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갯봄맞이(Glaux maritima L.) 실생의 단마디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In vitro Multiplication through Single-Node Culture of Sea-Milkwort (Glaux maritima L.)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4 no.3, 2016년, pp.461 - 471  

배수지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 ,  강범창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 ,  정미혜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  김수종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창길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 ,  한증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예적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해안식물인 갯봄맞이(Glaux maritima L.)의 기내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9년 개인 원예가로부터 갯봄맞이가 심겨진 화분을 분양 받아 줄기와 꽃의 색을 기준으로 'Red type'(RT)과 'Pistachio type'(PT)으로 구분한 후 본 연구의 식물 재료로 사용하였다. 분양 받은 모식물체는 예전 연구 보고에서와 일치하는 꽃, 삭과 및 종자의 외형을 나타내었다. 기내 파종 후 $4^{\circ}C$의 저온에서 4주 이상 처리하였을 때 종자 발아율이 최대에 달했는데, 이는 종자흡습에 이어서 저온처리가 종자의 발아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내 실생은 모식물체와 동일하게 'RT'와 'PT' 표현형으로 분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새롭게 신장한 액아 유래 신초의 마디 수 합을 기준으로 판단한 증식 효율은 표현형과 배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기내 실생에서 절취한 제4절과 제5절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더불어, 'RT'와 'PT' 표현형의 마디를 BA $0.5mg{\cdot}L^{-1}$ 단용 배지와 BA $0.5mg{\cdot}L^{-1}$ + IAA $0.5mg{\cdot}L^{-1}$ 혼용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는 것이 신초 분화율을 가장 높였다. 마디배양 유래 유식물체는 배양실에서 양호하게 기외 순화되었고, 비록 내륙 환경에서 담수 관수를 하는 재배법을 사용했지만 염습 자생지에서와 동일하게 유사일년생 생활환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갯봄맞이의 기내 번식에 관한 한 최초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희귀 종의 서식지외 보존, 자생지 복원 및 원예용으로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in vitro propagation system for sea-milkwort (Glaux maritima L.), which is an endangered coastal plant species with high horticultural value. Two phenotypes, 'Red type (RT)' and 'Pistachio type (PT)' based on the colors of stem and flower, were obtain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해안식물의 한 종인 갯봄맞이를 재료로 이용하는 다양한 심화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개체군 밀도가 매우 낮아 유전적 다양성 또한 극히 협소한 것으로 추정되는 현 자생지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종자 유래 영양계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갯봄맞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병행되었다.
  • 이를 위해 갯봄맞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병행되었다. 또한 향후 이 종의 서식지 복원에 필요한 기내증식 체계의 확립과 내륙에서 재배할 수 있는 원예종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내 마디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건을 탐색하였다.
  • 본 연구의 채종방법(재료 및 방법 참조)에 따라 얻어진 갯봄맞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저온처리 기간을 달리하여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탈종 후 4°C에 약 4개월간 건식 보관된 종자를 기내파종하여 곧바로 25°C 명상태에서 발아를 유도하였을 때는 발아를 전혀 하지 않았지만 기내파종 한 후 4°C에서 2주 이상 처리하였을 때는 발아한 종자가 관찰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해안식물의 한 종인 갯봄맞이를 재료로 이용하는 다양한 심화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개체군 밀도가 매우 낮아 유전적 다양성 또한 극히 협소한 것으로 추정되는 현 자생지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종자 유래 영양계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갯봄맞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병행되었다. 또한 향후 이 종의 서식지 복원에 필요한 기내증식 체계의 확립과 내륙에서 재배할 수 있는 원예종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내 마디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건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봄맞이가 화단용이나 분화용으로 가치가 높은 이유는? 갯봄맞이는 초장이 5-20cm 정도이고 화관 직경 1cm 내외의 아담한 꽃이 이른 봄부터 여름철에 이르기까지 연속하여 개화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즐길 수 있어 화단용 또는 분화용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또한 자생지에서 종자번식과 더불어 언급한 바와 같이 자발적 영양번식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므로 한번 재식하면 다년간에 걸쳐 별도의 번식관리를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갯봄맞이의 생활환은? (2000)은 자금우과(Myrsinaceae)에, APG(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09)는 APG III 분류체계에서 자금우아과(Myrsinoideae)에 포함시키고 있는 유사일년생 초본(pseudo-annual herbaceous plant)이다. 모식물체는 하계 생육기에 지하부에 휴면아(hibernacle)가 착생한 offshoot를 신장시킨다. 겨울로 접어들면서 모식물체의 지상부와 뿌리 모두는 차츰 말라 죽고 offshoot에 착생한 휴면아는 월동을 한 후 이듬해 봄에 맹아하여 봄과 여름 동안에 지상부 생육, 개화, 그리고 결실을 하는 생활환을 가진다(Jerling, 1988b). 이러한 생활환에 관한 관찰결과는 본 종의 종자번식 또는 영양번식을 시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 갯봄맞이의 분포 현황은 어떠한가? )는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에서 최근에서야 취약(VU: vulnerable)종으로 구분되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에 속한다(NIBR, 2012). 북한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염습지에 분포하지만 남한에는 속초, 울산 및 포항의 자생지만 알려져 있는데, 속초 자생지는 거의 사라졌으며 그나마 포항과 울산 자생지의 개체군도 극히 소규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Son et al., 2011; NIBR, 2012; IUC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unn E, Turner SR, Dixon KW (2011) Biotechnology for saving rare and threatened flora in a biodiversity hotspot. In Vitro Cell Dev Biol-Plant 47:188-200. doi:10.1007/S11627-011-9340-0 

