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구성원의 공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An Impact of Empath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원문보기

경영과 정보연구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v.35 no.4, 2016년, pp.229 - 250  

최수형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최근 이슈화 되고 있으며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중시되어 다루어지는 주제인 공감(empathy)을 경영학에 접목시켜 직무스트레스라는 매개를 통해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이직의도)과의 관계와 연구의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을 포함한 5개 지역에 분포되어있는 기업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spss 21 통계프로그램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 중에서 인지적 공감은 직무스트레스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은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에서 인지적 공감은 이직의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정서적 공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증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mongst employees, and its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Further, 'job stress' was used as the moderating value. For this purpose, examination procedures were based on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이란 무엇인가? 공감(empathy)은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접근방식의 다양성을 통해 정의되고 있다. 공감은 타인과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관계에 대한 질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타인의 감정과 심리상태를 같이 느끼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최초의 공감이라는 용어는 독일 학자 Vische가 ‘Einfühlung(감정이입)’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개념이 성립되었다.
긍정심리학에서의 행복에는 어떤 관점이 있는가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지원하는 학문으로서 인간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심리학에서의 행복에는 쾌락주의 즉 행복감, 긍정 정서, 삶의 만족도 등을 강조하는 관점과 목적의식, 자율성, 공감, 지혜를 등을 강조하는 자기실현적 관점이 있다(정한길, 2016).
Davis(1994)가 제시한 공감에 관한 통합모형에서 공감과 관련된 측면으로 무엇이 있는가? Davis(1994)도 공감에 관한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모형에서 공감과 관련되는 측면들이 크게 네 가지 개념을 가진다. 첫 번째는 공감자 또는 공감대상자의 생물학적 개인차, 학습 상황, 특성 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인 과정은 비인지적, 단순 인지적, 고급 인지적요인 등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로 개인의 내적 결과는 정서적 결과와 비정서적 결과로 나누어지는데 공감적 개인적 고통, 분노, 관심 등은 정서적 결과에 대한 대인지각의 정확성, 귀인판단(원인에 대한 판단)등에 대해 비정서적인 요인에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인 관계적 결과는 사회적 행동, 공격성, 도움행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배성경,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강은택, 강정구, 마강래(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3-23 

  2. 고성훈.문태원(2012). 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0(3), 29-76. 

  3. 김권수(2016). 호텔접객종사원의 고객관계스트레스와 직장행복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0(4), 131-147. 

  4. 김성렬.김혜영.강정희(2014).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 간호행정학회지. 20(3), 273-281. 

  5. 김종구(2009).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부하직원의 인식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준영(2005). 교사의 희망과 공감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및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한성(2013). 호텔직원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대(2011). 사회복지시설의 내부서비스품질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주(2009). 공감능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태형(2013).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11. 목형균(2011). 대학병원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규석(2014).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태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순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성희(1993).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성희(2004). 공감학-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15. 배성경(2012). 공감능력 및 자기통제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정우(2009). 기업조직에서의 수직적, 수평적 다양성이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 신뢰,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다수준적 접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희서.오세윤.노시평(2001). 일선 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충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모형 검증, 한국행정학회, 35(3), 197-219 

  18. 서성덕(2008).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서연실.온은아(2016).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1-22. 

  20. 서영준(2014). 공감과 배려의 화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송영태(2007).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기공사업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심혜진(2014). 사무직 직원의 성 및 성인애착에 따른 지각된 상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안진신(2014).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양은경(2010).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엄유경(2008). 경찰조직에서 직무스트레스, 조직변화저항 및 조직학습역량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오미숙(2011).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출연기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오옥선(2014). 유아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91-310. 

  28. 우제태(2007). 일선경찰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16(2), 143-169. 

  29. 유동균(2011). 조직 내 공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유정선(2016). 여행사 종사원의 종사원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68, 69-94. 

  31. 유현조(2014). 호텔 식음료 직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동철(2013). 조직 내 갈등, 사회적 지지와 직무태도 간 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란영(2007). 아동에 대한 보건교사의 공감 수준과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소지 여부가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민아(2016). 한국 직장인의 우연사건 대처 기술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진로낙관성 및 직무만족의 차이, 2016(8), 199-199. 

