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기반 논리소자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7 no.3, 2016년, pp.26 - 31  

최웅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eV의 직접천이 띠틈을 갖게 된다[그림 2].[5,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황화몰리브덴에 초점을 맞춰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기반의 디지털 논리소자 연구현황과 전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최근 5년간 급속도로 확장되었으며, 본 논문에서 소개한 논리소자 응용 이외에도 유연소자, 광전소자, 에너지, 바이오 분야로의 응용 및 새로운 물질 특성과 물리 특성 등 기초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S2를 중심으로 현재 연구 중인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기반 논리소자의 연구현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으며, 그 내용을 요약 해보면 표 1과 같다.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기반 전자소자에 흥미를 갖는 근원적인 이유는 원자 규모의 두께를 갖는 반도체이기 때문이며, 이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해서는 균일한 대면적 성장, 도핑 조절, 금속 전극 특성 조절, 고유전상수(high-k) 게이트 유전체 등을 포함한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핀이 트랜지스터로의 응용이 어려운 이유는?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그래핀[그림 1]은 대표적인 이차원 물질로 놀라운 특성을 가져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있으나,[1] 전기적으로 에너지 띠틈(bandgap)이 없는 준금속이므로 전자산업의 핵심 소자인 트랜지스터로의 응용이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그래핀의 트랜지스터 응용을 위해 그래핀에 에너지 띠틈을 만들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이나 그래핀 겹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약 0.
그래핀 나노리본이나 그래핀 겹층의 문제점은?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그래핀[그림 1]은 대표적인 이차원 물질로 놀라운 특성을 가져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있으나,[1] 전기적으로 에너지 띠틈(bandgap)이 없는 준금속이므로 전자산업의 핵심 소자인 트랜지스터로의 응용이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그래핀의 트랜지스터 응용을 위해 그래핀에 에너지 띠틈을 만들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이나 그래핀 겹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약 0.4eV의 제한적인 띠틈만이 가능하며 띠틈이 형성되면 이동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어 실질적인 응용 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그림 1].[2]
전이 금속 칼코겐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어떤 분야에서 진행 중인가?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최근 5년간 급속도로 확장되었으며, 본 논문에서 소개한 논리소자 응용 이외에도 유연소자, 광전소자, 에너지, 바이오 분야로의 응용 및 새로운 물질 특성과 물리 특성 등 기초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S2를 중심으로 현재 연구 중인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기반 논리소자의 연구현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으며, 그 내용을 요약 해보면 표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 Yarris, Falling into the Gap, http://www2.lbl.gov/Science-Articles/Archive/sabl/2007/Nov/gap.html (2007). 

  2. F. Schwierz, Nat. Nanotechnol. 5, 487 (2010). 

  3. Q. H. Wang, K. Kalantar-Zadeh, A. Kis, J. N. Coleman and M. S. Strano, Nat. Nanotechnol. 7, 699 (2012). 

  4. B. Radisavljevic, a. Radenovic, J. Brivio, V. Giacometti and A. Kis, Nat. Nanotechnol. 6, 147 (2011). 

  5. A. Splendiani, L. Sun, Y. Zhang, T. Li, J. Kim, C.-Y. Chim, G. Galli and F. Wang, Nano Lett. 10, 1271 (2010). 

  6. K. F. Mak, C. Lee, J. Hone, J. Shan and T. F. Heinz, Phys. Rev. Lett. 105, 136805 (2010). 

  7. G. Fiori, F. Bonaccorso, G. Iannaccone, T. Palacios, D. Neumaier, A. Seabaugh, S. K. Banerjee and L. Colombo, Nat. Nanotechnol. 9, 768 (2014). 

  8. Y. Yoon, K. Ganapathi and S. Salahuddin, Nano Lett. 11, 3768 (2011). 

  9. X. Li, J. T. Mullen, Z. Jin, K. M. Borysenko, M. B. Nardelli and K. W. Kim, Phys. Rev. B 87, 115418 (2013). 

  10. B. Radisavljevic and A. Kis, Nat. Mater. 12, 815 (2013). 

  11. M. S. Fuhrer and J. Hone, Nat. Nanotechnol. 8, 136 (2013). 

  12. H. Liu, A. T. Neal, Z. Zhu, D. Tomanek and P. D. Ye, ACS Nano 8, 4033 (2014). 

  13. Li, L. Y. Yu, G. J. Ye, Q. Ge, X. Ou, H. Wu, D. Feng, X. H. Chen and Y. Zhang, Nat. Nanotechnol 9, 372 (2014). 

  14. O. V. Yazyev and A. Kis, Mater. Today 18, 20 (2015). 

  15. L. Liu, Y. Lu and J. Guo, IEEE Trans. Electron Dev. 60, 4133 (2013). 

  16. L. Liu, S. B. Kumar, Y. Ouyang and J. Guo, IEEE Trans. Electron Dev. 58, 3042 (2011). 

  17. B. Radisavljevic, M. B. Whitwick and A. Kis, ACS Nano 5, 9934 (2011). 

  18. H. Wang, L. Yu, Y.-H. Lee, Y. Shi, A. Hsu, M. L. Chin, L.-J. Li, M. Dubey, J. Kong and T. Palacios, Nano Lett. 12, 4674 (2012). 

  19. D. Jena, Proc. IEEE 101, 1585 (2013). 

  20. K. Alam and R. Lake, IEEE Trans. Electron Dev. 59, 3250 (2012). 

  21. D. Jariwala, V. K. Sangwan, L. J. Lauhon, T. J. Marks and M. C. Hersam, ACS Nano 8, 1102 (2014). 

  22. S. Das, H.-Y. Chen, A. V. Penumatcha and J. Appenzeller, Nano Lett. 13, 100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