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oud Reading on handwriting Legibility in Low-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6 no.1, 2016년, pp.13 - 23  

강희주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희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염지원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유라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최은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전병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DTVP 검사 결과 선별된 4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25일까지 기초선 1회, 중재 4회, 중재 후 평가 1회로 총 6회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후 평가 기간에는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와 속도를 측정하였다. 중재기간에는 소리내어 읽기를 하며 글씨쓰기를 하는 실험군, 글씨쓰기만을 하는 대조군1, 아무런 중재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중재 후 글씨쓰기 명료도 검사를 실시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글씨쓰기 중재 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글씨쓰기 명료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첫 번째 단어카드에서 대조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2는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글씨쓰기 명료도 점수는 하락하였다. 두 번째 단어카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과 대조군2, 대조군1과 대조군2는 집단 간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글씨쓰기 연습을 통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oud reading on handwriting legibility in low-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45 elementary school 2nd graders who were normally developed checked by the Developmen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영어를 소리내어 읽기가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Na, 2005)는 있었지만 한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소리내어 읽으며 글씨를 쓰는 집단, 글씨쓰기만을 하는 집단,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서 중재를 실시한 후 글씨쓰기 명료도가 향상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중재 전과 후에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중재를 통해 소리내어 읽기 여부에 따른 글씨쓰기 중재를 적용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글씨쓰기 연습을 통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와 소리 내어 읽지 않을 때의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 아동들을 시지각 발달 검사로 정상 발달 여부를 판별하였다. 시지각 발달 검사는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검사 결과 측정 및 해석은 연구자가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1, 대조군2로 나눈 후 45명 아동의 남, 여 비율을 동일하게 고려하여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실험군과 대조군1 두 집단 간 소리내어 읽기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성립하는지, 실험군과 대조군2는 중재 유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성립하는지, 대조군1과 대조군2의 글씨쓰기 중재의 차이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이 성립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설계하였다. Park(2009), Kim 등(2011)과 같은 기존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하나로 설계하여 연구를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리내어 읽기의 효과를 섬세하게 보기 위하여 대조군을 글씨쓰기만을 하는 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은 집단으로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년이 올라갈수록 글씨쓰기가 중요한 이유는? 또한 글씨쓰기는 초등학교 수업시간의 30~60% 정도를 차지(Mchale & Cermak, 1992)하며 아동들이 초등학교 입학 후 과제수행을 통해 지식을 얻는 수단으로써 활용된다(Chu, 1997). 학년이 올라갈수록 노트필기,작문, 문장시험의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글씨쓰기는 더욱 중요하다(Reisman, 1993). 글씨쓰기 활동은 손기능, 양손협응, 기민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Choi, 2014) 저학년 아동이 습득해야 할 중요한 기능적 기술이다 (Schneck, 1991).
글씨 쓰기란 무엇인가? 글씨 쓰기는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들을 수행하기 위해 습득하여야 하는 작업 수행과 학문적 기술이며(Weintraub & Graham, 1998), 이후의 학업 성취에 필수적인 능력이다(Graham & Harris, 2000). 또한 글씨쓰기는 초등학교 수업시간의 30~60% 정도를 차지(Mchale & Cermak, 1992)하며 아동들이 초등학교 입학 후 과제수행을 통해 지식을 얻는 수단으로써 활용된다(Chu, 1997).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할 때 순서가 나타내는 말하기교육의 중요성은?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할 때 맨 먼저 단어의 소리를 배우고 난 다음에 단어 말하기를 배우며, 그 후에 읽기를 배우고 마지막으로 쓰기를 배운다(Lee, 2007). 말하기 교육을 등한시 해왔던 학교 현장에서 말하기 교육이 학생들의 말하기를 향상시키는데 의미가 있음을 시사 하며, 동시에 말하기 교육을 시켰을 때 쓰기 능력이 향상 되는 만큼 말하기와 쓰기의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Park, 2010). 소리내어 읽기는 아동들에게 읽기를 배우려는 욕구를 서서히 갖게 하며, 어휘력과 독해력을 증가 시키고 지식의 폭을 넓혀 준다(Glazer, 1981). 소리내어 읽기에 관한 Na(2005)의 연구에서 영어쓰기 능력은 철자 쓰기와 문장쓰기의 향상이 있었으며 쓰기 능력이 신장되었고 아동들은 영어동화 소리내어 읽기를 통해 읽기 능력 뿐 아니라 쓰기 능력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리내어 읽기는 어휘력, 구문이해력, 독해력, 듣기 능력, 읽기태도 및 흥미변화 등 언어학습 영역 전반에 걸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박성훈. (2015). 초등생 20% 읽고 쓰기 '더듬더듬' 갑자기 왜.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101201031227271001 

  2. 박은영. (2010). 말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보전달하는 말하기.쓰기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3. Cho, J. R., & Lee, I. S. (2004). Causal relations among reading ability, reading activ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1), 127-143. 

