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자녀 양육 조모의 양육부담감에 따른 심리적 복지-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Child-Rearing Burd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er Grandchildren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4, 2016년, pp.45 - 59  

신효식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선정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면서 맞벌이 가정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249명을 대상으로 하여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부담감은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사회적복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쳐, 양육부담감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부담감은 심리적 복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련성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burd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grandmothers. Data was collected from 249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er grandchildren who live in Gwangju by self-reported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2007)과 Lee(2007)는 노년기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힘이 된다고 하였으므로, 사회적 지지는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들이 경험하게 되는 양육부담감이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대한 중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직・간접경로를 사회적 지지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밝히고, 심리적 복지와 양육부담감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조모들의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저출산・고령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등사회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부모 역할을 경험하게 되는 생애전환기 여성의 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을 설정해 줄 것이며, 중등학교 가정교과에서 가족의 이해(변화하는 가족과 건강 가정, 가족 관계와 의사소통) 및 진로와 생애설계(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 복지 서비스) 영역을 지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손자녀 양육 관련 연구들의 경우도 자녀의 이혼이나 별거 등에 의해 손자녀를 전담해야 하는 조손 가족을 중심으로 실시된 연구(Heywood, 2002; Pruchno &Mckenney, 2002; Baker & Silverstein, 2005; Bae, 2007; Chu, 2007; Kim, 2007; Nam, 2008; Kim, Kim, & Jung, 2008; Lee, 2008; Lee & Kim, 2011; Song & Lee, 2011)가 대부분이고, 자녀의 취업을 이유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에 대한 연구(Kim, 2001; Oh, 2007; Kim, 2011; Kim, 2012)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맞벌이 가정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에 따른 심리적 복지를 연구하는 것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를 중재하는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일들이 개인의 안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해 줌으로써 부담감을 줄이고 안녕감을 높이는 기능이 있어(Kwon, 2000), 노년층의 삶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 본 연구는 맞벌이를 하는 성인자녀를 대신하여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 사회적 지지, 심리적 복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조모의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련성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조모의 심리적 복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선정을 위한 표본 설정에 있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조부모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지원양육 조부모에 대한 내용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양육 역할에 따른 부담으로 인해 사회적 자원이 고갈되어 심리적 복지 수준이 낮아지거나,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개인이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함으로써 심리적 복지를 낮게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를 대상으로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대상을 달리한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우선, 여성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경로를 규명한 Kim(2008)의 연구는 생활스트레스가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낮추었지만, 사회적 지지가 생활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켜 우울을 낮추고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간접 경로과정을 가진다고 하면서 사회적 지지가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대처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고, 생활스트레스라는 부정적 요인으로부터 여성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그러나 맞벌이 가정 영유아 손자녀 양육조모의 삶의 만족도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Kim and Chung(2011)의 연구에서는 손자녀 양육에 따르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조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힌 연구는 부족하고, 연구대상을 달리한 다수의 연구들에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하는 자녀를 대신하여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들을 대상으로 양육부담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부담감과 심리적 복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가?
  •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정 방식을 사용하였다. 측정변인의 정규 분포 가정은 왜도와 첨도를 통해 위반여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서 χ², χ²/df값, CFI, GFI, TLI, RMR, RMSEA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부모가 비자발적으로 손자녀의 양육자가 됨으로써 받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혈연 중심가족문화 특성에 기인하여 손자녀의 양육책임감을 강하게 갖는 편이다. 즉 평온한 노후를 꾸려야 할 노년기에 자신의 기대와 달리 비자발적으로 손자녀의 양육자가 되면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는 양육수행으로 인하여 몸이 피로하고 자신의 건강을 돌볼 여유가 없거나 훈육의 어려움, 외출하기 힘들어져 고립되는 점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겪는다(Kim, 2001). 또한 자신을 위한 시간 부족, 다음 손자녀도 돌봐주어야 한다는 부담감, 배우자 및 자녀와의 갈등, 경제적 부담과 같은 심리적 스트 레스와 점점 나빠지는 건강, 가사일과 육아에 대한 이중고와 같은 신체적 스트레스 등 손자녀 양육과 관련된 다양한 부정적 경험을 하게 된다(Kim, 2007; Kim & Seo, 2007; Kim, 2009; Jo, 2012).
우리나라의 경우 손자녀 양육은 어떠한 원인으로 나누어지는가? 이처럼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영유아기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삶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손자녀 양육은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는 이혼, 사망, 가출, 별거와 같은 가족안정성의 약화로 인한 가족해체이고, 둘째는 취업한 성인자녀 부부를 돕기 위한 것이다(Lee & Han, 2008). 손자녀 양육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경우, 2000년 이전까지는 주로 가족해체나 폭력 등의 문제를 겪는 부모를 대신해 손자를 양육하는 조손가족 내 ‘대리부모’로서의 조부모 역할에 한정되었다가 2000년 이후 맞벌이를 하는 성인자녀를 대신해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에 대한 연구들이 상당수 이루어지고 있다(Kwon, 2015).
조부모에게 양육자로서의 역할은 어떠한 경험이 될 수 있는가? 조부모에게 양육자로서의 역할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감소하게 되는 사회활동을 손자녀 양육으로 대체하게 함으로써 삶의 무의미함 대신 삶의 만족을 느끼게 해준다(Hong, 2004). 특히,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은 부모기에 몰랐던 양육의 기쁨과 혈육에 대한 사랑, 노부부 사이의 윤활유, 부모-자식 간 연결 고리가 되어주는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다(Kim, 2012). 또한 조부모는 손자녀에게 자신이 일생동안 쌓아온 지혜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고, 삶의 의미를 찾게 되면서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Lee, 2008). 손주를 돌보면서 자연스럽게 인생의 경험과 지혜가 대물림될 수도 있고, 노인의 정서적 고립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족공동체 회복이라는 의미도 지닌다(Kwon, 2015). 조모들이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긍정적인 경험들은 노년기에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강점으로 작용하여 조모들의 안녕감을 증진하는데 기여하기도 한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Bae, J. H. (2007).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parenting grandparents and co-parenting grandparents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Social Welfare Policy, 29, 67-94. 

