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야모야병 환자의 뼈목동맥관 직경과 임상표현과의 관계
Relation of Bony Carotid Canal Diameter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원문보기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18 no.1, 2016년, pp.1 - 6  

안소현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  송홍기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  김철호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  손종희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  장민욱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  최휘철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신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Moyamoya disease is characterized by a progressive stenosis or occlusion of the intracranial internal carotid artery and/or the proximal portion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and middle cerebral artery. Whether the onset time was childhood or adulthood, the bony carotid canal diame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뼈목동맥관의 발달 여부에 따라 모야모야병의 임상표현 및 측부순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146명의 환자 중 뇌졸중으로 발현된 115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모야모야병이 없는 혈관(3.
  • 6,7 Motoshima 등6은 모야모야병의 조기 발견 방법으로 추체목동맥관(petrous carotid canal)이 좁아진 소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런 근거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말단부 내경동맥의 점진적 협착이나 폐색의 발생 시작 시점이 뼈목동맥관의 크기와 연관된다는 가설에 근거를 두고 뼈목동맥관의 크기에 따라 임상증상의 표현 형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유년기 모야모야병과 성인 모야모야병의 구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뇌출혈성 뇌졸중 및 뇌경색성 뇌졸중 군으로 나눠 진행한 통계 분석 방법은? 양측성 모야모야병 환자군은 양측의 혈관을 포함하였고 편측성 모야모야병 환자의 혈관은 병변 쪽의 혈관만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Chi Square 분석을 사용하였고, 연속형 변수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값 0.05 이하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1 (IBM corp, Armonk, New York,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야모야병의 발병 원인은 무엇인가요? 모야모야병은 내경동맥의 말단부위와 윌리스환을 구성하는 내경동맥의 주요 가지인 앞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의 근위부가 점차적으로 협착되거나 폐쇄되는 드문 뇌혈관질환이며 이런 혈관협착 및 폐색은 뇌의 기저부위에 미세한 혈관 연결망을 포함하여 여러 곁순환 형성한다.1,2 모야모야병의 발병은 아직까지 불명확하며 역학 조사에서는 5-15세(유년기 모야모야)와 30-39세(성인 모야모야)에서 두 정점을 보였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병태생리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3-5 그러나 발병 시점이 유년기인가 아니면 성인기인가에 따라 뼈목동맥관(bony carotid canal)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모야모야병은 무엇인가요? 모야모야병은 내경동맥의 말단부위와 윌리스환을 구성하는 내경동맥의 주요 가지인 앞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의 근위부가 점차적으로 협착되거나 폐쇄되는 드문 뇌혈관질환이며 이런 혈관협착 및 폐색은 뇌의 기저부위에 미세한 혈관 연결망을 포함하여 여러 곁순환 형성한다.1,2 모야모야병의 발병은 아직까지 불명확하며 역학 조사에서는 5-15세(유년기 모야모야)와 30-39세(성인 모야모야)에서 두 정점을 보였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병태생리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uey S, Tournier-Lasserve E, Herve D, Kossorotoff M. Moyamoya disease and syndromes: from genetics to clinical management. Appl Clin Genet 2015;8:49-68. 

  2. Hertza J, Loughan A, Perna R, Davis AS, Segraves K, Tiberi NL. Moyamoya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ppl Neuropsychol Adult 2014;21:21-27. 

  3. Baba T, Houkin K, Kuroda S. Novel epidemiological features of moyamoya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79:900-904. 

  4. Han DH, Kwon OK, Byun BJ, Choi BY, Choi CW, Choi JU, et al. A co-operative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334 Korea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treated at neurosurgical institutes (1976-1994). The Korean Society for Cerebrovascular Disease. Acta Neurochir (Wien) 2000;142:1263-1273. 

  5. Wakai K, Tamakoshi A, Ikezaki K, Fukui M, Kawamura T, Aoki R, et al. Epidemiological features of moyamoya disease in Japan: findings from a nationwide survey. Clin Neurol Neurosurg 1997;99 Suppl 2:S1-S5. 

  6. Motoshima S, Noguchi T, Kawashima M, Ooishi M, Irie H, Nishihara M, et al. Narrowed petrous carotid canal detection for the early diagnosis of moyamoya disease. Fukuoka Igaku Zasshi 2012;103:206-214. 

  7. Watanabe A, Omata T, Koizumi H, Nakano S, Takeuchi N, Kinouchi H. Bony carotid canal hypoplasia i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J Neurosurg Pediatr 2010;5:591-594. 

  8. Fukui M.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ontaneous occlusion of the circle of Willis ('moyamoya' disease). Research Committee on Spontaneous Occlusion of the Circle of Willis (Moyamoya Diseas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apan. Clin Neurol Neurosurg 1997;99 Suppl 2:S238-S240. 

  9. Hashimoto N, Tominaga T, Miyamoto S, Nagata I, Houkin K, Suzuki N, et al.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yamoya disease (spontaneous occlusion of the circle of Willis). Neurol Med Chir (Tokyo) 2012;52:245-266. 

  10. Suzuki J, Takaku A. Cerebrovascular "moyamoya" disease. Disease showing abnormal net-like vessels in base of brain. Arch Neurol 1969;20:288-299. 

  11. Liu W, Xu G, Liu X. Neuroimaging diagnosis and the collateral circulation in moyamoya disease. Interv Neurol 2013;1:77-86. 

  12. Cali RL, Berg R, Rama K. Bilateral internal carotid artery agenesis: a case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Surgery 1993;113:227-233. 

  13. Handa J, Matsuda I, Nakasu S, Nakano Y. Agenesis of an internal carotid artery: angiographic, tomographic and computed tomographic correlation. Neuroradiology 1980;19:207-211. 

  14. Quint DJ, Silbergleit R, Young WC. Absence of the carotid canals at skull base CT. Radiology 1992;182:477-481. 

  15. Fujimura M, Mugikura S, Shimizu H, Tominaga T. Asymptomatic moyamoya disease subsequently manifesting as transient ischemic attack,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subarachnoid hemorrhage in a short period: case report. Neurol Med Chir (Tokyo) 2010;50:316-319. 

  16. He Y, Zhou Q, He M. An asymptomatic Moyamoya disease: autopsy case and literature review. Am J Forensic Med Pathol 2010;31:77-79. 

  17. Ikeda K, Iwasaki Y, Kashihara H, Hosozawa K, Anan K, Tamura M, et al. Adult moyamoya disease in the asymptomatic Japanese population. J Clin Neurosci 2006;13:334-338. 

  18. Jo KI, Yeon JY, Hong SC, Kim JS. Clinical course of asymptomatic adult moyamoya disease. Cerebrovasc Dis 2014;37:94-101. 

  19. Kuroda S, Ishikawa T, Houkin K, Nanba R, Hokari M, Iwasaki Y.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disease progression in adult moyamoya disease. Stroke 2005;36:2148-21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