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중독 세균에 대한 소목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Effect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on Foodborne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1026 - 1034  

김이슬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심혜미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식용 가능한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항균 활성을 검색하였다. 미생물에 대하여 약용 식물을 50 mg/mL, 100 mg/mL, 20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소목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각각 200 mg/mL, 100 mg/mL, 5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소목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소목의 에탄올 추출물이 소목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각 분획물을 50 mg/mL의 농도로 하여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그람 양성균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층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람 음성균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소목의 항균 물질로 추정되는 brazilin은 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존재하므로 소목 에탄올 추출물에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항균 활성이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brazilin 외에도 다양한 항균 물질이 존재하여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항생제로 알려진 vancomycin과의 항균 활성을 비교한 결과 50 mg/mL 농도에서 소목 75%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vancomycin 2.5 mg/mL를 사용하였을 때와 유사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의 추출물을 가지고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C. difficile KCTC 5009, L. monocytogens ATCC 19115의 최소저해농도는 0.06 mg/mL였고, S. aureus KCTC 1916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03 mg/mL였다. Vancomycin의 유효혈청농도는 0.005~0.04 mg/mL로 견줄만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목추출물을 가지고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는 항균력은 C. difficile KCTC 5009, L. monocytogens ATCC 19115, S. aureus KCTC 1916에서 모두 대조구와 비슷하게 억제환이 생성되어 소목 추출물의 항균성 물질은 열 및 pH에 대체로 안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목 에탄올 추출물이 그람 양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아 소목을 그람 양성의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제제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13 species of edible herbal plant extracts against major Gram-positive foodborne bacteria. Among the 13 screened edible herbal plants, Caesalpinia sappan L.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p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용 가능한 약용식물 중 문헌조사를 통해 항균 효과가 알려진 13가지의 약용식물을 선정하여 미생물에 대해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고, 가장 높은 활성을 갖는 소목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와 이러한 소목 추출물의 효능을 이용한 천연 항균제제 또는 기능성식품을 상품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목이란 무엇인가? 소목(Caesalpinia sappan L.)은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남부 등의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의 콩과(Leguminosae) 식물로 밝은 홍색을 띠는 심재를 약용 및 홍색염료로 사용한다.
소목 추출물에 관한 생리활성 효능은 무엇인가? 소목 추출물에 관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통증(analgesic), 항염증(antiinflammatory)(7), 조혈강장(blood tonic), 거담(expectorant), 통경(emmenagogue)(8), 진정(spasmolytic activity), 항경련(anticonvulsant), 진경(spasmolytic activity)(9), 혈관이완(vasorelaxation)(10), 항동맥경화(antiatherogenic), 항보체활성(anticomplementary)(11), 면역조절(immunomodulation)(12), 면역작용의 유도(induction of immmunomodulation)(13), 항균(antimicrobial)(14,15), 세포독성(cytotoxic)(16,17), 항바이러스(antiviral)(18), 혈당저하(hypoglycemic)(19,20), 항산화효과(antioxidation)(21) 등이 보고되었다.
소목의 주성분 중 Brazilin이 항균효과를 보이는 균의 종류는? Moon 등(25)은 brazilin이 고혈압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Hwang 등(26)은 brazilin이 혈소판에서 칼슘농도를 조절함을 보고하였으며, Kim 등(27)은 혈액에서 brazilin의 혈당저하 작용을 보고하였다. 또한, Kwon 등(28)은 brazilin이 식중독의 주된 원인균일 뿐만 아니라 화농성 질환의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JH. 2011. Effect of extracts from Paeonia japonica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 272-276. 

  2. Bae J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Hedyotis dif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7-112. 

  3. Otvos L Jr. 2000. Antibacterial peptides isolated from insects. J Pept Sci 6: 497-511. 

  4. Sitaram N, Nagaraj R. 2002. Host-defense antimicrobial peptides: importance of structure for activity. Curr Pharm Des 8: 727-742. 

  5. Wu M, Maier E, Benz R, Hancock RE. 1999. Mechanism of interaction of different classes of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s with planar bilayers and with the cytoplasmic membrane of Escherichia coli. Biochemistry 38: 7235-7242. 

  6. Lee YC, Oh SW, Hong HD.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7. Hikino H, Taguchi T, Fujimura H, Hiramatsu Y. 1977. Antiinflammatory principles of Caesalpinia sappan wood and of Haematoxylon campechianum wood. Planta Med 31: 214-220. 

  8. Badami S, Moorkoth S, Rai SR, Kannan E, Bhojraj S.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heartwood. Biol Pharm Bull 26: 1534-1537. 

  9. Rodriguez-Lopez V, Salazar L, Estrada S. 2003. Spasmolytic activity of several extracts obtained from some Mexican medicinal plants. Fitoterapia 74: 725-728. 

  10. Hu CM, Kang JJ, Lee CC, Li CH, Liao JW, Cheng YW. 2003. Induction of vasorelaxation through activ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endothelial cells by brazilin. Eur J Pharmacol 468: 37-45. 

