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촉매공정과 필터를 이용한 흡연부스 공기정화연구
Air Purification of Smoking Booth Using Photocatalytic Process and Air Filt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4, 2016년, pp.433 - 438  

김태영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영태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용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O, HCHO, $CH_3CHO$, PM10, PM2.5 등의 담배연기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의 농도를 지표로 광촉매와 필터로 구성된 공기정화장치를 부착한 흡연부스 내의 공기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광촉매에서 발생되는 OH 라디칼과 담배연기 내 가스상 유해물질들과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을 주사하였다. 공기정화장치와 필터를 활용한 흡연부스의 실험 결과, 시스템 가동 전보다 가스상 오염물질은 포름알데히드 포함 최대 85.2% 향상된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처리 후의 미세먼지는 최대 89.4% 향상된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air quality of the smoking booth equipped with the air pur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photocatalysts and air filter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of tobacco smoke such as CO, HCHO, $CH_3CHO$, PM10 and PM2.5. To enhance the r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기 정화에 사용된 광촉매 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합금 종류와 조성비를 상세히 알아보고자 아래와 같은 기기분석을 시행하였다.
  • 따라서 산업현장 악취 성분들, 즉 무기가스류와 VOC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TiO2 광촉매 이용 공기 정화를 현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흡연부스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ETS 내 다량 포함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미세먼지 등의 제거효율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TS란 무엇인가? ETS는 궐련, 담배, 시가, 파이프 담배의 끝부분이 탈 때 발생하는 비주류 연기(side-stream smoke, SS)와 흡연자의 폐를 거쳐 발생되는 주류 연기(main-stream smoke, MS)의 혼합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ETS 의 대부분을 비주류 연기가 차지하고 있다[1]. ETS는 1992년 미국 연방환경청(EPA)에 의해 발암물질로 분류되었다[2].
흡연실 설치 관련 규정에 따르면 흡연실 설치 조건은 어떠한가? 이로 인해 흡연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장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흡연실 설치 관련 규정에 따르면 간접흡연을 예방하기 위해 가급적 옥상에 설치하거나 각 시설의 출입구로부터 10 m 이상의 거리에 설치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건물 내에 흡연실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흡연실 설치와 관련 된 법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대부분의 흡연실은 별도의 공기 정화 없이 담배 연기를 환기⋅배출하고 있다.
흡연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장이 늘어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2014년 국민건강증진법에 의해 100 m2 이상의 사업장이 금연구역으로 규정한 이후 2015년 개정됨에 따라 사업장 면적에 관계없이 모든 사업장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로 인해 흡연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장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M. Lim and J. H. Lee, Indoor air quality pollution of PM2.5 and associated trace elements affected by environmental tobacco smoke, J. Korean Soc. Environ. Eng., 36(5), 317-324 (2014). 

  2.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EPA/600/ 6-90/006F, Washington: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fice of Air and Radiation, USA (1992). 

  3. J. M. Lim, J. H. Jeong, J. H. Lee, J. H. Moon, Y. S. Chung, and K. H. Kim, The analysis of PM2.5 and associated elements and their indoor/outdoor pollution status in an urban area, Indoor Air, 21, 145-155 (2011). 

  4. R. W. Boubel, D. L. Fox, D. B. Turner, and A. C. Stern, Fundamentals of Air Pollution, 3rd ed., 203-206,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1994). 

  5. Y. H. Yoon, J. C. Joo, H. S. Ahn, and S. H. Nam, Analyses of the current market trend and research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to develop an electrostatic force-based dust control technique, J. Korea Acad. Ind. Coop. Soc., 14(12), 6610-6617 (2013). 

  6. J. S. Park, C. H. Kim, J. J. Lee, J. H. Kim, U. H. Hwang, and S. D. Kim, Astudy on the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particle matter in seoul, J. Kor. Soc. Urban Eng., 10(3), 293-303 (2010). 

  7. National Research Council, Environmental Tobacco Smoke: Measuring Exposures and Assessing Health Effect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1986). 

  8. W. Ott, P. Switzer, and J. Robinson, Particle concentrations inside a tavern before and after prohibition of smoking: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indoor air quality model, J. Air Waste Manag., 46(12), 1120-1134 (1996). 

  9. L. Wallace, Indoor particles: a review, J. Air Waste Manag., 46(2), 98-126 (1996). 

  10. K. Slezakova, M. C. Pereira, and M. C. Alvim-Ferraz, Influence of tobacco smoke on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indoor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Atmos. Environ., 43(3), 486-493 (2009). 

  11. A. Bohlandt, R. Schierl, J. Diemer, C. Koch, G. Bolte, M. Kiranoglu, H. Fromme, and D. Nowak, High concentrations of cadmium, cerium and lanthanum in indoor air du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Sci. Total. Environ., 414, 738-741 (2012). 

  12. T. Y. Jeon and J. Y. Kim, Removing Malodor Using Photocatalyst and Infrared, J. Kor. Soc. Environ. Eng., 36(8), 528-533 (2014). 

  13. A. Wol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itanium dioxide ( $TiO_2$ ). Chem. Mater., 5(3), 280-293 (1993). 

  14. A. Fujishima, T. N. Rao, and D. A. Tryk,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is, J. Photochem. Photobiol. C., 1(1), 1-21 (2000). 

  15. R. W. Matthews, Hydroxylation reactions induced by near-ultraviolet photolysis of aqueous titanium dioxide suspensions. J. Chem. Soc., Faraday Trans. 1., 80(2), 457-471 (1984). 

  16. M. R. Hoffmann, S. T. Martin, W. Choi, and D. W. Bahnemann,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Semiconductor photocatalysis, Chem. Rev., 95(1), 69-96 (1995). 

  17. G. Kleiser and F. H. Frimmel, Removal of precursors for disinfection by-products (DBPs)-differences between ozone-and OHradical-induced oxidation. Sci. Total Environ., 256(1), 1-9 (2000). 

  18. W. Y. Choi, Studies on $TiO_2$ Photocatalytic Reactions, J. Korean Ind. Eng. Chem., 14(8), 1011-1022 (2003). 

  19. K. C. Jung and S. C. Hong, A study on removal of VOC and odor using ozone in photocatalytic reaction system. J. Korean Ind. Eng. Chem., 14(5), 671-679 (2003). 

  20. W. H. Glaze, W. W. Eckenfelder, A. R. Bowers, and J. A. Roth, Chemical Oxidation: Technologies for the Nineties, 3rd ed., 1, Technomic Publishing, Lancaster, USA (1993). 

  21. J. H. Park, A study o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Noxious Gases in Indoor Using $TiO_2$ Photocatalys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010). 

  22. Y. J. Lee, Degradation of Formaldehyde in Indoor Air by $TiO_2$ /UV,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0). 

  23. G. H. Kim, Photocatalytic Degration of Formaldehyde Using $TiO_2$ Film Manufactured by CFBCVD, Master's Thesis, Sunchon University, Sunchon, Korea (2007). 

  24. R. A. Aziz and I. Sopyan,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acetaldehyde gas on $TiO_2$ film, Indian J. Chem. Technol., 20, 137-14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