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 대학생의 발목관절 변위와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stable plate on the ankle joint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heeled sho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5, 2017년, pp.31 - 38  

남택길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지현 (유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대학생의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 1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굽 높이가 9cm인 신발을 착용 한 후 3D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5m 보행 시의 발뒤꿈치와 발목의 변위를 검사하고, 동적 균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4주 동안 주 3회, 불안정 판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발목관절의 변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동적균형능력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대조군은 발목관절의 변위, 동적균형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대상자들의 발목관절을 안정화 시켜주고 동적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ining using unstable plate on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ankle joints in women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 heel shoes.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3D motion analysis was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3차원 동작분석기를 통한 보행분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높은 굽 신발 착용 후 보행과 발의 변위에 대한 분석과 중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3차원 동작 분석을 통해 보행 시 발목의 불안정성을 확인하고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 후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능력의 변화를 조사하여 발목 안정성에 관련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불안정 판을 이용한 균형 훈련이 높은 굽신발을 신은 여자대학생의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이란 무엇인가? 균형은 신체의 평형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유수용성감각, 체성감각, 전정계, 시각능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운동능력으로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으로 나눌 수 있다[1,2]. 그 중 동적균형은 움직이는 동안 신체의 중심을 지지면 내에 두면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보행이나 점프 같은 운동을 할 때 안정성을 제공해준다[2].
균형은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균형은 신체의 평형과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유수용성감각, 체성감각, 전정계, 시각능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운동능력으로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으로 나눌 수 있다[1,2]. 그 중 동적균형은 움직이는 동안 신체의 중심을 지지면 내에 두면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보행이나 점프 같은 운동을 할 때 안정성을 제공해준다[2].
하이힐의 굽이 높아질수록 어떻게 되는가?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 큰 키에 대한 욕구와 사회적 유행으로 많은 젊은 여성들이 굽이 높고 볼이 좁은 하이힐을 신는다[11]. 굽 높이가 높아질수록 발 앞쪽의 부하증가, 구부정한 보행, 허리 앞굽음증, 골반 기울기 감소로 불안정한 걸음을 걷고, 발목관절의 감각 변화, 중추신경계의 되먹임체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움직임을 조절하고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12-14]. 장시간 높은 굽 신발 착용은 신체 분절의 위치와 무게 중심의 운동학적 변화를 일으켜 발목을 불안정하게 하여 관절 움직임과 위치감각을 손상시킨다[9,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R. P. D. Fabio. (1995).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latform posturography for identifying patients with vestibular dysfunction. Physical Therapy, 75(4), 290-305. DOI : 10.1093/ptj/75.4.290 

  2. B. L. Johnson & J. K. Nelson. (1986). Practical Measurements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Minnesota : Burgess. 

  3. D. H. Jeong & H. C. Kwon. (1999). A Study on Control of Posture and Bala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1(3), 23-36. 

  4. Y. C. Kim, S. J. Jang & M. Y. Park. (1992). Prognostic Factors of Ambulation in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16(4), 443-451. 

  5. F. B. Horak. (2006). Postural orientation and equilibrium: what do we need to know about neural control of balance to prevent falls?. Age Ageing, 35(2), 7-11. DOI: 10.1093/ageing/afl077 

  6. P. A. Houglum & D. B. Bertoti. (2011).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gy. Seoul : Yeong Mun 

  7. C. F. Rung, C. L. Shupert, F. B. Horak & F. E. Zajac. (1999). Ankle and hip postural strategies defined by joint torques. Gait Posture, 10(2), 161-170. DOI : 10.1016/S0966-6362(99)00032-6 

  8. F. B. Horak, L. M. Nashner & H. C. Diener. (1990). Postural strategies associated with somatosensory and vestibular los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82(1), 167-177. DOI: 10.1007/BF00230848 

  9. L. Nashner. (1977). Fixed patterns of rapid postural responses among leg muscles during stance. Experimental Brain Research, 30(1), 13-24. DOI: 10.1007/BF00237855 

  10. J. A. Yaggie & S. J. Mc Gregor. (2002). Effects of isokinetic ankle fatigue on the maintenance of balance and postural limi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2), 224-228. DOI: 10.1053/apmr.2002.2803 

  11. M. E. Franklin, T. C. Chenier, L. Brauninger, H. Cook & S. Harris. (1995). Effect of positive heel inclination on postur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1(2), 94-99. DOI: 10.2519/jospt.1995.21.2.94 

  12. M. Nyska, C. McCabe, K. Linge & L. Klenerman. (1996). Plantar foot pressures during treadmill walking with high-heel and low-heel shoes. Foot & Ankle International, 17(11), 662-666. DOI: 10.1177/107110079601701103 

  13. W. H. Kim & E. Y. Park. (1997). Effects of the High-Heeled Shoes on the Sensory System and Balance in Women. Physical Therapy Korea, 4(2), 10-17. 

  14. J. E. Bullock-Saxton. (1994). Local Sensation Changes and Altered Hip Muscle Function Following Severe Ankle Sprain. Physical Therapy, 74(1), 17-28. DOI: 10.1093/ptj/74.1.17 

  15. R. E. Snow & K. R. Williams. (1994). High Heeled Shoes: Their Effect on Center of Mass Position, Posture, Three-Dimensional Kinematics, Rearfoot Motion, and Ground Reaction Forc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5(5), 568-576. 

