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정보를 이용한 이익조정 및 사업성과 분석
The Analysis of Profit Adju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Using Deferred Corporate Taxes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602 - 609  

윤한국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  김진섭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생주의 회계 하에서는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에 따라 회계 보고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금주의 회계에 비해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낮게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연법인세 계정의 증감을 통해 경영자의 이익조정 가능성을 판단해 보는 실증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이연법인세자산에서 이연법인세부채를 차감한 이연법인세 순액을 이연법인세순자산으로 정의하여 이연법인세순자산이 전년 대비 증가되면 '1', 감소되면 '0'인 더미변수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한편, 관심변수는 재량적 발생액과 전년 대비 총자산순이익률(ROA: Return on Assets, 이하 ROA) 증감을 사용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심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적 발생액이 클수록 전년 대비 이연법인세순자산이 감소하였다. 둘째, ROA가 증가한 경우와 당기순이익이 '0'보다 큰 경우에만 ROA와 이연법인세순자산 간에 상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전년 대비 ROA가 소폭 감소하였거나 소액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한 경우, 경영자는 전년 대비 사업성과가 개선된 것으로 보이기 위해 소규모의 이익조정을 행했다는 의심을 갖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외부 정보이용자들은 이연법인세 정보를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감독기관은 기업의 이익조정을 예방하고 적정한 보고를 유도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accrual basic accounting, financial statements may be less reliable compared to cash basis accou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profit adjustment throug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deferred tax accounts. For our empirical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q. (1)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대용변수인 재량적 발생액이 이연법인세 계정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모델 1 의 결과에서 관심변수인 DA(재량적 발생액)와 종속변수인 DEF(이연법인세순자산) 간에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감사의견이 한번이라도 ‘적정의견’이 아닌 기업은 재무제표를 신뢰할 수 없으므로 322개를 추가적으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 283개를 표본기업으로 선정하였다. 동 표본 기업에 대해 3년간의 데이터를 토대로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 재무 정보와 관련된 자료는 Fn-Guide의 DataGuide 5.
  • 본 연구에서는 이연법인세의 증감 여부를 통해 이익조정의 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이익 감소 회피, 적자 회피 등 이익조정 유인과의 관계 또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연법인세 공시 정보가 유용한 정보라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특히, 외부 정보이용자들은 이연법인세 정보를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고, 금융감독원과 같은 감시감독 기관은 기업의 이익조정을 예방하고 적정한 보고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연법인세자산에서 이연법인세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이연법인세순자산이라고 정의하고, 이연법인세 순자산의 증감 방향과 재량적 발생액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량적 발생액을 대신하여 이연법인세가 가진 정보가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연법인세 회계와 재량적 발생액의 관련성을 먼저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연법인세 계정의 변동에 따른 기업의 이익조정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연법인세 회계와 재량적 발생액의 관련성을 먼저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연법인세 계정의 변동에 따른 기업의 이익조정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여전히 필요하다. 한편, 재량적 발생액이 무조건 세법과 불일치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우므로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에 의한 자산ㆍ부채 장부가액 및 손익의 귀속 시기와 세법 상 기준과의 차이에 대해서는 재무제표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 Dechow, R. Sloan and A. Sweeney,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 Accounting Review, Vol.70, pp.193-225, 1995. 

  2. D. Burgstahler, I. Dichev,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Earnings Decreases and Losse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Vol.24, pp.99-126, 1997. DOI: https://doi.org/10.1016/s0165-4101(97)00017-7 

  3. I. M. Song, W. S. Paek, H. S. Park, "Earnings Management for the Avoidance of Losses", Korean Accounting Journal, Vol.13, No.2, pp.29-51, 2004. 

  4. K. A. Jeon, J. I. Park, "Deferred Taxes and Earnings Management", Korean Accounting Review, Vol.27, No.1, pp.107-135, 2002. 

  5. I. K. Joo, W. W. Choi, J. I. Yum,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Book-Tax Differences as a Metric for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Korean Accounting Review, Vol.30, No.2, pp.237-275, 2005. 

  6. J. H. Kim, Y. S. Koh,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Firms of Avoidance of Losses and Book-Tax Reporting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Taxation Research, Vol.23, No.3, pp.37-64, 2006. 

  7. T. W. Kwak, J. H. Rho, "The Effects of Discretionary Accruals on Corporate Taxes", Korean Accounting Journal, Vol.17, No.3, pp.1-20, 2008. 

  8. S. M. Yoon, W. S. Choi, H. R. Jung, "Empirical Research on Usefulness of the Discretionary Difference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Journal of Taxation and Accounting, Vol.10, No.4, pp.341-372, 2009. 

  9. E. J. Lee, "The effect of Managerial Ability on Income Smooth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 No.6, pp.157-166, 2020. DOI: https://doi.org/10.14400/JDC.2020.18.6.157 

  10. H. J. Park, I. M. Song, "The Effect of Net Operating Loss Carryforwards on Earnings Management and The Choice of Earnings Management Strategies", Korean Accounting Review, Vol.30, No.4, pp.1-31, 2008. 

  11. H. R. Kim, "The Effect of Employee and Creditor Corporate Governance on Earning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2, pp.213-219,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213 

  12. H. S. Shim, "Earnings Management for Beating Analysts Forecasts: Premanaged Earnings and Dispersion of Analysts' Forecasts",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ation, Vol.30, No.2, pp.239-260, 2012. 

  13. H. J. Moon, "A Comparison of Earnings Quality Between KOSPI Firms and KOSDAQ Fir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 pp.129-141,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29 

  14. E. J. Song, J. Q. Lee, S. O. Park, "A Study on the impact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closing adjustment and return adjustment items on book-tax difference", Korean Accounting Journal, Vol.23, No.1, pp.121-155, 2014. 

  15. Y. M. Kwak, S. H. Ji,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Investments Horizons of Foreign Investor and Book-Tax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7, No.2, pp.73-80, 2019. DOI: https://doi.org/10.14400/JDC.2019.17.2.073 

  16. S. J. Park, E. B. Jin, K. I. Han, "The Study of the accural according to Corporate Life Cycl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0, No.7, pp.77-83, 2012. 

  17. H. W. Park, B. E. Roh, C. H. Ahn, S. Y. Lee "A Study on the Differential Earnings Management on Quarterly Earnings-Focusing on Profit/Loss Firms a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Journal of Taxation and Accounting, Vol.10, No.3, pp.357-386, 2009. 

  18. S. S. Yoon, "A Study on Profit Management by Operating Cash Flow", Korean Accounting Review, Vol.23, No.1, pp.107-12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