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생의 질문태도에 따른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에 대한 인식 비교
Perception Comparison of Fostering Learner-generated Questions by the Questioning Attitude of Engineering Undergraduate Learner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2 no.3, 2019년, pp.49 - 58  

정영숙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  성지훈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arn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processe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fostering learner-generated ques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ing attitude of engineering learners. For this, afte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approp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공학교육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 질문 저해요인을 고려하여 ‘공업통계’ 교과목 수업에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을 설계·적용한 후, 학습자의 질문태도에 따라 이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질문 활동의 과정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업통계 수업에서 공학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 질문의 저해요인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 질문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적용하고, 질문 활동의 과정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습자의 질문태도에 따라 학습자 질문 활동 과정에 대한 인식과, 이러한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able 3과 같이 주요 영역과 세부요소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개인별 예습 질문에 대한 답변작성지와 모둠별 질문답변 결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답변 과정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심층적으로 학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업통계 수업에서 공학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 질문의 저해요인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 질문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적용하고, 질문 활동의 과정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특히 질문태도의 적극성 정도에 따라 학습자를 질문 부재집단, 소극집단, 적극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을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사항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요한 시사점이 도출된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자에게 진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증대시키고, 학습자에게는 많은 학습량과 준비도를 요구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공학교육은 다른 학문과 비교하여 최신성, 첨단성, 혁신성이 중요하므로(권성호 외, 2008; Fry et al., 2006), 기존의 내용과 함께 지식 기반이 계속 확장되어 교육과정이 지속적으로 과부화되고 있다(Fry et al., 2006).
공학교육의 특징은? 공학교육의 주요 특징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난이도의 지식, 수학에 대한 높은 준비도 요구, 교육과정의 과부화, 대학 외부의 공학교육 전문가 단체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Fry et al., 2006).
공학교육은 학문적 특성을 갖는데 그것은 무엇인가? 공학교육은 학문적 특성상 추상적인 개념과 이론을 주로 강의를 통해 설명하여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50명 이상의 대규모 강좌에서는 설명식 강의가 국내외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업 방식이다(Jesus & Moreira, 2009; Jin & Shi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성호.신동욱.강경희(2008). 해외 공학교육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공학교육연구, 11(3), 12-23. 

  2. 김수란(2014).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저해요인 척도 타당화 연구. 열린교육연구, 22(3), 249-271. 

  3. 김수란.송인섭(2014). 대학 수업에서 질문저해요인과 실제 질문과의 관계에서 교수자 긍정적 지지의 조절효과. 교육방법연구, 27(2), 195-210. 

  4. 류지헌.조형정.윤수정(2007). 학습자 질문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탐색. 교육연구, 30, 109-129. 

  5. 양미경(2013).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교육과학사. 

  6. 우정희.유재용.박주영(2015). 대학생의 질문수준,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2), 335-346. 

  7. 이희원(2018). CDIO 기준과 한국 공학교육 인증기준의 비교. 공학교육연구, 21(3), 3-11. 

  8. 임경화.안정현(2016).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 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75-81. 

  9. 임지영.김세용(2019). 공학교육에서 교수 으뜸원리를 적용한 플립러닝 모델 및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1), 39-47. 

  10. 정영숙.성지훈(2018). 대학 강의식 수업에서 질문 작성 중심의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에 대한 교육적 효과 인식. 교육문제연구, 31(2), 145-173. 

  11. 최경희(2004).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질문 노트 활용. 현대영어교육, 5(1), 184-205. 

  12. 한국교육개발원(2010).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 RR 2010-17 연구보고. 

  13. 홍경선(2012). 설계기반연구방법을 적용한 학생생성 질문촉진 수업모형 개발 연구. 지역발전연구, 11(2), 215-245. 

  14. 홍경선.김동익(2011). 공학교육에서 학생 생성 질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수업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4(6), 24-30. 

  15. 황청일.임호용(2011).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과정과 저해 요인 탐색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3), 55-74. 

  16. Christie, M., & Graaff, E.(2017). The philosophical and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42(1), 5-16. 

  17. Dillon, J. T.(1990). The Practice of questioning, New York: Routledge. 

  18. Fry, H., Ketteridge, S., & Marshall, S. (eds.)(2006). 대학의 최신 교수-학습 방법(2nd Ed.).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공역. 서울: 학지사. 

  19. Graesser, A. C., & Olde, B. A.(2003). How does one know whether person understands a device? the quality of the questions the person asks when the device breaks dow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3), 524-536. 

  20. Graesser, A. C., & Person, N. K.(1994). Question asking during tutor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1), 104-137. 

  21. Jesus, H., & Moreira, A.(2009). The role of students' questions in aligning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a case study from undergraduate sciences.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4(2), 193-208. 

  22. Jin, S., & Shin, S.(2012). The effect of teacher feedback to students' question-asking in large-sized engineering classes: a perspective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21(3), 497-506. 

  23. Meij, H. V. D.(1994). Student questioning: a componential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2), 137-161. 

  24. Pedrosa de Jesus, H. et al.(2007). Where learners' questions meet modes of teaching: a study of cases. Research in Education, 78,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