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용 TiO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의 유해물질 제거효율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Substances in Side-stream Tobacco Smoke by the Doping Components of Commercial TiO2 Photocatalyst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5, 2017년, pp.565 - 570  

김태영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영태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문기학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용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흡연으로 발생되는 담배연기는 주류 연기와 비주류 연기로 구분된다. 담배연기 중 실내로 확산되는 연기의 대부분은 비주류 연기이며, 비주류 연기의 유해물질 농도는 주류 연기의 농도보다 2~3배 높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 내의 CO, $H_2S$, $NH_3$, HCHO의 제거 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CO가 최대 78.37% 제거되었으며, $TiO_2$ 광촉매 공정이 CO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 $H_2S$, HCHO의 제거에 있어서 $TiO_2$ 광촉매에 doping된 O, Si 성분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 결론적으로, doping된 O, Si 성분이 많을수록 유해물질 제거효율이 높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bacco smoke emitted during smoking is divided into a main-stream and side-stream smoke. Most of the tobacco smoke that spreads to a room while smoking is a side-stream one. The side-stream tobacco smoke is two to three times more harmful than that of the main-stream tobacco smoke. In this stud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촉매 셀의 doping 성분 및 광촉매 셀 표면의 금속 성분들의 구조 결합 상태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 내 유해물질의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또한 FT-IR 분석을 통해 광촉매 지지체의 구조 및 성분을 확인하 였다. 기기분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TiO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 내의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포름알데히드(HCHO)의 제거 효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용 TiO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 내의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iO2 광촉매의 doping 성분 분석을 위해 EDS 분석을 실시하였고, 광촉매 표면의 금속 원소들의 결합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XPS 분석을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10. H 2 S removal by photocatalytic process.
  • 환기 장치의 유속은 2.30 m/s 로 조절하였으며, 실험 장치 내부 온도는 여름철 일반 가정의 실내 환경을 가정하여 28 ± 0.5 ℃, 상대습도는 60 ± 2%의 조건 아래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으로 발생되는 담배연기의 구분은 어떻게 되는가? 흡연으로 발생되는 담배연기는 주류 연기와 비주류 연기로 구분된다. 담배연기 중 실내로 확산되는 연기의 대부분은 비주류 연기이며, 비주류 연기의 유해물질 농도는 주류 연기의 농도보다 2~3배 높다.
담배연기의 강도에서 비주류 연기와 주류 연기의 차이는? 담배연기 중 실내 공기로 확산되는 연기는 대부분 비주류 연기로 약 87%에 달하며, 두 연기의 성분 분포에 대해서도 차이가 있다. 담배연기의 강도에서 비주류 연기의 강도가 주류 연기보다 크며, 질량스펙트럼 또한 비주류 연기의 스펙트럼이 보다 복잡하다[11,12]. 이러한 위험성으로 인해 비주류 연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13-15].
비주류 담배연기 내 유해물질의 제거 특성 조사 결과, TiO2 광촉매의 효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TiO 2 광촉매가 비주류 담배연기 내의 일산화탄소 제거에 특히 효과적이며, 기타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등의 물질 또한 상당부분 제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접 흡연으로 인한 갈등이 심각한 우리나라 특성상, TiO 2 광촉매 공기정화기가 실내 공간에서의 담배 연기에 대한 피해를 저감시키는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National Health Statistics I, p.70-75, Disease Control Center, Korea (2016). 

  2.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obacco Market Trend in the First Half of 2017, Korea (2017). 

  3. H. J. Shin, Biological active components in cigarette mainstream smoke, J. Korean Soc. Tob. Sci., 32(1), 41-54 (2010). 

  4. T. Y. Jeon and J. Y. Kim, Characterization of fine dust collection using a filter ventilation, Appl. Chem. Eng., 26(2), 229-233 (2015). 

  5. S. I. Yang,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Particulate Matters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Mechanism, PhD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015). 

  6. J. M. Lim and J. H. Lee, Indoor air quality pollution of PM2.5 and associated trace elements affected by environmental tobacco smoke, J. Korean Soc. Envion. Eng., 36(5), 317-324 (2014). 

  7. K. Slezakova, M. C. Pereira, and M. C. Alvim-Ferraz, Influence of tobacco smoke on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indoor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Atmos. Environ., 43(3), 486-493 (2009). 

  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EPA/600/6-90/006F,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fice of Air and Radiation, USA (1992). 

  9. World Health Organization, Air Quality Guidelines for Particulate Matter, Ozone, Nitrogen Dioxide and Sulfur Dioxide, WHO/SDE/ PHE/OEH, Geneva, Switzerland (2006). 

  10. J. D. Adams, K. J. O'Mara-Adams, and D. Hoffmann, Toxic and carcinogenic agents in diluted mainstream smoke and side-stream smoke of different types of cigarettes, Carcinogenesis, 8(5), 729-731 (1987). 

  11. G. H. Park, Distribution of mainstream and sidestream components of tobacco, J. Korean Soc. Tob. Sci., 12(2), 103-118 (1990). 

  12. J. H. Kim, G. H. Yoon, L. Mark, J. J. Lee, J. S. Park, J. Y. Ahn, J. S. Han, and S. D. Kim, Comparison of real-time mass spectrums on the main- and side-stream smoke of cigarette using an proton transfer reaction-mass spectrometer (PTR-MS), J. Korean Soc. Urban Environ., 13(2), 117-127 (2013). 

  13. X. Tang, Z. Zheng, H. S. Jung, and A. Asa-Awuku, The effects of mainstream and sidestream environmental tobacco smoke composition for enhanced condensational droplet growth by water vapor, Aerosol Sci. Technol., 46(7), 760-766 (2012). 

  14. B. C. Koo and J. S. Jeon,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changes of rat respiratory mucosa by passive smoking, J. Korean Soc. Biomed. Lab. Sci., 6(2), 109-118 (2000). 

  15. K. W. Lee, H. K. Kim, and Y. A. Oh,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Korean Public Health Res., 42(3), 29-38 (2016). 

  16. T. Y. Kim and J. Y. Kim, Air purification of smoking booth using photocatalytic process and air filter, Appl. Chem. Eng., 27(4), 433-438 (2016). 

  17. W. Y. Choi, Studies on $TiO_2$ photocatalytic reactions, J. Korean Ind. Eng. Chem., 14(8), 1011-1022 (2003). 

  18. A. Wol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itanium dioxide ( $TiO_2$ ), Chem. Mater., 5(3), 280-293 (1993). 

  19. A. Fujishima, T. N. Rao, and D. A. Tryk,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is, J. Photochem. Photobiol. C, 1(1), 1-21 (2000). 

  20. S. H. Kim, S. W. Lee, J. J. Kim, and S. O. Kim, Analytical methods of hydroxyl radical produced by $TiO_2$ photo-catalytic oxidation, J. Miner. Soc. Korea, 28(3), 245-253 (2015). 

  21. T. Y. Jeon and J. Y. Kim, Removing malodor using photocatalyst and infrared, J. Korean Soc. Environ. Eng., 36(8), 528-533 (2014). 

  22. J. H. Park, A study o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Noxious Gases in Indoor Using $TiO_2$ Photocatalyst, MS Thesis, Kyonggi Univercity, Suwon, Kore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