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 나노리본 형성과 응용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7 no.3, 2016년, pp.32 - 43  

홍석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부산대학교) ,  황완식 (항공재료공학과 한국항공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2차원 그래핀은 에너지 밴드갭(Energy bandgap)이 없는 반면, 1차원 그래핀 나노리본은 양자점제어(Quantum confinement)로 인해서 에너지 밴드갭이 형성되고, 그 크기는 형성된 그래핀 나노리본 너비에 반비례 한다고 보고되었다.[2] 본 글에서는 이러한 그래핀 나노리본의 형성과 그 응용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고분자의 노즐분사 기술을 응용한 그래핀 나노리본 제조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팀은 가느다란 금속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하게 공급되는 고분자 용액을 지속적으로 분출시키는 기술을 응용, 그래핀 나노리본 제조를 위한 마스크제조에 성공하였다.
  • 이에 따른 기술로, 흑연결정으로 부터 그래핀 한층을 분리해내기 위해 황산과 같은 강산에 산화시켜 수용액상에서 분리한 후, 다시 환원시키는 화학적 박리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흑연을 산화시킨 후 이온성 물질의 층간삽입을 유도, 층간거리를 넓혀 산화 흑연을 제조하는 기술은 1950-70년대부터 Hummers 방식으로 대표되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핀 나노리본은 어떤 형태인가? [1] 특히 그래핀은 기존의 소재 대비 뛰어난 전하 이동도를 보이기 때문에 차세대 전자소자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 그래핀 나노리본(Graphene nanoribbon, GNR)은 2차원 전하자유도를 갖는 그래핀의 1차원 전하자유도를 갖는 한 형태이다. 이러한 그래핀 나노리본은 그래핀이 갖지 못한 특별한 특성을 보여준다.
화학적 박리기술로 제조된 산화 그래핀을 투명전극과 같이 그래핀 본연의 전기 전도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응용할 때 어떤 문제가 있는가? [5] 이는 단순한 공정으로 인해 가장 각광받는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강한 산처리 및 초음파 분쇄 시 수반되는 그래핀 가장자리 및 표면의 원자크기의 불규칙적인 결함 형성은 우리가 응용하고자 하는 뛰어난 그래핀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화학적 박리기술로 제조된 산화 그래핀를 투명전극과 같이 그래핀 본연의 전기 전도도를 요구하는 분야의 응용을 위해서는 환원상 그래핀 산화물(reduced graphene oxide)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6] 화학적으로 흔하게 시도되는 방식으로는 하이드라진(Hydrazine monohydrate, N2H4)과 같은 강한 환원제의 적용이 있으며, 이의 강한 독성으로 인해 친환경 환원제인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등의 환원제 도입도 시도되고 있다.
볼밀방식에 의한 제조방법의 원리는? [1] 이 박리기술과 비슷한 개념으로, 울산과기원의 백종범 교수 연구팀은 결정 흑연을 모재로 이용, 분말야금용 금속/세라믹 입자 제조 시 전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볼밀링(ball-mliing) 기술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그래핀을 손쉽게 분리해내었다.[10] 이 기술은 구슬(ball)에 의한 강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정흑연을 단층 또는 다층의 그래핀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탄소와의 결합력이 강하고 전자를 잘 끌어들이는 할로젠 원소(염소, 브롬, 요오드 등)를 그래핀 가장자리에 적용시킴으로써 응용 분야를 확대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볼밀방식에 의한 제조방법은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S. Novoselov, A. K. Geim, S. V. Morozov, D. Jiang, Y. Zhang, S. V. Dubonos, I. V. Grigorieva and A. A. Firsov, Science 306, 666 (2004). 

  2. M. Y. Han, B. Ozyilmaz,Y. Zhang and P. Kim, Physical Review Letters 98, 206805 (2007). 

  3. W. S. Hummers and R. E. Offeman, J. Am. Chem. Soc. 80, 1339 (1958). 

  4. S. Stankovich, D. A. Dikin, G. H. Dommett, K. M. Kohlhaas, E. J. Zimney EJ, E. A. Stach, R. D. Piner, S. T. Nguyen and R. S. Ruoff, Nature 442, 282 (2006). 

  5. G. Eda and M. Chhowalla, Adv. Mater. 22, 1 (2010). 

  6. D. Yang, A. Velamakanni, G. Bozoklu, S. Park, M. Stoller, R. D. Piner, S. Stankovich, I. Jung, D. A. Field, C. A. Ventrice Jr. and R. S. Ruoff, Carbon 47, 145 (2009). 

