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압출성형기를 이용한 나노복합재 필름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ano-composites Films Using Extruder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8 no.2, 2016년, pp.101 - 108  

권일준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  박성민 (다이텍연구원) ,  유성훈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  염정현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propylene(PP)/multiwalled carbon nanotubes(MWCNT) nanocomposites films and PP/poly(vinyl alcohol)/CNT nanocomposites films were prepared through melt mixing method by the extruder. The PP/CNT nanocomposites films, which contain CNT of a variable content, were prepared for the first time and r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화학적으로 뛰어난 특성을 보이는 PP에 친수성 재료로써 유동성 개선 및 화학적 결합 특성을 가지고 있는 PVA와 CNT 함침 필름으로 제조함으로써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PP 분말에 CNT를 각각 1 w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경화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어디에 이용되고 있는가?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기본적으로 기존 열경화성 고분자 복합재료 대체가 가능하다. 현재 열경화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항공기 부품, 경주용 자동차 부품 등의 고강도가 요구되는 분야와 골프채, 낚시대, 배드민턴 라켓, 자전거 프레임 등 스포츠 분야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열경화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성형시간, 재활용 문제, 대량 생산에 기술적 한계가 있어 보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응용에 한계가 있어왔다.
컴파운딩 방법이 갖는 문제점은?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으로 크게 중합법(Polymerization method), 용액법(Solution mixing method), 용융법(Melt mixing method)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용융법, 즉 컴파운딩 방법은 나노 사이즈의 필러와 고분자 수지를 용융상태에서 혼합하는 것으로 기존의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밴버리 믹서(Vanbery mixer), 압출기, 롤밀과 같은 가공 설비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나노 사이즈의 필러와 점도가 높은 고분자 용융체와 혼합하기 때문에 높은 분산성을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물 필러와 고분자 수지 사이의 친화력을 높여주는 다양한 상용화제를 사용하고, 무기물 필러와 고분자 수지의 개질, 공정조건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16).
폴리프로필렌이란? 범용성 고분자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플라스틱과 섬유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 용도가 매우 많은 고분자이다.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대단히 성형성이 좋은 재료이며 강력한 특성 때문에 열가소성 고분자를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한 복합재료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Bouslah, M. Salvia, I. Descheres, B. Berthel, and S. Benayoun, Effect of Microsphere Content on Fire Performance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Phenolic Resole Syntactic Foam Composites, ICCM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 Montreal, Canada, pp.4531-4542, 2013. 

  2. G. Y. Gu, Z. J. Wang, D. J. Kwon, and J. M. Park,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y of ElectronCNT/PVDF Nanofiber for Micro-Actuator, J.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26, 14(2013). 

  3. H. K. Um, H. Y. Lee, T. H. Yim, and J. H. Lee,The Effects of Pretreatment and Surfactants on CNT and PermalloyCompositeElectroplating, J.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17, 63(2010). 

  4. X. Liang, S.Wang, X.Wei, L. Ding, and Y. Zhu, Carbon 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s: Towards Entire-Carbon-Nanotube Circuits: The Fabrication of Single-Walled-Carbon-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Local Multiwalled-Carbon-Nanotube Interconnects, Advanced Materials, 21, 4(2009). 

  5. M. T. Ahamdi, Z. Johari, and R. Webb, Carbon Nanotube Band Structure Effect on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Aip Conference Proceedings Series, Playa del Carmen, Mexico, 1239, pp.254-259, 2010. 

  6. Y. H. Lee, E. K. Hwang, Y. M. Baek, and H. D. Kim, Carbon Nanotube Buckypapers as Electrocatalysts Upport for Methanol Oxidation, Carbon, 1, 675(2012). 

  7. M. Mohammad and I. W. Karen, Polymer Nanocomposite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Macromolecules, 39, 5194(2006). 

  8. H. G. Kim, Effect of Composition of Mixed Reactive Diluent onThermal Stability of UV Cured Urethane Acrylate/MMT Nanocomposite, Polymer Korea, 40, 9(2016). 

  9. B. Gong,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 Millable Polyurethane Nanocomposite based on Castor Oil and Halloysite Nanotubes, RSC Advances, 6, 12084(2016). 

  10. Z. Wang, P. Tammela, J. Huo, P. Zhang, M. Stromme, and L. Nyholm, Solution-process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Nanocomposite Paper Electrodes for High-capacitance Flexible Supercapacitors, J. of Materials Chemistry A, 4, 1714(2016). 

  11. E. Giannelis, Polymer Layerd Silicate Nanocomposites, Adv. Mater., 8, 29(1996). 

  12. T. Agag, T. Koga, and T. Takeichi, Studies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imide-clay Nanocomposites, Polymer, 42, 3399(2001). 

  13. C. J. Kleverlaan and A. J. Feilzer,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Contraction Stress of Dental Resin Composites, Dental Materials, 21, 1150(2005). 

  14. D. J. Barron, F. A. Rueggeberg, and G. S. Schuster, A Comparison of Monomer Conversion and Inorganic Filler Content in Visible Light-cured Denture Resins, Dental Materials, 8, 274(1992). 

  15. J. G. Ryu, G. R. Park, S. G. Lyu, J. H. Rhew, and G. S. Sur, Polymer Nanocomposites based on Amorphous Copolyster and Organo-inorganic Nanofillers: A Structure and Property Study, Polymer, 22, 328(1999). 

  16. M. Alexandre and P. Dubois,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Uses of a New Class of Material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 Reports, 28, 1(2000). 

  17. C. A. Finish, "Poly(vinylalcohol), 2nd Edition", Wiley, NY, 1992. 

  18. C. M. Hassan and N. A. Peppas, Cellular PVA Hydrogels Produced by Freeze/thawing, Applied Polymer Science, 76, 2075(2000). 

  19. G. M. Kavanagh and S. B. Ross-Murphy, Rheological Characterisation of Polymer Gel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3, 533(1998). 

  20. E. E. Shafee and H. F. Naguib, Water Sorption in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Networks, Polymer, 44, 1647 (2003). 

  21. S. V. Caro, C. S. P. Sung, and E. W. Merrill, Reaction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with Poly(vinyl alcohol) FilmsforBiomedical Applications, Applied Polymer, 20, 3241(1976). 

  22. H. Omidian, Polyvinyl Alcohol in Medicine and Pharmacy; A Perspective, Developing Drugs, 2, 112(2013). 

  23. H. G. Tian and H. Y. Tagaya, Dynamic Mechanical Property and Photochemical Stability of Perlite/PVA and OMMT/PVA Nanocomposites, J. of Materials Science, 43, 766(2007). 

  24. Y. T. Saito, N. M.Junichi, Y. Zhang, T. Satoshi, U. Nozomu, and U. Keizo, Kinetics of Property Change associated with Atmospheric Humidity Changesin Alumina Powder Granules with PVA Binder, J.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22, 2835(2002). 

  25. S. B. Yang, W. S. Choi, J. M. Hyun, J. C. Shin, J. H. Choi, and J. H. Yeum, Electrospinning Fabrication of Poly(vinyl alcohol)/Pullulan/ $TiO_2$ Nanofiber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6(3), 195(2014). 

  26. M. Lee, S. B. Bae,J. K. Park, and S. G. Lee,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Nano-composites with Carbon Nanotub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6(2), 71(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