  2. Day J (2000)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plant productivity and capsule dehiscence in sesame. Field Crop Res 66:15-24. doi:10.1016/S0378-4290(99)00076-3 

  3. Druva-Lusite I, Karlsons A, Osvalde A, Necajeva J, Ievinsh G (2008) Photosynthetic performance and mycorrhizal symbiosis of a coastal marsh plant, Glaux maritima , in conditions of fluctuating soil salinity. Acta Univ Latviensis 745:155-164 

  4. Flowers TJ, Colmer TD (2008) Salinity tolerance in halophytes. New Phytol 179:945-963. doi:10.1111/j.1469-8137.2008.02531.x 

  5. Flowers TJ, Hajibagheri MA, Clipson NJW (1986) Halophytes. Quarterly Rev Biol 61:313-337. doi:10.1086/415032 

  6. Freipica I, Ievinsh G (2010) Relative NaCl tolerance of rare and endangered coastal plant species in conditions of tissue culture. Env Exp Biol 8:35-42 

  7. IUCN (2015) Threatened species in past and present IUCN Red Lists: 2015,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TM 2-2015:Summary statistics. Available via http://www.iucnredlist.org/about/summary-statistics#Tables_1_2 Accessed 9 September 2015 

  8. Jerling L (1988a) Clone dynamics, population dynamics and vegetation pattern of Glaux maritima on a Baltic sea shore meadow. Vegetatio 74:171-185. doi:10.1007/BF00044742 

  9. Jerling L (1988b) Population dynamics of Glaux maritima L. along a distributional cline. Vegetatio 74:161-170. doi:10.1007/BF00044741 

  10. Jerling L, Berglund A (1994) Ecological effects of the parasitic rust fungus Uromyces lineolatus (Pucciniaceae) on Glaux maritima (Primulaceae). Ecography 17:209-214. doi:10.1111/j.1600-0587.1994.tb00095.x 

  11. Kallersjo M, Bergqvist G, Anderberg AA (2000) Generic realignment in primuloid families of the Ericales s.l.: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DNA sequences from three chloroplast genes and morphology. Am J Bot 80:1325-1341. doi:10.2307/2656725 

  12. Khan MA, Gul B (2005) Halophyte seed germination. In MA Khan, DJ Weber, eds, Ecophysiology of high salinity tolerant plants (Tasks for vegetation science). Springer, Houten, The Netherlands, pp 11-30 

  13. Mikulik J (1999) Propagation of endangered plant species by tissue cultures. Acta Univ Palacki Olomuc Fac Rer Nat 37:27-33 

  14. Morozowska M, Czarna A, Kujawa M, Jagodzinski AM (2011) Seed morphology and endosperm structure of selected species of Primulaceae, Myrsinaceae, and Theophrastaceae and their systematic importance. Plan Syst Evol 291:159-172. doi:10.1007/s00606-010-0374-2 

  15.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 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doi:10.1111/j.1399-3054.1962.tb08052.x 

  16. NIBR (National Institu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Vascular plants. Nature and Ecology, Incheon, Republic of Korea. 

  17. Pence VC (2011) Evaluating costs for the in vitro propagation and preservation of endangered plants. In Vitro Cell Dev Biol-Plant 47:176-187. doi:10.1007/s11627-010-9323-6 

  18. Pence VC (2013) In vitro methods and the challenge of exceptional species for target 8 of the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Ann Miss Bot Gard 99:214-220. doi:10.3417/2011112 

  19. Rozema J (1975) The influence of salinity, inund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some halophytes and non-halophytes. Oecologia Plant 10:341-353 

  20. Rozema J, Riphagen I (1977) Physiology and ecologic relevance of salt secretion by the salt gland of Glaux maritima L. Oecologia 29:349-357. doi:10.1007/BF00345808 

  21. Rozema J, Riphagen I, Sminia T (1977) A light and electron-microscopical study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alt gland of Glaux maritima L. New Phytol 79:665-671. doi:10.1111/j.1469-8137.1977.tb02251.x 

  22. Son SW, Lee BC, Yang HH, Seol YJ (2011)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280-286 

  23. Strandkryp N, Rannikki F (2009) 135. Strandkrypa, Glaux maritima L.: Bilder ur Nordens Flora. Available via http://runeberg.org/nordflor/135.html Accessed 9 September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