  2. Baek, K. S. (2006). A stud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 Baker, L. A., & Silverstein, M. (2005). Depression symptoms among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multiple roles.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6(3), 285-304 

  4. Chae, H. R. (2010). A study on rearing burden and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who raising up their grand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 Y. J. (2006). Grandchildren caregivers'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3), 1-21. 

  6. Choi, H. K. (2002). Depression in low incom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3), 227-222. 

  7. Choi, I. H. (2014). The impact of grandparenting on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effects of grandmothers' willingness to care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grandparenting. Family and Culture, 26(4), 118-138. 

  8. Chu, O. N. (2007). A study for child-care aspects of a grandparents-child family - based o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9. Dowdell, E. B., & Sherwen, L. (1998).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 cross-generational challenge to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4(5), 8-13. 

  10. Goodfellow, J. (2003). Grandparents as regular care providers: Unrecognised, undervalued and under-resourced.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28(3), 7-18. 

  11. Han, S. S. (2008).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organized family and disorganized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12. Heywood, E. M. (2002).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 exploration of their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Virginia, USA. 

  13. Hong, S. H. (2004).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who bring up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Jeong, J. H. (2012). The effect of parenting environment and parenting burden in mot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5. Jo, M. H. (2012). A study on the comparison awareness of proxy bringing-up by grandmother between working mothers and grand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16. Jo, M. J. (2008). Influences caused by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in low incom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social supports to child abuse : Based on the visitors to social community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Jung, S. M. (2002). A study of mother's parenting burden and desire of mental retardation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8. Kang, Y. J. (2011).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4(1), 73-97. 

  19. Kelley, S. J., Whitley, D. M., Sipe, T. A., & Yorker, B. C. (2000). Psychological distress in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 The role of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Child Abuse and Neglect, 24(3), 311-321. 

  20. Kim, E. J., & Chung, S. D. (2011). Life satisfaction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aregiving rewards,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4, 285-310 

  21. Kim, E. J., & Seo, Y. H. (2007).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2), 175-192. 

  22. Kim, E. J. (2011). A study on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 at double income households and working mother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Kim, H. G., Jae, K. S., Kong, I. S., & Noh, J. H. (2015). Childcare center and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1), 1-22. 

  24. Kim, H. S. (2005). A study on the emotional distress of low income custodial grandparent raising grandchildren in country and ci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8, 341-378. 

  25. Kim, J. A. (2007). A study on how social supports impact senior citizens' feeling of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6. Kim, J. Y. (2008). Effect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elderly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27. Kim, M. H., & Kim, H. S. (200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in low incom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4(3), 153-170. 

