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refusal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on high risk drink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4, 2016년, pp.1047 - 1057  

이은경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  박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및 고위험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39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음주량을 통한 고위험음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년, 학과, 흡연 상태, 음주 동기 하위 영역 중 고양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하위 영역 중 사회적 압력 상황에서 음주거절효능감이 고위험음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을 위한 고위험음주 예방을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할 때 학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흡연 관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고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흡연에 대한 금연교육과 함께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교육과 건전한 방법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high risk drinkers are different from normal drinkers in terms of drinking motive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alcohol outcome expectancy. A total of 139 university male students in D area comple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assess gen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의 일반적 특성 중 학년과 학과, 흡연이, 음주 동기 하위요인 중 동조 동기가, 음주거절효능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압력 상황에서 음주거절효능감이 고위험음주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 문제 중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일개 대학의 일부 학과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남자 대학생 전체에게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일반 성인의 음주율 60%에 (CDC, 2015) 비해 높은 수준으로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 비해 음주율이 높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고위험음주 실태를 파악하고 고위험음주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음주문제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음주에 노출되는 시작시기인 대학생의 건전한 음주습관을 형성하도록 돕기 위해 음주정도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고위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문제음주가 많고 음주 동기와 음주 결과기대와 같은 심리적 요인에 차이가 있어 (Jeon, 2015; Jung 등, 2010; Lee 등, 2015) 본 연구에서는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실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와 같은 심리 및 환경적인 요인이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생의 고위험음주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주 동기는 방향성과 원천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음주 동기는 기대되는 효과나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음주행위를 하는, 이른바 술을 마시는 이유이며, 음주행위와 관련된 중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Gilson 등, 2013; Lyvers 등, 2010). 음주 동기는 방향성 (정적 강화 또는 부적 강화)과 원천(내적 또는 외적)이라는 두 개의 차원에 따라 고양 동기, 대처 동기, 동조 동기, 사교 동기 등의 4가지 동기 유형으로 분류된다 (Cooper, 1994; Cox와 Klinger, 1988; Shin과 Han, 1999). 구체적으로 고양 동기는 자신의 긍정적인 기분상태를 위해 마시는 것으로 정적 강화, 내적 동기이며, 대처 동기는 자신의 부정적인 기분상태를 감소시기 위해 마시는 것으로 부적 강화, 내적 동기이다.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주당 14잔 이상 음주를 하는 고위험음주 비율은 46.1%로 19세 이상 남성의 20.7%가 고위험음주라고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본 연구대상자와 유사한 연령대인 19∼29세의 고위험음주 비율인 14.6% (CDC, 2015)보다 약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들의 음주행위 조절을 위한 중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음주 동기란 무엇인가? 음주 동기는 기대되는 효과나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음주행위를 하는, 이른바 술을 마시는 이유이며, 음주행위와 관련된 중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Gilson 등, 2013; Lyvers 등, 2010). 음주 동기는 방향성 (정적 강화 또는 부적 강화)과 원천(내적 또는 외적)이라는 두 개의 차원에 따라 고양 동기, 대처 동기, 동조 동기, 사교 동기 등의 4가지 동기 유형으로 분류된다 (Cooper, 1994; Cox와 Klinger, 1988; Shin과 Ha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nis, H. M. (1985). Outcome expectancies questionnaire. In Alcoholism treatment assessment research instruments, edited by D. J. Lettieri, J. E. Nelson, M. A. Sayers, 36-39, NIAAA, MD.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4. Cooper, M. L. (1994). Motivations for alcohol use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ur-factor model. Psychological Assessment, 6,117-128. 

  5. Cox, W. M. and Klinger, E. (1988). A motivational model of alcohol u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7, 168-180. 

  6. Diageo-Korea (2016). Diageo-korea 2016 drinking culture survey for college students. available online at http://www.diageo.co.kr/@page/news/public{\_}press{\_}view.html?seq297\&page1\&. 

  7. Fitzgerald, K. A. and Long, C. G. (2012). The influence of drinking motives and anxiety on low-, moderateand high-risk drinkers. Journal of Substance Use, 17, 240-248. 

