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정적균형능력 측정의 신뢰도 연구
Reliability of static balance abilities measure using a smartphone's acceleration sens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233 - 238  

한슬기 (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인학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누리 (서초참요양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적균형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최근 3개월 이내에 골절, 수술, 염증성 관절염이 없고 정기적인 운동을 시작하지 않은 Y대학교의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스마트폰은 갤럭시S5LTE (SM-G900F, Samsung, Korea, 2014)였고 어플리케이션은 Sensor Kinetics pro (Ver.2.1.2, INNOVENTIONS Inc, US, 2015)를 사용하였다. 정적균형능력은 1회당 3번씩 측정하였으며 하루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로 시행되었다. 1차 측정과 2차 측정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Wilcoxon 부호순위검정, 급내상관계수(ICC(2,1))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눈을 뜬 상태에서 1차 측정과 2차 측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75, p<0.05) 매우 높은 일치도(ICC>0.80)를 보였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1차 측정과 2차 측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75, p<0.05) 매우 높은 일치도(ICC>0.80)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은 정적균형능력 측정에 있어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 향후 균형능력측정 전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static balance measurements using a smartphone. Thirty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fractures, history of operation, or inflammatory arthritis, and they had not started regular exercise during the past th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은 왜 유용한 측정 장비로 가능하다고 보이는가? 반면, 스마트폰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다. 스마트폰은 가속도와 스마트폰의 회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 스코프센서가 탑재되어 있어 각종 측정 장비로써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10]. 최근, 스마트폰을 각종 측정장비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장비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족저압을 기초로 하여 COP(center of pressure)의 동요를 추적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장비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MTD-Balance system[3] Good Balance system[4] BPM[5], Air-balance system 3D[6], Biodex Balance System 등 [7]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은 매우 고가이고 별도의 넓은 공간이 요구되며, 전문적인 기술도 요구된다.
모비즌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데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측정자에게 이미 고정시켜놓은 스마트폰을 터치하여 조작하기 곤란하였고 스마트폰을 계속 터치하는 것이 연구대상자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있어 감각-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모비즌을 이용한 결과, 노트북과 스마트폰 조작 간에 시간차가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후 5초 후 균형능력 측정을 시작하도록 실험을 계획하였으며, 그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할 때 데이터집단마다 5초간의 데이터를 제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계속해야만 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모비즌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도 발견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G. Ji, H. G. Cha, D. G. Lee, "The Effects of Trunk Pattern Trai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y and Stat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JKAIS, 14(11), pp. 5730-573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1.5730 

  2. Jarnlo, G-B, "Functional balance tests related to falls among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European Journal of Geriatrics, 5, pp. 7-14, 2003. 

  3. K. H. Jang, K. Y. Kim,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ling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Hemiplegia" JKAIS, 12(3), pp. 1244-1252,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3.1244 

  4. H. J. Choi, D. Y. Lee, Y. H. Kim, "The Effect of Balance 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Motor Learning training with Treadmill" JKAIS, 14(2), pp. 804-81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2.804 

  5. C. W. Lee, S. G. Kim, S. S. Na, "The effects of hippotherapy and a horse riding simulator on the bal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hys Ther Sci, 26(3), pp. 423-425, 2014. DOI: http://dx.doi.org/10.1589/jpts.26.423 

  6. M. C. Kim, S. K. Han, H. J. O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by a Kind of Ground During Blance Exercise", JKAIS, 13(10), pp. 4598-460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598 

  7. H. S. Cho, H. G. Cha. "Effects of Trunk Pattern Exercise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tegrat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JKAIS, 15(11), pp. 6767-6773,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1.6767 

  8. W. D. Chang, W. Y. Chang, C. L. Lee C. Y. Fe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ii fit balance board for the assessment of balance of healthy young adults and the elderly", J Phys Ther Sci, 25(10), pp. 1251-1253, 2013. DOI: http://dx.doi.org/10.1589/jpts.25.1251 

  9.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88(5), pp. 559-66, 2008. DOI: http://dx.doi.org/10.2522/ptj.20070205 

  10. H. K. Yang, H. S. Yong, "Real-Time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Using Tri-axis Accelerometer of Smart Phon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7(4), pp. 506-513, 2014. DOI: http://dx.doi.org/10.9717/kmms.2014.17.4.506 

  11. J. Y. Lim, T. H. Kim, J. S. Lee, "Reliability of measuring the passive range of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using a smartphone in the supine versus the side-lying position", J Phys Ther Sci, 27(10), pp. 3119-3122, 2015. DOI: http://dx.doi.org/10.1589/jpts.27.3119 

  12. Matsumura K, Yamakoshi T, "iPhysioMeter: a new approach for measuring heart rate and normalized pulse volume using only a smartphone" Behav Res Methods, 45(4), pp. 1272-1278, 2013. DOI: http://dx.doi.org/10.3758/s13428-012-0312-z 

  13. P. H. Jung, S. W. Lee, C. K. Song, D. Y. Kim, "Counting Walk-steps and Detection of Phone's Orientation/Position Using Inertial Sensors of Smartphones",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3(1), pp. 46-50, 2013. 

  14. J. H. Lee, K. J. Lee, Y. H. Kim, S. H. Lee, S. W. Park, "Development of Gait Analysis Algorithm for Hemiplegic Patients based on Accelerometry", System and Control, 41(4), pp. 55-62, 2004. 

  15. C. W. Won, Y. G. Rho, S. Y. Kim, B. R. Cho, Y. S. Le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J Korean Geriatr Soc, 6(2), pp. 98-106, 2002. 

  16. H. J. Ha, K. H. Cho W. H. Lee, "Reliability of the good balance system((R)) for postural sway measurement in post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6(1), pp. 121-124, 2014. DOI: http://dx.doi.org/10.1589/jpts.26.121 

  17. Arifin N, Abu Osman NA, Wan Abas WA, "Intrarater test-retest reliability of static and dynamic stability indexes measurement using the Biodex Stability System during unilateral stance", J Appl Biomech, 30(2), pp. 300-304, 2014. DOI: http://dx.doi.org/10.1123/jab.2013-0130 

  18. Patterson JA, Amick RZ, Thummar T, Rogers ME, "Validation of measures from the smartphone sway balance application: a pilot study", Int J Sports Phys Ther, 9(2), pp. 135-139, 2014. 

  19. Galan-Mercant A, Baron-Lopez FJ, Labajos-Manzanares MT, Cuesta-Vargas AI, "Reliabil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ith a smartphone used in timed-up-and-go test", Biomed Eng Online, 2(13), pp. 156, 2014. DOI: http://dx.doi.org/10.1186/1475-925X-13-156 

  20. S. K. Han, M. C. Kim, C. S. An. "Comparison of effects of a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n water and on land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5(10), pp. 1219-1222, 2013. DOI: http://dx.doi.org/10.1589/jpts.25.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