  16. E. J. Kim, S. B. Jeon & K. Y. Jeong. (2015). Influences of Short-term High-heeled Walking on the Activities of Ankle-stabilizing Muscles in Healthy Young Femal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1(2), 39-46. 

  17. A. Gefen, M. Megido-Ravid, Y. Tzchak & M. Arcan. (2002). Analysis of muscular fatigue and foot stability during high-heeled gait. Gait Posture, 15(1), 56-63. DOI : 10.1016/S0966-6362(01)00180-1 

  18. C. H. Lee, E. H. Jeong & A. Freivalds. (2001). Biomechanical effects of wearing high-heeled sho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8(6), 321-326. DOI : 10.1016/S0169-8141(01)00038-5 

  19. A. Gefen, M. Megido-Ravid, Y. Itzchak & M. Arcan. (2002). Analysis of muscular fatigue and foot stability during high-heeled gait. Gait & Posture, 15(1), 56-63. DOI : 10.1016/S0966-6362(01)00180-1 

  20. D. J. Stefanyshyn, B. M. Nigg, V. Fisher, B. O'Flynn & W. Liu. (2000). The Influence of High Heeled Shoes on Kinematics, Kinetics, and Muscle EMG of Normal Female Gait.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16(3), 309-319. DOI: 10.1123/jab.16.3.309 

  21. C. J. Ebbeling, J. Hamill & J. A. Crussemeyer. (1994). Lower extremity mechanics and energy cost of .walking in high-heeled shoes. Journal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19(4), 190-196. DOI : 10.1136/bmjopen-2015-010053 

  22. J. S. Ryu. (2010). Effects of High-heeled Shoe with Different Height on the Balance during Standing and Walk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4), 479-486. DOI: 10.5103/KJSB.2010.20.4.479 

  23. E. William Prentice. (2003). Rehabilitation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Seoul : Hyungsul. 

  24. S. H. Cha. (2007). The effects of baps board training and trampoline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Major in Exercise Prescription.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25. R. Craig Denegar & J. Sayers Miller III. (2002). Can Chronic Ankle Instability Be Prevented? Rethinking Management of Lateral Ankle Sprain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430-435. 

  26. R. Baker et al. (2009). The gait profile score and movement analysis profile. Gait Posture, 30(3), 265-269. DOI : 10.1016/j.gaitpost.2009.05.020 

  27. G. E. Gorton, D. A. Hebert & M. E. Gannotti. (2009). Assessment of the kinematic variability among 12 motion analysis laboratories. Gait Posture, 29(3), 398-402. DOI: 10.1016/j.gaitpost.2008.10.060 

  28. A. Phillip Gribble, J. Hertel, C. R. Denegar & W. E. Buckley. The Effects of Fatigue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on Dynamic Postural Control.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9(4), 321-329. 

  29. J. E. Earl & J. Hertel. (2001). Lower-Extremity Muscle Activation During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s. Journal of Sports Rehabilitation, 10(2), 93-104. DOI : 10.1123/jsr.10.2.93 

  30. B. J. Nam, J. J. Kim, S. D. We & D. H. Nam. (1998). Stretching for sports events. Seoul : Dae-Keung. 

  31. I. S. Ahn. (2015). Style changes of women's heel height in Vogue 1950-2014.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4), 604-615. DOI : 10.7741/rjcc.2015.23.4.604 

  32. J. S. Ryu. (2009). The Temporal Coordination of the Lower Extremity by Increasing High-heel Height during Walk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9(3), 593-601. 

  33. J. S. Ryu. (2009). The effect of walking with high-heel shoes on Local dynamic st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8(1), 431-438. 

  34. G. Kirkesola. (2000). Sling-Exercise-Therapy (S-E-T): A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Physiotherapist, 12, 9-16. 

  35. K. Hakkinen, M. Alen & P. V. Komi. (1985). Changes in isometric force- and relaxation-time, electromyographic and muscle fibre characteristics of human skeletal muscle during strength training and detraining. Acta physiologica Scandinavica, 125, 537-585. DOI: 10.1111/j.1748-1716.1985.tb07759.x 

  36. H. S. Kang et al. (2002).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5th. Seoul : Daehanmedia 

  37. R. A. Schmidt, H. N. Zelaznik, B. Hawkins, J. S. Frank & J. T. Jr. Quinn. (1979). Motor output variability: A theory for the accuracy of rapid motor acts. Psycological Review, 47(5), 415-451. DOI: 10.1037/0033-295X.86.5.415 

  38. T. H. Kim & C. H. Youn. (2013). Effects of Knee Joint Muscle Fatigue and Overweight on the Angular Displacement and Moment of the Lower Limb Joints during Land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3(1), 63-76. DOI: 10.5103/KJSB.2013.23.1.063 

  39. M. H. Won. (2011). Changes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runk and Lower Leg Muscles During Dynamic Balance Control. Eulji University, Seoul. 

  40. Y. J. Oh. (2008). The Study on 3-Dimensional Impact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Lower Limbs Joint during Gait. Dong-Eui University, Busan. 

  41. R. G. Hamman, I. Mekjavic, A. I. Mallinson & N. S. Longridge. (1992). Training effect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ive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3(8), 738-744. 

  42. R. Dickstein, S. Shefi, E. Marcovitz & Y. Villa. (2004).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ive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2), 261-267. DOI: 10.1016/j.apmr.2003.05.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