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품질이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udit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rred tax assets and discretionary accruals 원문보기

경영과 정보연구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5 no.4, 2016년, pp.169 - 184  

이현주 (수원과학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  박상섭 (수원과학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은 과세소득과 회계이익 간의 일시적차이를 재무제표에 반영한 것이므로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라는 정보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 검토는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연법인자산에 초점을 두고 이연법인세자산은 수정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으로 측정된 재량적 발생액과 일반적으로 어떤 관계를 보이며, 이러한 관계에 감사품질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 검증을 위한 표본에는 이연법인세자산에 대한 세율변동효과와 측정의 신뢰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비금융업을 대상으로 최종 2,670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이연법인세자산은 일반적으로 재량적 발생액과 부(-)의 관계를 나타냈지만 감사품질이 높은 경우에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음(-)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이는 1,379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감사품질이 높은 경우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음(-)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이는 경우에는 높은 감사품질이 이연법인세자산을 이용한 이익조정행태를 제한하여 이연 법인세자산은 재량적 발생액을 탐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별 주제로 다루었던 이연법인세자산의 이익조정탐지와 이익조정수단이라는 상반된 관련성을 병합 접근하여 일반적인 관련성을 확인하고, 감사품질이 이연법인세자산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정보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ferred tax assets (liability) in a company's financial statements are to reflect the temporary difference between taxable income and accounting income and therefor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s a proxy for discretionary accruals. In addition, deferred tax assets allow a company to manage i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회계처리방법은 발생기준으로 인식되는 회계이익과 현금주의와 유사한 권리의무확정주의로 인식되는 과세소득 간 의 인식시기상의 차이인 일시적 차이를 자산부채법으로 평가하여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일시적 차이가 재량적 발생액과 관련성이 있다는 특성에 근거하여 우선 재량적 발생액의 eoddcl로서 재무제표에 인식한 이연법인세항목의 정보유용성을 검증한 후, 이러한 유용성에 감사품질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세법상 손익인식기준인 권리의무 확정주의로 측정된 과세소득과 발생기준 간의 차이를 구한 값이 이익의 질을 평가하는데 우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제 Phillips et al.
  • 1995)으로 재량적 발생액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 간의 상반된 관계는 서로 상쇄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이때 감사품질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연법인세자산은 기업의 미래 과세소득을 정확히 추정하여 그 실현가능성의 정도를 판단해야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량적 발생과 이연법인세자산 간의 일반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감사품질이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검증모형 식(1)에서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한 관심변수는 이연법인세자산(DTAt)이며,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한 관심변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감사품질을 결합한 상호작용변수 (DTAit·Dit)다.
  • 즉,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인 이연법인세항목인 이연법인세자산에 한하여 재량적 발생액에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을 이용한 추가적인 이익조정이 내재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수정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을 이용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측정하고,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 간에 일반적인 비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일시적차이로 인한 음(-)의 관계를 보일지, 이연법인세자산의 과대계상으로 인한 양(+)의 관계가 나타날지, 그리고 감사품질이 이러한 비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아래와 같은 검증모형 식(1)을 도출하여 검증하였다.
  • 결과적으로 이연법인세자산은 재량적 발생액에 근거한 이익조정을 탐지하거나 이익조정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 모두가 재량적 발생액과 관련성을 가지며 그 관련성은 서로 상반되고 이들의 관련성에 감사품질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 간에 일반적인 관련성은 무엇이며, 감사품질이 이들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검증하여 향후 법인세회계의 정보 유용성과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회계제도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업의 이익조정행태는 관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접근한 모형에서 측정된 추정치는 측정과 해석에 논란이 많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에 관심을 갖고 감사품질이 그 대용치의 정보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즉, 가설 1에 따라 DTAt상의 회귀계수가 유의한 값이 나오는지 확인하고, 가설 2는 DTAt와 DTAit·Dit의 회귀계수를 F-test하여 감사품질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목표이익 달성이나 부채비율 감소5) 등과 같은 사유로 이연법인세자산을 이용한 이익조정행태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즉,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인 이연법인세항목인 이연법인세자산에 한하여 재량적 발생액에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을 이용한 추가적인 이익조정이 내재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수정 Jones모형(Dechow et al.

