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oodgrab을 이용한 단목집재와 가선집재방식에 의한 전목집재의 경제적 효율성 비교분석
Analyzing the Comparative Economic Efficiency of Short-wood Woodgrab Logging and Whole-tree Cable Logging Operation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2, 2016년, pp.231 - 237  

설아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윤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혜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주상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벌채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이 생산성 및 수익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인가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Woodgrab 목재수확방법의 생산성 및 수익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Swing yarder와 Tower yarder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낙엽송 임분에 대한 작업기종별 조재지침을 적용하여 각 기종별 수확작업과정에 따른 작업비용과 등급별 원목매각 순수익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Woodgrab을 이용한 단목집재작업은 Swing yarder 혹은 Tower yarder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에 비해 생산성이나 생산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반면 원목생산의 수익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Woodgrab에 의한 목재생산작업을 하는 경우 생산비가 절감되는 대신 시장가격이 낮은 펄프, 보드류 혹은 톱밥 등의 원료재로 사용되는 단목을 주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Woodgrab short-wood logging method, most widely used logging method in Korea, is more favorable than other logging method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For the comparative purposes, whole-tree logging methods with cable yar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과 Swing yarder 및 Tower yarder를 이용한 전목집재작업의 생산성에 따른 원목생산 비용단가 및 원목매각에 의한 순수익을 비교함으로써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이 Swing yarder나 Tower yarder와 같은 가선집재를 이용한 전목집재작업에 비해 수익성 관점에서도 유리한 것인지 시뮬레이션기법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판단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과 Swing yarder 및 Tower yarder를 이용한 전목집재작업의 원목생산 비용 및 원목매각 수입에 따른 순수익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가 Table 10에 나타나 있다. 이 표는 Table 7의 산지에서 생산된 각 등급별 원목이 시장으로 전량 반출된 후, Table 9(KFPI, 2014)의 시장 도착가에서 Table 8의 벌채비용과 토장에서 시장까지의 운재비용(본 연구에서 트럭운재 단가는 일률적으로 20,000원/m3을 적용)을 공제한 기종별·집재방식별 원목 매각 순수익을 산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가설 설정

  • 첫째, 조재기준은 전목집재의 경우 토장(landing)에서 가장 고급재에 속하는 특등급 (superior)부터 저가의 원료재급 혹은 펄프재까지 상위등급 우선 조재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둘째,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의 경우, 벌도목의 하단부터 2.1 m 씩 일률적인 조재를 가정하였다. 이 경우 Table 2의 원목 등급기준 재장기준에 따라 특등급, III 등급 및 원료재급의 원목 생산이 가능하다.
  • 시뮬레이션을 위한 조건으로서는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의 경우, 체인톱으로 임목을 벌도 및 조재작업을 한 후, Woodgrab을 이용하여 집재와 토장에서의 원목쌓기작업을 수행한다. 반면 가선집재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의 경우, 체인톱으로 벌도를 한 후, 벌도목을 전목상태로 토장까지 스윙야더 및 타워야더에 의해 집재한 후에 작업이 유리한 토장에서 체인톱으로 조재작업을 진행하면서 Woodgrab으로 쌓는 작업을 시행하되, 집재작업과정에 별도의 소운반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임도나 작업로에 연속토장 (continuous landings)을 설치하되, 별도의 소운반 과정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다만, Woodgrab을 이용한 단목 집재작업의 경우에는 하향집재에 의한 집재거리의 한계로 인해 임도변의 토장까지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oodgrab 집재방식이 우리나라 기계화 벌채현장에서 가장 선호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관점에서 우리나라 기계화 벌채현장에서 가장 선호되는 Woodgrab을 이용한 집재방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집재방식은 임업기계화가 답보된 국내 현실에서 볼 때 작업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고, 쉽게 적용이 가능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즉, 건설용 중장비 활용에 익숙한 기술자가 많은 국내 여건상 소형 굴삭기에 배토판 (blade) 및 유압식 집게(grapple)을 부착하여 단목으로 조재된 통나무를 밀거나 집어 던져서 집재하는 방식이 가선집재나 지상집재와 같은 기술축적이 비교적 미진했던 국내 현실에서 가장 유리한 선택이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Woodgrab 작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에 따른 환경적 피해나 작업의 안전성에 관한 우려에 대해서는 이미 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다. FTTC (2003), Lee and Park(2006), Kim and Park(2013) 등이 지적한 바와 같이, 급경사지에서 Woodgrab 작업을 위해 야기되는 무분별한 작업로 개설과 임내 주행 등에 의한 심각한 임지 훼손 및 사고의 위험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다.
원목 등급에 따른 시장동향을 고려할 때,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의 한계는 무엇인가? 2014년 한국임업진흥원(KFPI)에서 발표한 국산재 원목 시장가격에 의하면 원목 등급의 시장가격 동향은 원목 등급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원목 등급에 따른 시장동향을 고려할 때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은 집재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는 있지만, 대신 조재 공간의 작업여건이나 단목조재에 따른 원목개수의 증가로 인해 조재작업과 원목분류 및 층적쌓기 등 반복작업의 횟수가 늘어나 결국 후속작업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목조재방식의 한계로 인해 전목집재 혹은 전간집재에서 가능한 고품질 원목 생산이 제한되어 이로 인한 불이익이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FTTC (Forestry Technical Training Center). 2003. Analysis of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imber harvesting model. Seoul: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 Kim, M.K. and Park, S.J. 2013. Analysis of the operational cost in the whole-tree and cut-to-length logging oper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29-238. 

  3.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KFPI). 2014. The 2013 Fall Domestic Timber Market Price Trends. pp. 92. 

  4. Kozak, A. 1988. A variable-exponent taper equation. Canadian J. of Forest Research 18: 1363-1368. 

  5. Kwon, K., Han, H., Seol, A., Chung, H., and Chung J. 2013. Development of a wood recovery estimation model for the tree conversion processes of Larix kaempfe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484-490. 

  6. Lee, G.T. and Park, S.J. 2006. Analysis of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imber harvesting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4(1): 31-56. 

  7. Park, S.J. and Lee, G.T. 2004. An analysis of timber harvesting by the log grapple of an excavator. Journal of Korea Society Forest Engineering Technology 2(2): 164-176. 

  8. Son, Y.M., Lee, K.H., Kwon, S.D., Pyo, J.K., Im, S.S., and Youn, H.J. 2012. Timber volume.biomass & yield table. Korea Forest Service. pp. 2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