  4. Choi, H. S. (2014). Study on Effect of Crafts and Hand-writing on Bilateral Coordin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4(2), 63-73. 

  5. Choi, S. H. (2015). A Study on the Writing and Writing Attitude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6. Chu S. (1997).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handwriting difficulties: A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Th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 514-520. 

  7. Donica, D. (2008). An historical journey through the develo pment of handwriting instruction. Journal of Occupat 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3, 32-53. 

  8. Glazer. J. (1981). Reading aloud with young children. In Lamme (Eds.), Learning to love literature(37-46). USA: National council of English. 

  9. Graham, S., & Harris, K. R. (2000). The role of self-regulation, and transcription skills in writing and writing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35, 3-12. 

  10. Ham, B. H., Kim, S. K., Lee, J. S., & Jeon, B. J. (2012).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55-71. 

  11. Hope, K. G., Gary, E. B., & Meghan, L. P. (201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Writing Resources and Interactions in Teaching Environments (WRITE) for preschool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4-46. 

  12. Hwang, H. J., Park, G. R., Jin, H. J., & Kim, K. M. (2014).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Ability of a Preschool Child and Functional Achievement Ability.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2(2), 13-24. 

  13. John, B., & Gail D. H. (2009). Credibly assess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both elementary student and program assessment. Assessing Writing, 14, 25-37. 

  14. Kim, E. J. (2009). The Influence of Reading Aloud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15. Kim, N. Y. (2014). The Effects of Input Enhancement through Teacher Talk on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6. Kim, W. J., Wang, G. C., Kim, D. R., Choi, I. Y., Heo, J. A., Choi, Y. J., & Chang, M. Y.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1), 21-31. 

  17. Ku, J. H. (2011). Professor of early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al A Study on creative Shijo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18. Lee, H. S. (2013).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Enhancing Program on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School underachivers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19. Lee, Y. S. (2007). Neurobiological Study of Reading and Writing.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52, 237-271. 

  20. Mchale, K., & Cermak, S. A. (1992). Fine moto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findings and provisional implications for children with fine motor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 898-903. 

  21. Miller Kuhaneck, H., & Kelleher, J. (2015). Development of the Classroom Sensory Environment Assessment (CSEA).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 1-9. doi:10.5014/ajot.2015.019430 

  22. Min, K. C. (2008). Relationships between handwriting legibility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Na, K. M. (2005). The Effect of English Story Reading Aloud on Students Reading/Writing Ability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4. Park, H. N. (2009). Effects of a Weighted Vest on the Handwriting Activity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Yongin. 

  25. Reisman, J. E. (1993).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version of the Minnesota Handwriting Test.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13, 41-55. 

  26. Schneck, C. M. (1991). Comparison of pencil-grip patterns in first graders with good and poor writing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 701-706. 

  27. Seo, S. M. (2014). The effects of fine motor skills on handwriting legibility i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Cathoric University, Bucheon. 

  28. Shin, J. H. (1999). Effect of Reading-Instructional Strategies on Reading Growth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3, 85-101. 

  29. Shin, M. K., & Park, J. H. (2016). Effects of a Task-Oriented Intervention on Handwriting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ADHD: A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65-74. 

  30. Tseng, M. H., & Chow, S. M. (2000). Perceptual-motor function of school-age children with slow handwritin g spe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 83-88. doi:10.5014/ajot.54.1.83 

  31. Weintraub, N., & Graham, S. (1998). Writing legibly and quickly : A Study of children's ability to adjust their handwriting to meet common classroom demands. Learning Disability Research Practice, 13, 146-152. 

  32. Yu, S. B., Kim, J. J., & Kim, K. M. (2006). The Correlation between Handwriting Skills and Praxis in the Low Grades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4(1),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