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숙아로 출생한 영아의 6개월 발달 관련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
Prospectiv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 in Premature Infants at Six-Month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3, 2016년, pp.199 - 206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강현주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부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권미경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mature infant at six-month age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status of the premature infa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8 premature infants whose corrected age was six-months old and their mothers. The d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영아의 발달 상태를 어머니 보고에 의해 확인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발달 상태를 확인하지는 못한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영아의 6개월 시점에서 정상 발달군과 발달지연 의심군 간에 임상적 특성 뿐 아니라 모아애착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미숙아의 영아 발달 초기 모아애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숙아의 발달 지연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고 발달 지연을 예방할 수 있는 조기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러한 조기 중재에 있어서 미숙아의 직접적인 환경적 요인이 되는 모아 상호작용을 통하여 모아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적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또한 발달 지연 의심군에 비하여 정상 발달군에서 모아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숙아로 태어난 영아의 초기 발달에 있어서 성별, 재태연령, 재원 일수, 신경생리학적 위험도와 같은 임상적 특성 뿐 아니라 미숙아의 가장 직접적인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모아애착 간의 상호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출생한 미숙아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제한적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영아의 입원 당시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후 6개월 추적조사를 통해 영아의 발달이 초기 임상적 특성뿐만 아니라 영아를 둘러싼 환경적 특성으로서 산후우울, 남편의 지지, 사회적 지지, 모아애착과 어떠한 연관성을 보이는지 전향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숙아 발달지연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발달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조기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영아의 교정 연령 6개월 시점에서 발달지연 의심 여부를 파악하고 영아의 출생 초기 임상적 특성과 어머니의 산후우울, 어머니가 지각한 남편의 지지, 사회적 지지, 모아애착과의 연관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미숙아의 발달지연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조기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은 영아의 교정 연령 6개월 시에서의 발달지연 의심 여부를 파악하고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어머니가 지각한 산후우울, 남편의 지지, 사회적 지지, 모아애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상 발달군과 발달지연 의심군 간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발달지연 의심군에서 남아의 비율과 Revised NBRS 점수가 높았고, 재태연령이 더 적었으며 인공호흡기 삽입기간과 재원 일수가 더 길었다.
  • 본 연구는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6개월 영아의 발달지연 의심 여부를 확인하고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어머니가 지각한 산후우울, 남편의지지, 사회적지지, 모아애착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종단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로 태어나 교정연령 6개월이 지난 시점에 영아의 어머니에게 0-9개월 KPDQ-II 검사지를 우편으로 보낸 후 회수하였고 선별검사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DDST II의 해석 기준에 준하여 1개 이상의 ‘지연’ 또는 2개 이상의 ‘주의’인 경우 의심스러운 발달로 정의하고 영아의 발달지연 의심 여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로 태어난 영아의 6개월 시점에서 발달지연 의심 여부를 확인하고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 남편의 지지, 사회적 지지, 모아애착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미숙아의 출생률과 생존율 증가에 따라 필요한 것은? 최근 미숙아의 출생률과 생존율 증가는 세계적인 추세로서, 미숙아의 출생 이후의 질적인 건강과 발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에서도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 출생률은 2004년 4.
미숙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임상적 요인은? 미숙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임상적 요인은 출생 시 체중, 재태연령 뿐 아니라 5분 아프가 점수, 신생아중환자실 재원기간 등이 보고되었다[6]. 반면 아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하므로 아동이 가지고 있는 생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아동을 둘러싼 환경적 특성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해야만 한다.
미숙아 산모의 산후우울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는? 또한 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발달지연 의심군에서 산후우울 점수가 더 높았으며 우울을 호소하는 어머니들이 아이에 대한 반응을 읽는 것을 힘들어 하고, 그로 인해 소극적인 양육태도와 비효과적인 양육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29]. 따라서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은 미숙아에 대한 반응 및 양육태도와 모아애착에 있어 고려될 필요가 있으므로 미숙아 영아의 발달 상태와 더불어 어머니의 산후우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4 Bir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Author; 2015 [cited 2016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47963&pa 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EC%B6%9C%EC%83%9D 

  2. Kim TH, Lee HH, Chung SH, Kim SS, Hong YP. Risk factors of preterm delivery and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in Buche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53(1):29-34. DOI: 10.5468/kjog.2010.53.1.29 

  3. Bang KS. A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infants born prematurely according to results of Denver II screening tes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6;12(3):398-404. 

  4. Ju HO.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2008;14(1):44-52. 

  5. de Kieviet JF, Piek JP, Aarnoudse-Moens CS, Oosterlaan J. Motor development in very preterm and very low-birth-weight children from birth to adolesce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9;302(20):2235-2242. doi: 10.1001/jama.2009.1708. 