  8. Gullo, M. J., Dawe, S., Kambouropoulos, N., Staiger, P. K. and Jackson, C. J. (2010).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mediate the association of impulsivity with alcohol misuse. Alcoholism: Clinical & Experimental Research, 34, 1386-1399. 

  9. Gilson, K. M., Bryant, C., Bei, B., Komiti, A., Jackson, H. and Judd, F. (2013). Validation of the drinking motives questionnaire (DMQ) in older adults. Addictive Behaviors, 38, 2196-2202. 

  10. Jang, S. O. (2010). Does early alcohol initiation increase the risk of alcohol use disorder?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6, 199-218. 

  11. Jeon, E. (2015).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across gender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453-1463. 

  12. Jeon, G. and Lee, H. (2010).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91-103. 

  13. Jung, J. G., Kim, J. S., Kim, J. I. and Kim, K. H. (2010). How do the drinking motives and expectancies relate to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377-383. 

  14. Kim, H. G. (2007) A study on motivation for alcohol use and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by social pressu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197-204. 

  15. Kim, J. A. (2014). Analysis of relating factors for problem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Welfare Practice, 6, 58-70 

  16. Kim, K., Kim, J. I., Kim, J. S. and Jeon, H. S. (2009). Correlation study on physiological stress from drinking,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in youth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73-82. 

  17. Kim, M. S. and Kim, M. H. (2009). Factors influencing 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 50-60. 

  18. Kim, M. K. (2012). A study on parents' alcohol use, university students'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Mediating effect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0, 61-80. 

  19. Kim, S. J. (1996). Modeling relapse of alcoholism: male alcoholic in-patients of psychiatric ward, Ph. D. Thesis, School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im, Y. and Seo, J. (2015).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439-1452. 

  21. Lyvers, M., Hasking, P. A., Hani, R., Rhodes, M. and Trew, E. (2010). Drinking motives, drinking restraint and drinking behaviour among young adults. Addictive Behaviors, 35, 116-122. 

  22. Lee, J. and Choi, H. (2010). The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o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inge drinking as a mediating factor. Studies on Korean Youth, 21, 229-246. 

  23. Lee, E. K., Kim, O. S. and Hong, J. Y. (2015).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male workers. Asian Nursing Research, 9, 132-137. 

  24. Lee, E. S. and Bong, E. J.(2014). Influence of alcohol outcome expectanc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n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 121-128. 

  25. Lee, H. K., Lee, S. H. and Lee, E. W. (2012).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 64-75. 

  26. Lee, J., Kim, H., Kim, S., Yun, M. and Chun, S. (2015).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stress, expected drinking effects and reason for reducing alcohol consumption on problem drinking.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6, 83-92. 

  27. Lee, Y. and Park, J. (2015).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rinking motive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n problematic drinking: dysfunctional beliefs as a mediator.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5, 359-376. 

  28. Mezquita, L., Stewart, S. H., Ibanez, M. I., Ruiperez, M. A., Villa, H., Moya, J. and Ortet, G. (2011). Drinking motives in clinical and general populations. European Addiction Research, 17, 250-261. 

  29. Moneytoday (2016). How was your drinking party? Available online at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0608380495983\&outlink1. 

  30. Moon, J. W. (2014).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rinking on interpersonal relation,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 65-80. 

  31. Oei, T. P. S., Hasking, P. A. and Young, R. McD. (2005).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DRSEQ-R): A new factor structure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rug & Alcohol Dependence, 78, 297-307. 

  32. Park, G. and Choi, S. H. (2015).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 364-373. 

  33. Park, H., Cho, M. H., Cho, G. Y. and Kim, D. H. (2011). A comparison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two groups of korea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110-119. 

  34. Schelleman-Offermans, K., Kuntsche, E. and Knibbe, R. A. (2011). Associations between drinking motives and changes in adolescents' alcohol consumption: A full cross-lagged panel study. Addiction, 106, 1270-1278. 

  35. Shin, H. W. and Han, S. Y. (1999).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drinking motive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es, 5, 77-92. 

  36. Tak, Y., An, J. and Woo, H. (200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DRSEQ-R) in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344-352. 

  37. Tak, Y. and An, J. (2011). Effects of alcohol-related factors on drinking behaviors and problematic sexual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 91-99. 

  38. Yang, N. M. (2010).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drinking problem by sex and drinking level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 1707-1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