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돼지 분뇨의 냄새에 미생물 첨가 및 분뇨 배양온도가 미치는 효과
Effects Microbial Addi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s on Odor of Pig Manure as Fertilizer on Grass and Crop Fields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6 no.2, 2016년, pp.129 - 134  

황옥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성권 (세종대학교 식품공학부) ,  한덕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상룡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성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지 및 농경지에 비료로 살포되는 돼지 분뇨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면 가축 분뇨의 이용 및 냄새 민원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감소하기 위하여 냄새 저감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 3종을 분뇨에 살포한 후 봄 가을($20^{\circ}C$) 및 여름($35^{\circ}C$)에 해당되는 온도에서 2주간 배양한 다음 냄새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분뇨를 $2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인돌류와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가 광합성균 처리구에서 낮았다(p<0.05). 분뇨를 $3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는 냄새물질의 농도가 미생물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돼지 분뇨의 배양온도가 $20^{\circ}C$에서 $35^{\circ}C$로 상승되었을 때 냄새물질의 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봄 가을($20^{\circ}C$)에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저감하기 위한 냄새저감 미생물로 광합성균을 이용할 수 있고, 여름 ($35^{\circ}C$)에는 분뇨에 첨가한 미생물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다른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돼지 분뇨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이는 것은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가축 분뇨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고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dor in pig manure affects the distribution of the manure over grass and crop fields as fertiliz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icrobes (Saccharomyces cerevisiae, Bacillus subtilis and Rodobacter capsulata) and incubation temperatures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축 분뇨 발생량 중 90%는 퇴․액비로생산하여 이용되고 있는데(MAFRA, 2015), 돼지 분뇨에서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발생되면 비료로 이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냄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돼지 분뇨에 미생물 3종을 첨가한 후 2수준의 온도 조건에서 2주간 배양한 다음 냄새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여 미생물에 의한 냄새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이로 인해, 농경지와 인접한 마을이나 주변의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냄새 민원이 발생된다. 가축 분뇨 살포에 의한 냄새는 특히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심하게 발생된다. 외부 온도는 가축 분뇨 내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 유기물 농도 및 냄새물질 생성에 영향을 준다(Lovanh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 분뇨에 대해 외부 온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축 분뇨 살포에 의한 냄새는 특히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심하게 발생된다. 외부 온도는 가축 분뇨 내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 유기물 농도 및 냄새물질 생성에 영향을 준다(Lovanh et al., 2009).
가축 분뇨 내 불쾌도가 높은 주요 냄새물질은 무엇인가? , 2005; Verdoes and Ogink, 1997). 냄새물질은 200종 이상의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중 불쾌도가 높은 주요한 냄새 물질은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지방산, 페놀류 및 인돌류이다 (Trabue et al., 2011).
돼지 분뇨에서 냄새물질 중 냄새 감지 최소농도가 높아 냄새강도에 미치는 정도가 미약한 휘발성 지방산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 2013). 그러나 휘발성지방산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은 냄새감지 최소농도가 높기 때문에 냄새강도에 미치는 정도가 미약하다 (Spiehs and Varel, 2009). 가축 분뇨 발생량 중 90%는 퇴․액비로생산하여 이용되고 있는데(MAFRA, 2015), 돼지 분뇨에서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발생되면 비료로 이용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o, Y.S., Schmidt, T.M., Zahn, J.A., Boyd, E.S., Mora, A. and DiSpirito, A.A. 2003. Role of Rhodobacter sp. strain PS9, a purple non-sulfur photosynthetic bacterium isolated from an anaerobic swine waste lagoon, in odor remediatio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1710-1720. 

  2.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1955. Biometrics. 11(1):1-42. 

  3. Egeraat van, A.W. S.M. 1998. EM1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Microorganisms in EM1 (in Dutch). Landnouwuniversiteit Wageningen, Wageningen. 

  4. Le, P.D., Aarnink, A.J., Ogink, N.W., Becker, P.M. and Verstegen, M.W. 2005. Odour from animal production facilities: its relationship to diet. Nutrition Research Review. 18(1):3-30. 

  5. Lovanh, N., Loughrin, L.H., Cook, K., Rothrock, M. and Sistani, K. 2009. The effect of stratification and seasonal variability on the profile of an anaerobic swine waste treatment lagoon. Bioresource Technology. 100:3706-3712. 

  6. MAFRA. 20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nual report 2015. Ministry of Agriculture Feed and Rural Affairs, Korea. 

  7. NIAS. 2012. Korean feeding standard, Swin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8. Parker, D.B., Gilley, J., Woodbury, B., Kim, K.H., Galvin, G. and Bartelt-Hunt, S.L. 2013. Odorous VOC emission following land application of swine manure slurry. Atomosperic Environment. 66:91-100. 

  9. Popovic, O. and Jensen, L.S. 2012. Storage temperature affects distribution of carbon, VFA, ammonia, Phosphorus, copper and zinc in raw pig slurry and its separated liquid fraction. Water Research. 46:3849-3858. 

  10. SAS. 2002. SAS/STAT software,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1. Sharma, N., Doerner, K.C., Alok, P.C. and Choudhary, M. 2014. Skatole remediation potential of Rhodopseudomonas palustris WKU-KDNS3 isolated from an animal waste lagoon.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60(3):298-306. 

  12. Smits, M.C.J., Valk, H., Elzing, A. and Keen, A. 1995. Effect of protein nutrition on ammonia emission from a cubicle house for dairy cattle.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44(2):147-156. 

  13. Spiehs, M.J. and Varel, V.H. 2009. Nutrient excretion and odorant production in manure from cattle fed corn wet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Journal of Animal Science. 87:2977-2984. 

  14. Spoelstra, S.F. 1977. Simple phenols and indoles in anaerobically stored piggery waste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8(5):415-423. 

  15. Trabue, S., Kerr, B., Bearson, B. and Ziemer, C. 2011. Swine odor analyzed by odor panels and chemical technique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40(5):1510-1520. 

  16. Van der Stelt, B., Temminghoff, E.J.M., Van Vliet, P.C.J. and Van Riemsdijk, W.H. 2007. Volatilization of ammonia from manure as affected by manure additives, temperature and mixing. Bioresource and Technology. 98:3449-3455. 

  17. Verdoes, N. and Ogink, N.W.M. 1997. Odour emission from pig houses with low emission-In "Ammonia and odour control from production facilities". Vinkeloord, the Netherlands. p 6-10. 

  18. Watanabe, K., Miyashita, M. and Harayama, S. 2000. Starvation improves survival of bacteria introduced into activated sludge. Applied Environment Microbiology. 66:3905-3910. 

  19. Zahn, J.A., Hatfield, J.L., Laird, D.A., Hart, T.T., Do, Y.S. and KiSpirito, A. A. 2001.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swine manure management systems bassed on effluent and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0:635-647. 

  20. Zhu, J., Ndegwa, P.M. and Luo, A. 2001. Effect of solid-liquid separation on BOD and VFA in swine manure. Environmental Technology. 22:1237-1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