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Study on the Influences of Stress on Successful Aging: Evaluation of Moderating Effect Mediated on Positivity and Family Suppor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7, 2016년, pp.100 - 111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성대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무일 (창원문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에 있어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일반노인 584명을 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Preacher와 Hayes가 제안한 SPSS Macro방법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은 3단계로 실시하였으며, 1단계는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관계에서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분석하였고, 2단계는 예측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를 확인 후, 3단계에서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의 가족지지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노년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가족지지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argeting 584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in Gyeongsangnam-do to verify a mediated control effect of optimism and family support in stress and successful aging of the aged. Using SPSS Macro Way suggested by Preacher and Hayes. A study model is verified through a route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경로가 낙관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간의 매개변인으로 낙관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성공적 노화를 구성하는 요소도 학자들 마다 입장의 차이는 보이고 있지만, 선행연구가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공통적으로 노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건강, 사회적 건강, 신체적 건강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측면에서 성공적 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16].
  • 다음으로 예측변수인 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매개변수인 낙관성이 준거변수인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경로 회귀계수는 1.
  •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 결과 가족지지가 스트레스, 낙관성,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스트레스, 낙관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가족지지가 스트레스와 낙관성,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봤을 때 노인들의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 여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와 낙관성의 역할에서 가족지지의 역할을 부각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스트레스 인식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낙관성과 가족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스트레스를 예측변수, 가족지지를 조절변수, 낙관성을 매개변수, 성공적 노화를 준거변수로 설정하였다.
  • 또한 노인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에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이 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하거나 매개하는 낙관성과 가족지지 변인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 이러한 노인의 스트레스는 배우자의 사망이나 심각한 질병 등 중대한 생활사건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상생활 과정에서 누적되고 상호 관련되어 발생하는 사소한 불만족이 더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 즉, 노인의 일상생활사건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 생활사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변수별 사례수의 차이는 결측치에 의한 것임.
  • 셋째, 가족지지는 낙관성이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넷째,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낙관성과 가족지지가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
  • 연구가설은 첫째, 낙관성은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둘째, 가족지지는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셋째, 가족지지는 낙관성이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 둘째,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야 할 것이다. 가족지지가 스트레스와 낙관성,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봤을 때 노인들의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둘째, 가족지지는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셋째, 가족지지는 낙관성이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넷째,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낙관성과 가족지지가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
  • 가족지지가 어떠한 경로에서 상호작용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고자 설정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연구가설은 첫째, 낙관성은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둘째, 가족지지는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관성(optimism)이란 무엇인가요? 낙관성(optimism)은 미래에 대해 좋은 일이 많을 것이며 나쁜 일은 잘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보편적인기대감이며, 향후의 상황 변화에도 일정하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성격 특성으로 설명되고 있다[17]. 낙관성이 높은 사람은 신체적으로 더 건강하고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낮으며, 감정통제를 잘 하므로 심리적으로 소진할 가능성이 줄어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므로 자신의 삶에 대한 능동적이며 자신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도록 한다[18].
가족지지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성공적 노화에 이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처럼 노인들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신들의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지 못할 때 매우 중요한 대체자원으로 가족으로 부터의 지지가 강조되고 있다[8], 한국노인의 경우 어떤 관계보다도 부부관계와 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직계가족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9]. 그러므로 가족지지를 통해 상실감, 우울 등 노인들의 심리적 문제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성공적 노화에 이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0].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개인에 의해 지각되는 내ㆍ외적 자극이 감정을 유발해서 필요에 응하게 되고, 이때 신체와 정신의 부가적 또는 일반적 반응이 건강과 생활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개념 짓고 있다[13]. 이러한 노인의 스트레스는 배우자의 사망이나 심각한 질병 등 중대한 생활사건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상생활 과정에서 누적되고 상호 관련되어 발생하는 사소한 불만족이 더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통계청, 2013년 고령자 통계, 2013. 

  2. 황미구, 김은주,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865-886, 2008. 

  3. P. Laslett, A fresh map of life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89. 

  4.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 관한 일 고찰," 복지행정논총, 제16권, 제1호, pp.117-136, 2006. 

  5. 홍현방,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213-235, 2005. 

  6. 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7. 신경림, 김정선,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29-37, 2003. 

  8. N. Krause, "Exploring age differences in the stress-buffering function of social support," Psychology and aging, Vol.20, No.4, pp.714-717, 2005. 

  9. 정여진, 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535-550, 2010. 

  10. 정태연, 조은영,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 제25권, 제1호, pp.55-71, 2005. 

  11. M. F. Scheier, C. S. Carver, and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6, pp.1063-1078, 1994. 

  12.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37권, pp.249-273, 2007. 

  13.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14. 임숙빈, 정철순, "자살을 생각한 고등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원과 대응행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54-264, 2002. 

  15. M. Flood,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Vol.6, No.2, pp.105-108, 2002. 

  16. K. Matsubayashi, M. Ishine, T. Wada, and K. Okuminya, "Older adults' views of Successful aging," Comparison of older Japanese and America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4, pp.184-187, 2006. 

  17. 유성경, 조하나, "낙관성 수준, 상황, 대상에 따른 대인관계도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567-580, 2003. 

  18. 전상완, 한국 예비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 탐색과 성공적 노화행동과의 관계 모형.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19. 김기태, 성명옥, 복봉길, 이경남, 최희경,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2002. 

  20. L. Brissette, M. Scheier, and C. S. Carver,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2, No.1, pp.102-111, 2002. 

  21. 강은영, 박인혜, 김윤경, 이정미, "청소년의 지각 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정 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373-388, 2015. 

  22.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159-179, 2007. 

  23. 장재원,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탄력성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 

  24. H. Ayyash-Abdo, "Adolescent suicide: 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pp.459-475, 2002. 

  25. 손정주, 가족지지가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6. 정순둘,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829-845, 2007. 

  27. N. K. Arora, L. J. Finney Rutten, D. H. Guestafson, R. Moser, and R. P. Hawkin, "Perceived helpfulness and impact of social surpport provided by family, friend, and health care providers to women newly diagnosi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Vol.16, pp.475-486, 2007. 

  28.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2. 

  29. 김정미,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지각된 부모공감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4호, pp.203-225, 2014. 

  30.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31. R. H. Moos and B. S. Moos, "Family Environment Scale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cal Press, 1981. 

  32. M. F. Scheier and C. S. Caver,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6, pp.201-228, 1992. 

  33. K. J. Preacher, D. D. Rucker, and A. F. Hayes,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42, No.1, pp.185-227, 2007. 

  34.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50, 2014. 

  35.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York: Guilford Press, 2010. 

  36.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1. 

  37. D. C. Howell, Statistical methods for psychology(5th ed.), Belmont, CA: Duxbury Press, 2002. 

  38. M. E. P. Seligman, Learned Optimism, New York: Simon & Schuster, 1991. 

  39. 김정희, 박지영,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210-222, 2015. 

  40. 김경수,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24-432, 2009. 

  41. J. Rodin and G. McAvay, "Deter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7, pp.373-384, 1992. 

  42. A. R. Herzog, R. L. Kahn, J. N. Morgan, J. S. Jackson, and T. C. Antonucci,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Vol.44B, No.4, pp.129-138,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