  7. C. Zhu, S. Guo, Y. Fang and S. Dong, ACS Nano 4, 2429 (2010). 

  8. Y. Liu, Y. Zhang, G. Ma, Z. Wang, K. Liu and H. Liu, Ethylene, Electrochim. Acta. 88, 519 (2013). 

  9. A. Esfandiar, O. Akhavan and A. Irajizad, J. Mater. Chem. 21, 10907 (2011). 

  10. I. Y. Jeon, Y. R. Shin, G. J. Sohn, H. J. Choi, S. Y. Bae, J. Mahmood, S. M. Jung, J. M. Seo, M. J. Kim, D. W. Chang, L. Dai and J. B. Baek, Proc. Natl. Acad. Sci. U. S. A. 109, 5588 (2012). 

  11. K. R. Paton, E. Varrla, C. Backes, R. J. Smith, U. Khan, A. O'Neill and C. Boland et al., Nat. Mater. 13, 624 (2014). 

  12. Q. Yu, J. Lian, S. Siriponglert, H. Li, Y. P. Chen and S. S. Pei, Appli. Phys. Lett. 93, 113103 (2008). 

  13. K. S. Kim, Y. Zhao, H. Jang, S. Y. Lee, J. M. Kim, K. S. Kim, J. H. Ahn, P. Kim, J. Y. Choi and B. H. Hong, Nature 457, 706 (2009). 

  14. T. Kobayashi, M. Bando, N. Kimura, K. Shimizu, K. Kadono, N. Umezu, K. Miyahara, S. Hayazaki, S. Nagai, Y. Mizuguchi, Y. Murakami and D. Hobara, Appli. Phys. Lett. 102, 023112 (2013). 

  15. Y. C. Shin and J. Kong, Carbon 59, 439 (2013). 

  16. J. A. Robinson, M. Wetherington, J. L. Tedesco, P. M. Campbell, X. Weng, J. Stitt, M. A. Fanton, E. Frantz, D. Snyder, B. L. Vanmil, G. G. Jernigan, R. L. Myers-Ward, C. R. EddyJr., and D. K. Gaskill, Nano Lett. 9, 2873-2876 (2009). 

  17. J. H. Lee et al., Seicne 344, 286 (2014). 

  18. S. Iijima and T. Ichihashi, Nature 363, 603 (1993). 

  19. L. Jiao, L. Zhang, X. Wang, G. Diankov and H. Dai, Nature 458, 877 (2009). 

  20. D. V. Kosynkin, A. L. Higginbotham, A. Sinitskii, J. R. Lomeda, A. Dimiev, B. K. Price and J. M. Tour, Nature 458, 872 (2009). 

  21. D. A. C. Brounson, D. K. Kampouris and C. E. Banks, J. Power Source 196, 4873 (2011). 

  22. J. Bai, X. Zhong, S. Jiang, Y. Huang and X. Duan, Nat. Nanotechnol. 5, 190, (2010). 

  23. A. N. Sokolov, F. L. Yap, N. Liu, K. Kim, L. Ci, O. B. Johnson, H. Wang, M. Vosgueritchian, A. L. Koh, J. Chen, J. Park and Z. Bao, Nat. Commun. 4, 2402 (2013). 

  24. L. Liu,Y. Zhang, W. Wang, C. Gu, X. Bai and E. Wang, Adv. Mater. 23, 1246 (2011). 

  25. S. H. Kang, W. S. Hwang, Z. Lin, S. H. Kwon and S. W. Hong, Nano Lett. 15, 7913 (2015). 

  26. W. Xu, H. K. Seo, S. Y. Min, H. Cho, T. S. Lim, C. Oh, Y. Lee and T. W. Lee, Adv. Mater. 26, 3459 (2014). 

  27. W. S. Hwang, K. Tahy, X. Li, H. G. Xing, A. C. Seabaugh, C. Y. Sung, and D. Jena, Applied physics letters 100, 203107 (2012). 

  28. W. S. Hwang, K. Tahy, L. O. Nyakiti, V. D. Wheeler, R. L. Myers-Ward, C. R. Eddy Jr., D. K. Gaskill, H. Xing, A. Seabaugh and D. Jena, J. Vac. Sci. Technol. B 30, 03D104 (2012). 

  29.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 2013 edition (http://www.itrs2.net/) 

  30. D. E. Nikonov and I. A. Young, IEEE Journal on Exploratory Solid-State Computational Devices and Circuits 1, 3 (2015). 

  31. W. S. Hwang, P. Zhao, K. Tahy, L. O Nyakiti, V. D Wheeler, R. L Myers-Ward, C. R Eddy Jr, D K. Gaskill, J. A Robinson, W. Haensch, H. G. Xing, A. Seabaugh and D. Jena, APL Materials 3, 011101 (2015). 

  32. M. Lee, J. R. Williams, S. Zhang, C. D. Frisbie, and D. Goldhaber-Gordon, Phys. Rev. Lett. 107, 256601 (2011). 

  33. W. S. Hwang, K. Tahy, P. Zhao, L. O. Nyakiti, V. D. Wheeler, R. L. Myers-Ward, C. R. Eddy Jr., D. K. Gaskill, H. Xing, A. Seabaugh and D. Jena, J. Vac. Sci. Technol. B 32, 012202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