  6. Kang JW, Lee KS. Prognostic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007;15(1):67-74. 

  7. Davis L, Mohay H, Edwards H. Mothers' involvement in caring for their premature infants: An historical over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2(6):578-586.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661.x 

  8. Bang KS. A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infants born prematurely according to results of Denver II screening tes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6;12(3):398-404. 

  9. Brazy JE, Goldstein RF, Oehler JM, Gustafson KE, Thompson RJ, Jr. Nursery neurobiologic risk score: levels of risk and relationships with nonmedical factors.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JDBP. 1993;14(6):375-380. 

  10. Shin HS, Kwon BS, Lim SO.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nver II in screen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isk.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5;11(3):316-321. 

  11. Yeo J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an Health Nursing. 2006;12(4):355-362. 

  12. Bai JY.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6. p1-211. 

  13. You SE, Kwon JH.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stress, and coping style on depression in the middle-aged woma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7;16(2):67-84. 

  14. Han KE.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self-esteem and maternal sensitivity with mother-to infant attachmen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p. 1-75. 

  15. Kent AL, Wright IM, Abdel-Latif ME. Mortality and adverse neurologic outcomes are greater in preterm male infants. Pediatrics. 2012; 129(1):124-131. doi:10.1542/peds.2011-1578 

  16. Frondas-Chauty A, Simon L, Branger B, Gascoin G, Flamant C, Ancel PY, et al. Early growth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in very preterm infants: impact of gender.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Fetal and Neonatal Edition. 2014;99(5):F366-372. doi:10.1136/archdischild-2013-305464 

  17. Wickremasinghe AC, Hartman TK, Voigt RG, Katusic SK, Weaver AL, Colby CE, et al. Evaluation of the ability of neurobiological, neurodevelopment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to predict cognitive outcome in premature infants.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2012; 38(5):683-689. doi:10.1111/j.1365-2214.2011.01281.x 

  18. Mahoney AD, Pinto-Martin J, Hanlon A. Home Environment, Brain Injury, & School Performance in LBW Survivors. MCN-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2014;39(1):18-25. doi:10.1097/01. nmc.0000437535.99514.95 

  19. Ohoka H, Koide T, Goto S, Murase S, Kanai A, Masuda T, et al. Effect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period on infant-mother attachment.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14;68(8):631-639. doi:10.1111/pcn.12171 

  20. Marriner-Tomey, A., Alligood, MR.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6th ed. Park YS, Kang HS, Kim JH, Ahn HS, Lee KS, Cho KS et al, translator. Seoul: Daihaks; 2009. 725-747. 

  21. Lundqvist-Persson C, Lau G, Nordin P, Bona E, Sabel KG. Preterm infants' early developmental status is associated with later developmental outcome. Acta Paediatrica. 2012;101(2):172-178. doi:10.1111/j.1651-2227.2011.02442.x 

  22. Evans T, Whittingham K, Boyd R. What helps the mother of a preterm infant become securely attached, responsive and well-adjusted?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2;35(1):1-11. doi:10.1016/j.infbeh.2011.10.002 

  23. Lee SB, Shin HS. Effects of Kangaroo Care on Anxiety,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nfant Attachment of Mothers who Deliver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7;37(6): 949-956. 

  24. Kim AR, Tak Y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08-320. doi:10.4069/kjwhn.2015.21.4.308 

  25. Wolke D, Eryigit-Madzwamuse S, Gutbrod T. Very preterm/very low birthweight infants' attachment: infant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Archives of Disease Child Fetal Neonatal Edition. 20147;99(1):F70-75. doi:10.1136/archdischild-2013-303788 

  26. Hayes LJ, Goodman SH, Carlson E. Maternal antenatal depression and infant disorganized attachment at 12 months.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013;15(2):133-153. doi:10.1080/14616734.2013.743256 

  27. Groh AM, Roisman GI, van Ijzendoorn MH, Bakermans-Kranenburg MJ, Fearon RP. The significance of insecure and disorganized attachment for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a meta-analytic study. Child Development. 2012;83(2):591-610. doi:10.1111/j.1467-8624.2011.01711.x 

  28. Bang KS, Kang HJ, Kwon MK. Rela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1):1-10. doi:10.4094/chnr.2015.21.1.1 

  29. Brown HK, Speechley KN, Macnab J, Natale R, Campbell MK. Mild prematurity, proximal social processes, and development. Pediatrics. 2014;134(3):e814-824. doi:10.1542/peds.2013-40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