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An Analysis on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1, 2016년, pp.55 - 69  

배혜진 (거학초등학교) ,  이동환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지도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 문제 해결의 4단계 중에서 자료 분석단계에 대한 집중도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고, 문제 설정과 자료 수집, 결과 해석단계의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pon o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u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계교육 연구자들은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통계교육의 주된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지도 방식을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여 세부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틀로 삼아 현행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교과서 지도 방식을 분석한다.
  •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며 적절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계획을 구상하고 그에 따라 자료 수집을 실행하는 활동이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자료 분석 (Analyze Data)단계는 분포를 사용해 변이성을 설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자료를 잘 나타내는 적절한 그래프나 수치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활동들이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최근 수학교육과정에서 과정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박교식, 2011; 장혜원, 김민선, 2013). 특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은 ʻ수학 교과역량의 강조ʼ, ʻ학습 부담 경감 실현ʼ, ʻ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강조ʼ, ʻ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구성ʼ, ʻ공학적 도구의 활용 강조ʼ 등의 5가지이다. 이 중 특정 수학 내용 영역과 관련된 것은 통계가 유일하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중 특정 수학 내용 영역과 관련된 것은 무엇인가? 특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은 ʻ수학 교과역량의 강조ʼ, ʻ학습 부담 경감 실현ʼ, ʻ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강조ʼ, ʻ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구성ʼ, ʻ공학적 도구의 활용 강조ʼ 등의 5가지이다. 이 중 특정 수학 내용 영역과 관련된 것은 통계가 유일하다. 이는 기존 수학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통계 영역에 대한 반성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PPDAC모델의 각 단계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Wild & Pfannkuch(1999)는 통계학자들이 통계적 절차를 사용하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분석하여 통계적 사고 과정을 PPDAC(Problem, Plan, Data, Analysis, Conclusion) 모델로 설명하였다. 문제(Problem) 단계에서는 문제를 설정하고 전반적인 통계 조사 과정을 파악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며 계획(Plan) 단계에서는 자료 수집 방법이나 표본의 설정, 자료 취급, 방향 설정과 분석 등에 관한 계획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료(Data) 단계에서는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정리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분석(Analysis) 단계에서는 자료를 탐구하여 계획했던 분석이나 계획하지 않았던 분석을 하고 가설을 설정한다. 결론(Conclusion) 단계에서는 결과를 해석하고 결론을 내리며 이에 대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문제를 제기하여 조사 계획을 세우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활동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고은성 (2014) 통계 교수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적용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 박경연 (2001). 통계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한 그래프 이해력 증진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교식 (2011). 2007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79-598. 

  4. 장혜원, 김민선 (2013). 초등 수학 수업을 위한 수학적 과정의 적용.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9-37. 

  5.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청회. 

  6. Chick. H (2004). Tools for transnumeration : Early Stages in the art of data representati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hird millenium. 167-174. 

  7. France R. Curio (1994). Developing graph comprehensi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ctivities. NCTM. 

  8. Franklin, C., Kader,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Pre-K-12.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Online: http://www.amstat.org/education/gaise/GAISEPreK12_Intro.pdf] 

  9. Marriot. J (2009).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7(1). 

  10. Wild,C., & Pfannkuch, M.(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