  28. Kim, M. J.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fe satisfaction in grandmothers parenting grand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9. Kim, M. Y. (2001).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O. N. (2007). Caregiving burden and rewards for th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6, 59-84. 

  31. Kim, S. Y., & Jeong, M. K. (2006). A study on working mothers' and grandmothers' perceptions of childcar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5), 67-96. 

  32. Kim, S. Y. (2015).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3. Kim, Y. H. (2004). Gender-role attitud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arried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34. Kim, Y. H. (2012). The story of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in inf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35. Kim, Y. M., Kim, M. H., & Jung, Y. J. (2008).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about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custodial grandpar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8, 123-163. 

  36. Ko, J. S.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burde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others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7.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0). 한국아동패널 2009 기초분석보고서. 

  38. Kwon, E. B. (2015). Perceptions and supporting decisions about grandparenting of grandmother in transition: A qualitative study using FG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9. Kwon, I.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6(2), 212-223. 

  40. Lee, D. G. (2007).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41. Lee, E. J. (2007). The research on th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the old : focused mainly on the old living in c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42. Lee, J. E. (2012). Study on effect to psychological adaptation (happiness, depression) by percep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yeongNam, Korea. 

  43. Lee, J. W., & Han, G. H. (2008). Intergenerational triads of grandparent-headed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ustodial grandmothers in rural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1), 177-196. 

  44. Lee, M. Y. (2008). Mediation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 as a caregiver fami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45. Lee, S. A. (2014).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6. Lee, S. J. (2005). Life activity patter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men retire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7. Lee, S.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thers of the child with the disability :Testing a mediating model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8. Lee, S. J. (2008). The burdens and the welfare demands of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ies in rural area and the welfare policies for th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49. Lee, Y. S. (2008). A study about grandparents' role portrayed in picture 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50. Lee, Y. W., & Kim, D. K. (2011). A study on relation between grandparent parenting stress and grandchildren depression, and mediation effect of the grandparent parenting attitude: Testing a developmental stages. Journal of Youth Welfare, 13(2), 1-22. 

  51. Lim, E. K.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other with handicapped children: focusing on the personality, support, cop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2. Lyubomirsky, S. (2001). Why are some people happier than others? The rol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processes in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6(3), 239-249. 

  53. Mandleco, B., Roper, S. O., & Dyches, T. (2007). Depression and caregiving burden in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municating Nursing Research, 40, 504. 

  5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55. Musil, C. M. (1998). Health,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in grandmother caregiver. Health Care for Woman International, 19, 441-454. 

  56. Nam, H. J. (2008).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tres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Korea. 

  57. Oh, J. A. (2007). A structural model on the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3(2), 201-211. 

  58. Ohem, M. S., & Chun, D. I. (2006). A study on caregiving burdens and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ocial Welfare Review, 11, 75-108. 

  59. Park, A. 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4(1), 225-247. 

  60. Park, H. J. (2013).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eld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yeongGi, Korea. 

  61. Park, J. M. (2011).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atents of preschooler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on nurturing attitude, nurturing burden and family streng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62. Park, J. Y. (2011).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single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63. Pruchno, R., & Mckenney, D.(2002). Psychological well-being of black and whit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Examination of a two-factor model.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ervice, 59B(1), 444-452. 

  64. Seo, J. E. (2011). A study on grandparent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with focus on their parenting burden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65. Song, J. J. (2015). (개정 증보판)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66. Song, J. Y. (2012).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ungBuk, Korea. 

  67. Song, Y. M., & Lee, S. J. (2011).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795-811. 

  68. Statistic Korea (2016).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tatistic Korea. 

  69. Statistic Korea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70. Whang, S. Y.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welfare service and leisure activity service for the aged at home o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gin University, GyeongGi, Korea. 

  71. Xiong, N., Yang, L., Yu, Y., Hou, J., Li, J., Li, Y., Liu, H., Zhang, Y., & Jiao, Z. (2011). Investigation of raising burden of children with autism, physical disability and mental disability in china.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1), 306-311. 

  72. Yang, S. J. (2009).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y-care grand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3. Yang, S. J., Chung, K. M., & Kim, W. K. (2008).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y-care grand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3(4), 415-432. 

  74. Yu, H. M. (2009).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5. Yun, S. H. (2005). The factors relevant to grandmothers' parenting stress in a grandparents-headed househo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76. Zarit, S. H., Reever, K. E., & Bach-Peterson, J. B.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6), 649-6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