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 운영을 고려한 대유역 SWAT 모형 구축기법 연구 - 남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
Large Scale SWAT Watershed Modeling Considering Multi-purpose Dams and Multi-function Weirs Operation - For Namhan River Basin -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4, 2016년, pp.21 - 35  

안소라 (Dept.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이지완 (Dept.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장선숙 (Dept.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김성준 (Dept.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for multi-purpose dams and multi-function weirs operation in Namhan river basin ($12,577km^2$) of South Korea. The SWAT was calibrated (2005 ~ 2009) and validated (2010 ~ 2014) considering of 4 m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WAT을 이용하여 한 수계 내에 있는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의 운영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수문변수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위)를 이용한 검보정을 시도하여 현재상태의 수문순환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을 위한 방안 제시 및 적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링에 여러 개의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 운영을 동시에 고려하고, 유출량 이외의 다양한 수문요소들을 유역 내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밸런스 있게 모의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신뢰성 있는 수문분석을 위해 SWAT 모델링에 댐 및 보 운영을 고려하였다. 남한강유역 상류에 위치한 다목적 댐인 횡성댐과 충주댐의 운영자료는 10년 (2005-2014) 자료를 수집하였고, 중하류에 위치한 다기능 보인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는 2012년에 완공되었기 때문에 2년 (2013-2014)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단위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의 운영을 고려한 신뢰성 있는 수문순환을 재현하고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한 수계 내에 있는 여러개의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의 운영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수문변수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상태의 수문순환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모형의 보정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단위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의 운영을 고려한 신뢰성 있는 수문순환을 재현하고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한 수계 내에 있는 여러개의 다목적 댐 및 다기능 보의 운영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수문변수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상태의 수문순환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모형의 보정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남한강 유역 내 위치한 2개의 다목적 댐 (횡성댐, 충주댐), 3개의 다기능 보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의 유입량 및 저수량에 대하여 SWAT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고, 다양한 수문요소의 실측자료 (증발산, 토양수분,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형의 검보정을 위한 방안 제시 및 적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댐 유입량 검보정을 위해 필요한 것은? 2. 댐 유입량 검보정을 위해서 먼저 ESCO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총 유출량을 50 ~ 65 %, 증발산량을 30 ~ 45 % 범위로 맞추고, CN, OV_N, CH_N로 첨두유량을 맞추었으며, GW_DELAY로 기저유출을 맞춘 뒤, ALPHA_BF로 감수곡선을 맞추었다. 다음으로 SOL_AWC와 SOL_K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중간유출과 회귀유출 서로간의 주고받는 양을 조절하였고, REVAPMN과 GW_REVAP은 위 언급된 매개변수들을 모두 조정 한 뒤에 재증발과 회귀유출간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후 증발산량 검보정에는 ESCO, 토양수분 검보정에는 SOL_AWC, 지하수위 변동량에는 GWQMN과 ALPHA_BF 매개변수를 재조정 하였다.
다목적 댐이 가장 효과적인 때는?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약 70 %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홍수와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Lee et al., 2014), 이와 같이 반복되는 재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홍수 때 물을 저장하였다가 가뭄 때 물을 공급 등 하천의 유량을 조절하는 시설이 필요한데 가장 효과적인 것이 다목적 댐이다. 특히 다목적댐은 2007년 기준 우리나라 물 이용량 333 억 m3의 33 %에 해당하는 109 억 m3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MLTM, 2011), 홍수 및 가뭄 등 물 관련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목적댐의 효율적인 운영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약 70 %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홍수와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Lee et al., 2014), 이와 같이 반복되는 재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홍수 때 물을 저장하였다가 가뭄 때 물을 공급 등 하천의 유량을 조절하는 시설이 필요한데 가장 효과적인 것이 다목적 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R. G.A. Park, and S.J. Kim, 2013a.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MODSIM-DSS Coupled with SW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2): 507-519 (in Korean). 

  2. Ahn, S.R. G.A. Park, C.H. Jang, and S.J. Kim, 2013b.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a Mixed Forest Catchment Using Spatially Calibrate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6): 569-583 (in Korean). 

  3. Arnold, J.G., and P.M. Allen, 1996. Estimating hydrologic budgets for three Illinois watersheds. Journal of Hydrology 176(1): 57-77. 

  4. Chen, J., J. Xia, C. Zhao, S. Zhang, G. Fu, and L. Ning. 2014. The mechanism and scenarios of how mean annual runoff varies with climate change in Asian monsoon areas. Journal of Hydrology 517: 595-606. 

  5. Joh, H.K., J.W. Lee, H.J. Shin, G.A. Park, and S.J. Kim, 2010.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SWAT Simulation for Mixes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289-297 (in Korean). 

  6. Joh, H.K., J.W. Lee, M.J. Park, H.J. Shin, J.E. Yi, G.S. Kim, R. Srinivasan, and S.J. Kim, 2011.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components of a small forest watershed through SWAT calibr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Transactions of the ASABE 54(5): 1773-1781. 

  7. Kuczera, G., and M. Mroczkowski, 1998. Assessment of hydrological parameter uncertainty and the worth of multi-response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34: 1481-1489. 

  8. K-water, 2014. Dam operation handbook, Daejeon, South Korea. 

  9. Lee, D.R, J.W. Moon, and S.J. Choi, 2014.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2): 195-206 (in Korean).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Sejong-si, South Korea.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Dam design standard, Sejong-si, South Korea. 

  12. Mkhwanazi, M., J.L. Chavez, and Rambikur, E.H. 2012. Comparison of Large aperture scintillometer and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models in sensible heat flux and crop evapotranspiration deter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12: 24-30. 

  13. Molina-Navarro, E., D. Trolle, S. Martinez-Perez, A. Sastre-Merlin, and E. Jeppesen, 2014.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of a Mediterranean limno-reservoir under climate change and land use management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509: 354-366. 

  14. Moriasi, D.N., J.G. Arnold, M.W. Van Liew, R.L. Bingner, R.D. Harmel, and T.L. Veith,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SABE 50(3): 885-900. 

  15. Nash, J.E., and J.V.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282-290. 

  16.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and J.R. Williams,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340-367, Temple, Texas. 

  17.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J.R. Williams, 201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Temple, Texas. 

  18. Park, J.Y., H. Jung, C.H. Jang and S.J. Kim, 2014.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component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RCP emission scenarios and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3): 19-29 (in Korean). 

  19. Perrin, J. S. Ferrant, S. Massuel, B. Dewandel, J.C. Marechal, S. Aulong, and S. Ahmed, 2012. Assessing water availability in a semi-arid watershed of southern India using a semi-distributed model. Journal of Hydrology 460: 143-55. 

  20. Santhi, C., J.G. Arnold, J.R. Williams, W.A. Dugas, R. Srinivasan, and L.M. Hauck, 2001. Validation of the SWAT model on a large river basin with point and nonpoint source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 1169-1188. 

  21. Seibert, J., and J.J. McDonnell, 2003. The quest for an improved dialog between modeler and experimentalist. Water Science and Applications 6: 301-316. 

  22. Shin, H.J., M.J. Park, and S.J. Kim, 2012. Evaluation of Forest Watershed Hydro-Ecology using Measured Data and RHESSys Model-For the Seolmacheon Catch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2): 1293-1307 (in Korean). 

  23. Wagner, P.D., S. Murty-Bhallamudi, B. Narasimhan, L.N. Kantakumar, K.P. Sudheer, S. Kumar, K. Schneider, and P. Fiener, 2016. Dynamic integration of land use changes in a hydrologic assessment of a rapidly developing Indian catch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39: 153-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