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Agent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4, 2016년, pp.297 - 303  

서태석 (Hyundai E&C) ,  최훈제 (Hyundai E&C)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축저감제(SRA)가 개발되었다. SRA는 콘크리트 미세공극의 표면장력을 작게 하여 수축량을 감소시키며, 콘크리트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SRA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건조수축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예측방법이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SRA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량적인 사용성 한계의 검토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RA 콘크리트의 정량적인 건조수축 변형률 예측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건조수축실험값과 기존 모델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기존 모델에는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SRA 첨가율에 따른 수축저감계수를 도출하였고 기존 모델에 수축저감계수를 적용하여 예측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AIJ 모델, ACI 모델, GL2000 모델은 ${\pm}10%$의 오차범위 내에서 예측값과 실측값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CEB-FIP 모델과 B3 모델은 예측값이 실측값을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rinkage Reducing Agent(SRA) was developed in order to control drying shrinkage cracks in concrete, and the use of SRA is increasing since it can control drying shrinkage crack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crete structures.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prediction equations of drying shrink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RA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 예측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SRA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거동을 실험과 기존 모델과의 비교를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SRA 콘크리트의 정량적인 건조수축 변형률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건조수축 실험값과 기존 모델에 의한 예측값과의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기존 모델은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SRA 첨가율에 따른 보정값을 구하였고, 기존 모델에 보정값을 적용하여 건조수축변형률 실측값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조수축이란? 콘크리트 미세공극 내의 수분증발에 의해 콘크리트의 체적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건조수축이라 한다. 건조수축이 내부의 철근 또는 다른 구조 부재에 의해 구속을 받게 되면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한 응력은 균열을 유발시킬 수 있다[1,2,3,4].
건조수축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콘크리트 미세공극 내의 수분증발에 의해 콘크리트의 체적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건조수축이라 한다. 건조수축이 내부의 철근 또는 다른 구조 부재에 의해 구속을 받게 되면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한 응력은 균열을 유발시킬 수 있다[1,2,3,4]. 이러한 균열은 구조물의 지속 가능성, 내구성, 사용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대책 방안이 필요하다.
건조수축 인장응력의 측정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량적인 사용성 한계 검토가 불가능한 이유는? SRA는 콘크리트 미세공극의 표면장 력을 작게 하여 수축량을 감소시키며[5,6,7,8], 첨가율에 따라 20∼40%까지 수축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따라서 건조수축 균열제어를 통한 콘크리트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RA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지만, 건조수축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식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예측방법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SRA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량적인 사용성 한계의 검토가 불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eo TS, Ohno Y, Choi CS. Cracking due to drying shrinkage in a RC wall: Part 1: estimation by bond analysi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2009 Oct;61(8):609-19. 

  2. Seo TS, Ohno Y, Choi CS. Cracking due to drying shrinkage in a RC wall: Part 2: Proposal of estimation equation.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2009 Oct;61(8):621-31. 

  3. Tao J, Caiyi C, Yizhou Z, Xujian L. Effect of degree of ceramsite prewetting on the cracking behavior of LWAC.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2012 Aug;64(8):687-95. 

  4. Seo TS, Lee MS. Experimental study on tensile creep of coars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15 Sep;9(3):337-43. 

  5. Bentz DP, Geiker MR, Hansen KK. Shrinkage-reducing admixtures and early-age desiccation in cement pastes and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01 Jul;31(7):1075-85. 

  6. Farshad R, Gaurav S, Jason W. Interactions between shrinkage reducing admixtures (SRA) and cement paste's pore solution.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08 May;38(5):606-15. 

  7. Shah SP, Karaguler ME, Sarigaphuti M. Effect of shrinkage reducing admixtures on restrained shrinkage cracking of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1992 May;89(3):289-95. 

  8. Erhan G, Mehmet G, Alaa M, Radhwan A, Zeynep A, Kasim M. Enhancement of shrinkage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s by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and fiber reinforcemen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14 Mar;54(3):91-8. 

  9. Sato K. Shrinkage reducing agent. JCI Concrete Journal. 2011 May;49(5):61-4. 

  10. ACI 209.2R-08. Guide for Modeling and Calculating Shrinkage and Creep in Hardened Concrete. Detroit: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8. 45 p. 

  11. AIJ.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of crack control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Design and Construction). Tokyo(Japa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06. Chapter 3, Performance Design, p. 53-7. 

  12. 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 CEB-FIP Model Code 90. London: Thomas Telford Services; 1990. 437 p. 

  13. JIS A 1129. Method of test for length change of mortar and concrete.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2001. 5 p. 

  14. JCI Committee. Autogenous Shrinkage Committee Report. Japan Concrete Institute. 1997. 10 p. 

  15. Takeuchi M, Tanaka S, Sato R, Ohno Y. Evaluation of the Autogenous Shrinkage Stress of High Strength Concrete. Proceedings of Japan Concrete Institute; 1997 Jun 9; Tokyo, Japan. Tokyo (Japan) : Japan Concrete Institute; 1997. p. 751-6. 

  16. JIS A 1108. Method of test for length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2006. 7 p. 

  17. JIS A 1149. Method of test for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2010. 4 p. 

  18. JIS A 1113. Method of test for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1999. 4 p. 

  19. Nmai C, Tomita R, Hondo F, Buffenbarger J. Shrinkage: reducing admixtures. Concrete International, 1998 Apr;20(4):31-7. 

  20. Kanda K. Quantitative evaluation of shrinkage cracking initiation. Concrete Journal of the Japan Concrete Institute. 2005 May;43(5);6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