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Design of Flipped Learning with Strategic Questioning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Engineering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8 no.2, 2016년, pp.75 - 81  

임경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코리아텍) 메카트로닉스공학부) ,  안정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코리아텍) 온라인평생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과지식에 기반하여 공학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제시하고 있다. 설계한 플립러닝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정규학부 공학교육과정과 재직자 계약학과 공학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적용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평가 의견을 조사하고 학습자 문제해결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이후 수업 설계에서 보다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roposes to design a flipped classroom with strategic questioning to enhance engineering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on the basis of the subject knowledge. By applying the designed flipped classroom to both of college and dual system engineering courses during one s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질문생성 전략을 공학 전공수업에 적용한 플립러닝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과 질문 생성 훈련을 결합한 수업이 공학생의 강의 만족도, 학습태도나 질문 수준의 변화, 문제해결 능력 향상 등을 포함하여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업개선 사항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 특히 난이도 높은 개념이나 이론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분석·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교육목표인 전공 교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Bloom의 Taxonomy[2] 중 「이해」,「적용」, 「분석」 단계에 해당하는 학습과정에서 공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전공적인 사고능력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법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하였고, 실제 수업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의미와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본 플립러닝 사례연구는 교과에 기반하여 학습자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돕는 이론 중심 공학교육 모델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 본 연구는 기계진동학 정규학부 과정과 재직자 대상 계약 학과 과정에 학생들의 질문생성 훈련을 접목한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하였고, 적용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플립러닝 수업의 의미와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질문생성 전략을 공학 전공수업에 적용한 플립러닝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과 질문 생성 훈련을 결합한 수업이 공학생의 강의 만족도, 학습태도나 질문 수준의 변화, 문제해결 능력 향상 등을 포함하여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업개선 사항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 실제 국내외의 많은 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사례와 그 성과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2012년부터 대학 내 전격 지원을 받아 Education 3.
  • 정규학부와 계약학과 각각 전년도와 동일한 학습범위 내에서 유사한 난이도를 가지면서 학습자의 현장문제해결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주관식 문항을 포함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실시하였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학기와 적용하지 않은 학기의 중간과 기말시험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플립러닝 교수법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고로 정규학부와 계약학과는 학습자 수준과 관심도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 학습내용이나 시험 문항의 난이도가 다르게 적용되었기 때문에 두 학습자 그룹 간의 성적 비교는 의미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문제해결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만큼 문제를 발견할 줄 아는 능력이 중요한데 문제발견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 창의적 문제해결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문제를 발견할 줄 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문제발견 능력은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환경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 학습자가 스스로 질문을 생성하도록 하는 교수법이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여러 연구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9,10].
창의적 문제해결이란?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은 정보를 수집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가능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고안해 내어 각각에 대해 평가해 본 후 해결방안을 선택, 수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보화 사회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핵심역량으로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훈련은 공학교육 모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란 Osborn-Parnes의 CPS 모형이나 Treffinger, Isaksen, Dorval이 제안하는 CPS 모형에서 보여주듯이,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종합적 사고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3-5]. 일부 연구들은 CPS 모형을 바탕으로 창의성 증진을 위해 학습자의 발산적·수렴적 사고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고도구와 온라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시하기도 한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 I. Lim, M. Y. Hong, and S. H. Lee, "A study on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4, no. 4, pp. 3-10, June 2011. 

  2. B. S. Bloom, M. D. Engelhart, E. J. Furst, W. H. Hill, and D. R. Krathwohl,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New York, NY: David McKay, 1956. 

  3. S. J. Parnes, Creative behavior workbook, New York, NY: Charles Scribner's Sons, 1967. 

  4. D. J. Treffinger, S. G. Isaksen, and K. B. Dorval,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 Waco, TX: Prufrock Press, 2000. 

  5. C. I. Lim, M. Y. Hong, and T. J. Park,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online-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collegiate course utilizing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 Media, vol. 17, no. 3, pp. 399-422, September 2011. 

  6. C. S. Park, S. H. Park, and S. Y. Jeong, "Research on applicabi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 course in universit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3, no. 1, pp. 23-37, March 2010. 

  7. S. S. Lee and Y. N. Lee, "Development of blended instructional mode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3, no. 2, pp. 135-159, June 2007. 

  8. H. Seo, S. Cho, and H. Kim, "Development of th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fostering creativity and teachers' guide of modules," KEDI Report RR2002-08, 2002. 

  9. M. L. Pate and G. Miller, "Effects of regulatory self questioning on secondary level student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vol. 52, no. 1, pp. 72-84, 2011. 

  10. A. King, "Effects of training in strategic questioning on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3, no. 3, pp. 307-317, September 1991. 

  11. S.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ers' question process, hesitation factor of questions and highorder thinking during college lecture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14. 

  12. C. Woo, Y. J. Yong, and J. Park, "The relationship among hesitation factor of questio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The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320-329, August 2015. 

  13. K. Hong and D. Kim, "A case study of student generation questioning strategy o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4, no. 6, pp. 24-30, November 2011. 

  14. Y. Ahn and S. J. Hwang, "Lesson with students generated questions: Based on a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2, pp. 266-275, May 2015. 

  15. H. S. Yu, H. N. Lim, T. I. Seo, G. S. Shin, J. W. Ko, S. H. Park, and E. Heo,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II)," KEDI Report RR2011-13, 2011. 

  16. B. Tucker, "The flipped classroom," Education Next, vol. 12, no. 1, pp. 82-83, 2012. 

  17. D. Siegle, "Technology differentiating instruction by flipping classroom," Gifted Child Today, vol. 37, no. 1, pp. 51-55, 2015. 

  18. J. Lee, S. H. Park, H. Kang, and S.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ngence, vol. 12, no. 9, pp. 313-323, September 2014. 

  19. T. Lee, "Strategies for using e-learning, MOOC, flipped learning to innovate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 186, pp. 65-71, 2014. 

  20. L. Deslauriars, E. Schelew, and C. Wieman, "Imporved learning in a large-enrollment physics class," Science, vol. 332, pp. 862-864, May 2011. 

  21. M. Kang,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xperiment lesson using on-line pre-learning for improv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8, no. 5, pp. 59-66, September 2015. 

  22. H. Han, C. Lim, S. Han, and J. Park,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1, no. 1, pp. 1-38, 2015. 

  23. B. Kim, "Development of flipped classroom model fo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Journal of Edcuational Research, vol. 12, no. 2, pp. 25-56, June 2014. 

  24. K. Kim, "The direc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paradigm chang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vol. 22, no. 1, pp. 2-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