나 영상획득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자장 세기의 증가, 새로운 펄스시퀀스 디자인, EPI, multichannel coil, SSFP(Steady State Free precession), S ENSE, blipped-controlled multislice 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방법들은 무엇인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 I) 검사는 인체 내 수소 정보를 영상화 하는 검사로 연부조직의 대조도가 매우 우수하나 영상획득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자장 세기의 증가, 새로운 펄스시퀀스 디자인, EPI, multichannel coil, SSFP(Steady State Free precession), S ENSE, blipped-controlled multislice 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 Y. Carr, "Steady-state free precession in nuclear magnetic resonance. Physical Review", Vol. 112, No. 5, 1693. 

  2. K. P. Pruessmann, M. Weiger, M. B. Scheidegger, P. Boesiger, "SENSE: sensitivity encoding for fast MRI",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42, No. 5, pp. 952-962, 1999. 

  3. K. Setsompop, B. A. Gagoski, J. R. Polimeni, T. Witzel, V. J. Wedeen, L. L. Wald, "Blipped-controlled aliasing in parallel imaging for simultaneous multislice echo planar imaging with reduced g-factor penalty",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67, No. 5, pp. 1210-1224, 2012. 

  4. C. Westbrook, C. K. Roth, "MRI in Practice", John Wiley & Sons", 2011. 

  5. R. Turner, D. L. Bihan, "Single-shot diffusion imaging at 2.0 Tesla",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Vol. 86, No. 3, pp. 445-452, 1990. 

  6. M. A. Haider, T. H. Kwast, J. Tanguay, A. J. Evans, A. T. Hashmi, G. Lockwood, J. Trachtenberg, "Combined T2-weighted and diffusion weighted MRI for localization of prostate cancer",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Vol. 189, No. 2, pp. 323-328, 2007. 

  7. M. E. Moseley, J. Kucharczyk, J. Mintorovitch, Y. Cohen, J. Kurhanewicz, N. Derugin, D. Norman,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acute stroke: correlation with T2-weighted and magnetic susceptibility enhanced MR imaging in cats",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Vol. 11, No. 3, pp. 423-429, 1990. 

  8. E. O. Stejskal, J. E. Tanner, "Spin diffusion measurements: spin echoes in the presence of a time-dependent field gradient", The journal of chemical physics, Vol. 42, No. 13, pp. 288-292, 1995 

  9. F. N. Wang, T. Y. Huang, F. H. Lin, T. C. Chuang, N. K. Chen, H. W. Chung, K. K. Kwong, "PROPELLER EPI: an MRI technique suitable for diffusion tensor imaging at high field strength with reduced geometric distortions",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54, No. 5, pp. 1232-1240, 2005. 

  10. H. Tullos, B. Dale, G. Bidwell, E. Perkins, D. Raucher, M. Khan, J. James, "SU-E-I-67: Multi-Shot RESOLVE Compared to Single-Shot EPI 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Acquisition Scheme", Medical Physics, Vol. 39, No. 6, pp. 3640-3640, 2012. 

  11. F. Donato, D. N. Costa, Q. Yuan, N. M. Rofsky, R. E. Lenkinski, I. Pedrosa, "Geometric Distortion in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the Prostate- Contributing Factors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Academic radiology, Vol. 21, No. 6, pp. 817-823, 2014. 

  12. E. U. Saritas, C. H. Cunningham, J. H. Lee, E. T. Han, D. G. Nishimura, "DWI of the spinal cord with reduced FOV single-shot EPI",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60, No. 23, pp. 468-47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