가설 설정

  • * 적정의견과 중단사업손익 보고기업은 직전년도를 포함하여 고려함.
  • 1) 괄호 안의 값은 p-value임.
  • 1) 괄호 안의 값은 t-value임.
  • 가설 1: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은 부 (-)의 관계를 가진다.
  • 가설 2: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의 관계는 감사품질에 따라 차이를 가진다.
  • 백원선·김상헌(2005)에서 감사품질은 경영자의 재량권에 대한 통제능력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품질이 높을 수록 이연법인세자산의 과대나 과소계상을 제한 하여 이연법인세자산과 재량적 발생액 간 정(+) 의 관계는 약화시키고,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인 부(-)의 관계가 강화되어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여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량적 발생액 측정 모형이 가지는 한계는? 1995)과 같은 통합발생모형(Aggregate Accruals Models)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이익조정행태는 관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접근한 모형에서 측정된 추정치는 측정과 해석에 논란이 많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에 관심을 갖고 감사품질이 그 대용치의 정보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연법인세자산(부채)란?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은 과세소득과 회계이익 간의 일시적차이를 재무제표에 반영한 것이므로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치라는 정보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 검토는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익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은? 결국 재무제표의 질은 감사품질을 의미한다는 논리에 근거하여 자본시장에서는 높은 감사품질을 제공받는 기업일수록 이익의 질이 높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이익의 질은 재량적 발생액(Discretionary Accruals)으로 측정하고, 감사품질은 대형회계법인 여부로 측정1)하여 검증하고 있다. 이때 재량적 발생액은 Jones (1991)모형이나 수정된 Jones모형(Dechow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곽영민(2014), "감리제도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연구, 33(5), 71-84. 

  2. 곽태완.노준화(2008), "재량적 발생액이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 회계저널, 17(3), 1-20. 

  3. 김상헌.백원선(2006), "재무보고비용과 감사품질이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학연구, 31(1), 193-224. 

  4. 김수성.고윤성(2012), "이연법인세를 이용한 이익 조정 행위 측정에 관한 연구: 부채비율 감소기업을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41, 39-60. 

  5. 김정재(1997), "감사의견변경과 이익반응계수," 회계학연구, 22(2), 163-180. 

  6. 김창수.허영빈(2016), "신용분석을 위한 특수회계," 한국금융연수원 

  7. 박성원.고종권(2012), "손실기업의 이연법인세자산 실현가능성과 보수주의의 정보효과," 회계저널, 21(4), 99-134. 

  8. 백원선.김상헌(2005), "미래법인세효과의 실현가능성, 감사품질 및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 회계학연구, 30(1), 99-120. 

  9. 백원선.조현우(2005), "이연법인세 자산에 대한 미래법인세효과의 실현가능성과 발생액의 질 및 이익지속성," 회계학연구, 30(2), 25-51 

  10. 송인만.백원선.박현섭(2004), "적자 보고를 회피하기 위한 이익조정," 회계저널, 13(2), 29-51. 

  11. 이만우.신현걸(2000), "이연법인세회계 최초 도입연도의 회계처리에 대한 평가," 회계저널, 9(1), 51-65. 

  12. 전규안.박종일(2002), "이연법인세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회계학연구, 27(1), 107-135. 

  13. 전성일.최관(2004), "이연법인세차의 실현가능성과 가치관련성," 회계학연구, 29(4), 65-86. 

  14. 최미화(2012), "고객중요성, 기업소유구조와 감사품질의 정보효과," 경영정보연구, 31(1), 221-246. 

  15. 최종서.문승엽(2005), "이연법인세 정보를 이용한 이익조정의 탐지," 회계학연구, 30(1), 93-132. 

  16. 최헌섭(2010), "기업수명주기별 발생액의 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연구, 29(4), 23-44. 

  17. Caramanis, C and Lennox, C.(2008), "Audit effort and earnings management,"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45, 116-138. 

  18. Cho, J. and Jung, K.(1991),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A Synthesis of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Accounting Literature, 10, 85-116. 

  19. Dechow, P. M. and Dichev, L. D.(2002), "The quality of accruals and earnings: The role of accrual estimation errors," The Accounting Review, 77(Supplement), 35-59. 

  20. Dechow, P. M., R. G. Sloan, and Sweeney, A. P.(1995),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 Accounting Review, 70, 193-225. 

  21. DeAngelo, Linda E.(1981), "Auditor Size and Audit Quality," Journal of Accounting & Economics, December, 183-199. 

  22. Jones, J.(1991), Earnings management during import relief investigations,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9, 193-228. 

  23. McNichols(2000), "Research design issues in earnings management studies," Journal of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19, 313-345. 

  24. Miller, G. S. and Skinner, D. J.(1998), "Determinants of the valuation allowance for deferred tax assets under SFAS No. 109." The Accounting Review, 73(April), 213-233. 

  25. Phillips, J., Pincus, M., and Rego, S. O.(2001), "Earnings Management: New Evidence Based on Deferred tax Expense," Working Paper, University of lowa. 

  26. Teoh, S. H. and Wong, T. J.(1993), "Perceived Auditor Quality and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e Accounting Review, 68(April), 346-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