  11. Oh SR, Kim DS, Lee IS, Jung KY, Lee JJ, Lee HK. 1998.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constituents from the heartwood of Caesalpinia sappan. Planta Med 64: 456-458. 

  12. Choi SY, Yang KM, Jeon SD, Kim JH, Khil LY, Chang TS, Moon CK. 1997. Brazilin modulates immune function mainly by augmenting T cell activity in halothane administered mice. Planta Med 63: 405-408. 

  13. Mok MS, Jeon SD, Yang KM, So DS, Moon CK. 1998. Effects of brazilin on induction of immunological tolerance by sheep red blood cells in C57BL/6 female mice. Arch Pharm Res 21: 769-773. 

  14. Lim MY, Jeon JH, Jeong EY, Lee CH, Lee HS.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5-hydroxy-1,4-naphthoquinone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toward intestinal bacteria. Food Chem 100: 1254-1258. 

  15. Woldemichael GM, Singh MP, Maiese WM, Timmermann BN. 2003. Constituents of antibacterial extract of Caesalpinia paraguariensis Burk. Z Naturforsch C 58: 70-75. 

  16. Ueda JY, Tezuka Y, Banskota AH, Le Tran Q, Tran QK, Harimaya Y, Saiki I, Kadota S. 2002.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Vietnamese medicinal plants. Biol Pharm Bull 25: 753-760. 

  17. Park KJ, Yang S, Eun YA, Kim SY, Lee HH, Kang H. 2002. Cytotoxic effects of Korean medicinal herbs determin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s. Pharm Biol 40: 189-195. 

  18. Chiang LC, Chiang W, Liu MC, Lin CC. 2003.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of Caesalpinia pulcherrima and its related flavonoids. J Antimicrob Chemother 52: 194-198. 

  19. Parameshwara S, Srinivasanb KK, Rao CM. 2002. Oral antidiabetic activities of different extracts of Caesalpinia bonducella seed kernels. Pharm Biol 40: 590-595. 

  20. You EJ, Khil LY, Kwak WJ, Won HS, Chae SH, Lee BH, Moon CK. 2005. Effects of brazilin on the production of fructose-2,6-bisphosphate in rat hepatocytes. J Ethnopharmacol 102: 53-57. 

  21. Nguyen MT, Awale S, Tezuka Y, Ueda JY, Tran QL, Kadota S. 2006. Xanthine oxidase inhibitors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sinense. Planta Med 72: 46-51. 

  22. de Oliveira LFC, Edwards HGM, Velozo ES, Nesbitt M. 2002. Vibrational spectroscopic study of brazilin and brazilein, the main constituents of brazilwood from Brazil. Vib Spectrosc 28: 243-249. 

  23. Kee CH. 1993.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266. 

  24. Puchtler H, Meloan SN, Waldrop FS. 1986. Application of current chemical concepts to metal-hematein and-brazilein stains. Histochemisty 85: 353-364. 

  25. Moon CK, Park KS, Kim SG, Won HS, Chung JH. 1992. Brazilin protects cultured rat hepatocytes from $BrCCl_3$ -induced toxicity. Drug Chem Toxicol 15: 81-91. 

  26. Hwang GS, Kim JY, Chang TS, Jeon SD, So DS, Moon CK. 1998. Effects of brazilin on the phospholipase A2 activity and changes of intracellular free calcium concentration in rat platelets. Arch Pharm Res 21: 774-778. 

  27. Kim SG, Kim YM, Khil LY, Jeon SD, So DS, Moon CH, Moon CK. 1998. Brazilin inhibits activities of protein kinase C and insulin receptor serine kinase in rat liver. Arch Pharm Res 21: 140-146. 

  28. Kwon HJ, Kim YH, Han KI, Jeon MA, Han MD. 2012.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dherence inhibition on Streptococcus mutans by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J Dent Hyg Sci 12: 155-162. 

  29. Ha MH, Park WP, Lee SC, Heo HJ, Cho SH. 2007.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runus mune byproducts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Preserv 14: 183-187. 

  30. Moon YG, Song CY, Yeo IK, Kim GY, Heo MS. 2008.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uaeda maritima extract. J Life Sci 18: 776-781. 

  31. Shin D, Kim M, Han J. 1997.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 

  32.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 587-592. 

  33. Kwon HJ, Kim YH, Nam KW, Kim SK, Bang IS, Han MD. 2010.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nd structural analysis of its related brazil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05-111. 

  34. Chang HS, Choi I.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8: 293-300. 

  35.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1: 97-100. 

  36. Bae JH. 2003.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Nutr 36: 147-153. 

  37. Jung SM, Choi SI, Park SM, Heo TR.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4-568. 

  38. Choi I, Cho J, Lim SC.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Plant Res 19: 491-496. 

  39. Lee JY, Min KJ. 20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J Environ Health Sci 37: 133-140. 

  40. Kim SJ, Kweon DH,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