  35. 이선미(2014).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감능력, 정서상태,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승수(2013). 일과 생활의 균형이 신입사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경.남춘연(2015).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4), 489-497. 

  38. 이혜경.정재엽(2014). 재활병원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 소진 및 공감만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177-192. 

  39. 이희은.김순호.김현익.우연희.문수백(2013).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공감,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27-148. 

  40. 이흥용.박은아(2016). 베이커리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5(1), 263-282. 

  41. 이진규.박상로(1995). 경력정체인식과 통제 위치에 따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경영논층, 39(1), 329-353 

  42. 이채윤(2007). 직무스트레스와 상사의 리더십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횽재.변찬복.박성종(2013). 직무자율성,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식공유행동의 구조적 영향관계-서울시 특1급 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28(3), 145-168. 

  44. 조은숙(2013). 공감에 기초한 배려윤리교육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조혜은.문일봉(2014). 치과위생사의 낙관성,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0(4), 121-132. 

  46. 최상복(2004). 돌출영역 억제 및 강화 기능을 갖는 선택적 주의집중 시가시스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최병권(2013).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37(4), 145-170. 

  48. 최연선(2011).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multi-Level)분석, 사회복지실천, 10, 75-104. 

  49. 최형진(2014). 조직공감이 구성원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추주형(2014).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황상희(2013). 취업 척수손상장애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Acker, G. M. (200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ditions(role conflict, role ambiguity,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Car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0(1), 65-73. 

  53.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54. Barnett, M. A., Hoeard, J. A., Melton, E. M., & Dino, G. A. (1982). Effect of inducing sadness about self or other on helping behavior in high and low empathic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920-923. 

  55. Beehr,T.A. (1994). Psychological Stress in the Workplace, New York: Routledge. 

  56.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57. Davis, M. H. (1983).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58. Davis, M. H.(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dison. WI: Brown & Benchmark. 

  59. Dutton, J. E., Frost, P. J., Worline, M. C., Lilius, J. M., & Kanov, J. M. (2002). Leading in times of trauma, Harvard Business Review. 80(1), 54-61. 

  60. Eisenberg, N., & Strayer, J. (1987). Empathy and its development, 146-16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Feshbach, N. D. (1978). Studies of empathic behaviors in children. In experimental personality research, Vol. 8, New York: Academic press. 

  62. Hoffman, M. L. (1982). The measurement of empathy. In. C. E. Izard(Ed), Measuring emotion in infants and children, 279-296,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Hoffman, M. L. (1984). Interaction of affect and cognition in empathy. In C. E. Izard, J. Kagan, & R. B. Zajonc(Eds.),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 103-131,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Hoppock,R.(1935),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Row. 

  65.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66.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67.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acnally. 

  68.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9. Michaels, C. E. & Spector, P. E.(1982).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1), 53-59. 

  70. Molb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71. Mottaz, C. J. (1988).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72. Paker, D. F., & Decotiis, T. A. (1983). occup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University of Michigan USA, 32, 160-177. 

  73. Piaget, J.(1932). 아동의 도덕발달(송명자, 김상윤 역).UUP. 450-471. 

  74. Piaget, J.(1965).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Basic Books. 홍길회(1983) 재인용. 

  75. Price, J. L (1977). The study of turnover.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76. Price, J. L. (2001). Reflections on the determinants of voluntary turn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2(7), 600-624. 

  77.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2), 95-103. 

  78.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79. Smith , D. B. & Shields, J. (2013). factors Related to Social Service Worker's Job Satisfaction: Revisting Herzberg's Motivation to Work,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7, 189-198. 

  80.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 95-103. 

  81. Rogers, C. R. (1975).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5 , 2-10. 

  82. Weiss, H. M. (2002). Deconstructing Job Satisfaction: Separating Evaluations, Beliefs and Affective Experi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173-194. 

  83. Winnicott, D. W. (1965). The maturational proces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New York: International Univ.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