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에 대한 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Frames of Statistical Graph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3 no.4, 2020년, pp.157 - 173  

탁병주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일상에서는 통계 그래프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지만,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는 교수학적 맥락에 의해 그 틀이 매우 정형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 틀의 교육적인 의의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호주, 그리고 MiC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은 (1) 그래프의 구성 요소에 주목하게 하고, (2) 그래프를 그릴 때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3) 학습 내용을 통계적 문제해결에 적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1)과 (2)에 주목한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MiC 교과서는 (3)에 주목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제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저학년 수준에서는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이용하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축 형태의 그래프 틀로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했던 호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re are various form of statistical graphs in the real world, the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re very formalized by the pedagogical constraints. In this study, I examine the frames of statistical graphs and their educational importance, and analyze the frames i...

주제어

표/그림 (2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통계학은 일반적으로 정의를 내리면 “관심 분야의 현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이 불확실성과 변이성과 다양성에 대한 모델을 설정하고, 추론하거나 예측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학문(김응환, 이석훈, 2015, p. 6)” 정도로 설명할 수 있다.
통계교육에 대해서는 어떠한 비판이 꾸준하게 제기되어 왔는가? 통계학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통계교육은 실생활과 유리된 채 인위적인 자료처리 기능, 그리고 이론적인 지식 교육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이 꾸준하게 제기되어 왔다(우정호, 2017, p. 253).
통계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는 무엇인가? 언어적 의사소통의 말과 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제스처, 표정과 같이 통계적 의사소통에서도 화자와 청자를 매개하는 여러 가지 도구가 존재한다. 이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는 바로 그래프1)이다. 우리는 신문, 뉴스, 잡지와 같은 다양한 언론 매체를 통해 통계 정보를 담고 있는 그래프를 쉽게 접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ang, H. Y. et al. (2014). Research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activation of statistics education. Report 2014A039,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 Ko, E. S. et al., (2017). Teachers' guidebook for practical statistics education.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3. Ko, E. S., & Tak, B. (2019). A study on didactical analysis of dot plots and box plots for developing students’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9(4), 577-605.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Vol. 8]. Seoul: Author. 

  5. Ministry of Education (2017). Mathematics textbook 2-2. Seoul: Chunjae. 

  6. Ministry of Education (2018a). Mathematics textbook 3-2. Seoul: Chunjae. 

  7. Ministry of Education (2018b). Mathematics textbook 4-1. Seoul: Chunjae. 

  8. Ministry of Education (2018c). Mathematics textbook 4-2. Seoul: Chunjae. 

  9. Ministry of Education (2019). Mathematics textbook 6-1. Seoul: Chunjae. 

  10. Kim, S. M. (2013). Comparative analysis on statistical graphs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3), 363-392. 

  11. Kim, Y., & Lee, S. (2015). Statistics and Probability Education. Seoul: Kyungmoonsa. 

  12. Park, Y. H. (1999). The exploration of teaching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s graphics in the newspaper. School Mathematics, 1(2), 451-459. 

  13. Song, S. H., et al. (2013). The Methodology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sa. 

  14. Woo, J. H. (2017).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school mathematics (Vol. 3).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5. Lee, K. H., & Ji. E. J. (2008). The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s: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MiC’s textbook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8(3), 353-372. 

  16. Lee, Y. H. (2014). Principles of statistics education in terms of humaniti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7. Lee, J., & Ko, E. S. (2019). Analysis of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3(2), 65-86. 

  18. Lee, H.., Kim, D. W., & Tak, B. (2019). An analysis on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textbooks of other subjects to improve teaching graph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3(1), 119-141. 

  19. Lim, J. A., & Kang, W. (2003). An analysi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7, 65-86. 

  20. Choi, S. H., & Lee, D. H. (2012).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sections between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 MiC textbook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1), 41-52. 

  21. Tak, B., & Kim, D. (2020). An analysis on error types of 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Ethical problems at data analysis i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4(1), 1-30. 

  22. Hwang, H. M., & Pang, J. S. (2007).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graphs of sixth graders. School Mathematics, 9(1), 45-64. 

  23. Carr, D. (2011a). Primary maths 5: Student activity boo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Carr, D. (2011b). Primary maths 6: Student activity boo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Franklin, C. A., Kader, G. D.,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6.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27. Gillard, N., & Weeks, M. (2012). Primary maths 2: Student activity boo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Ko. E. S. (2012).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s of thinking with regard to statistical variability.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Musser, G. L., Burger, W. F., & Peterson, B. E. (2013).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A contemporary approach. (10th edition). Hoboken: John Wiley & Sons, Inc. 

  30. Watson, J. M.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Mahwah: Lawewnce Erlbaum Associates. 박영희 역(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서울: 경문사. 

  31. Weeks, G. (2011). Primary maths 3: Student activity boo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Wild, C. (2006). The concept of distribu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5(2), 10-26. 

  33.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34.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WCER] (2003). Picturing numbers. New York: Holt MaDougal. 나온교육연구소 역(2004a). 수를 그린다고? 서울: 나온교육연구소. 

  35.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WCER] (2003). Statistics and the environment. New York: Holt MaDougal. 나온교육연구소 역(2004b). 환경을 살리는 통계. 서울: 나온교육연구소.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